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농촌 Zoom 人] “대기업 퇴사하고 농업 공부…저는 농부 지망생” 글의 상세내용
제목 [농촌 Zoom 人] “대기업 퇴사하고 농업 공부…저는 농부 지망생”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9-12-11 조회 262
첨부  

출처-농민신문





[농촌 Zoom 人] 한농대 졸업 앞둔 정호준씨<전북 전주>


생명산업인 농업, 도전할 가치 충분 귀농 여건 쉽지 않지만 후회 안해

 




2010년 모두가 부러워하는 대기업의 정직원이 됐다. 2014년 나는 행복한가, 이것이 내 천직인가 라는 스스로의 질문에 답을 찾지 못해 직장을 과감히 그만뒀다. 2017년 농업에서 길을 찾겠다며 전북 전주의 한국농수산대학(한농대)에 입학했다. 그리고 2019년 겨울, 농부로서의 삶을 살기 위해 결코 순탄하지만은 않을 여정을 시작하려 한다. 한농대 졸업을 앞두고 있는 정호준씨(33)의 이야기다.



“교보문고에서 일했어요. 서점에서 일하다보니 책을 많이 읽어야 했는데 책을 읽을수록 제 삶에 대한 회의가 들더라고요. 나는 행복한가, 이 일은 내 천직인가.”



사실 집안 형편이 어려워서 군 제대 후 다니던 대학에 복학을 포기하고 취직한 그였다. 성실히 일한 덕에 아르바이트로 시작한 직장에서 정직원까지 됐으니 열심히 다니기만 하면 될 일이었다. 그런데 한번 머릿속에 들어온 생각은 시간이 지나도 떨쳐지지가 않았다.



“답을 찾기 위해 책도 많이 읽고 친구들에게 고민을 털어놓기도 했어요. 그런데 답이 안 나오더라고요. 다만 한가지, 뭔가 좀더 나를 행복하게 해주는 가치 있는 일을 하고 싶다는 생각은 더 강해졌어요.”



그때쯤 어려웠던 집안 사정도 조금 나아졌다. 그래서 결심을 굳히고 직장을 그만뒀다.



“확신이 있었다기보다는 돈보다 행복이 중요하다는 생각, 내 천직을 찾고 싶다는 생각,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하며 살고 싶다는 생각을 했어요.”



앞으로 무엇을 할지 치열하게 고민했다. 그 고민 끝에 농부가 있었다. 평소에 나무를 좋아하기도 했고 무엇보다 농업은, 먹거리를 생산하는 일은, 생명을 지키는 일이 아니던가. 천직이라는 확신은 없었지만 가치 있는 일을 하게 될 거라는 믿음이 생겼다.



“저는 충남 천안에서 태어났고 서울서 살았어요. 농사와는 전혀 관계없는 삶이었죠. 일단 배워야겠다는 생각을 했어요. 그래서 한국농수산대학에 입학했죠.”



입학 후에도 고민은 계속됐다. 농부가 되기로 했지만 무슨 농사를 짓는 어떤 농부가 될 것인지는 생각해보지 않았기 때문이다.



“말산업학과로 입학했다가 과수학과로 전과하고, 블루베리농장과 체리농장 등 실습농장을 옮겨가며 저에게 맞는 분야를 찾아내려고 노력했습니다. 그런데 이제 졸업을 코앞에 두고 있지만 사실 아직도 확신은 없어요.”



게다가 맨손으로 시작해야 하는 그에게 선택지는 많지 않았다. 부모님이 농촌에서 자리 잡고 있는 후계농들에 비해 그의 조건은 열악했다. 도시 출신인 데다 부모님으로부터 경제적인 도움을 기대할 수 없는 터라 농부라는 이름조차 아직은 ‘딸 수 없는 별’이었다.



“농업이 생각보다 초기자본이 많이 들어가요. 원예를 하려면 시설비가, 과수농사를 지으려면 나무값이 만만치 않죠. 제가 혼자 감당할 수준이 아닙니다.”



더러는 대출을 받아 시작하기도 하지만 그는 영농조합법인이나 중소규모 농장에서 일하는 것부터 시작하려고 한다. 천천히 배워가면서 느리더라도 잘해내고 싶기 때문이다.



“사실 지금 좀 힘들어요. 경제적으로도 그렇고, 졸업은 다가왔는데 일자리도 못 구했고요. 그래도 이 길을 선택한 것을 후회하지 않아요. 제가 생각한 가치 있는 일, 저를 행복하게 해줄 일이 이 일이라고 믿거든요.”



그의 꿈은 ‘소박’하다. 30년쯤 뒤 인생을 돌아봤을 때 가치 있는 삶을 살았다고 자평하는 것. 비록 앞으로도 수많은 고비를 넘어서야 하겠지만 결국 꿈은 이루어질 거라고, 이루고 말 거라고 그는 다짐한다.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