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농민신문
생태계 위해 가능성 지적 잇따라…농경지 주변 유출 차단 목적 투입한 논의 모내기 전후, 용수·배수로에 차단망·울타리 설치 수확 후엔 월동 못하도록 녹비작물 재배…깊이갈이 등도 해야
정부가 내년부터 친환경농업에 쓰이는 왕우렁이 관리를 강화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최근 ‘왕우렁이 관리지침’을 마련하고 관리실태를 지속적으로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왕우렁이가 생태계에 위해를 줄 수 있다는 지적에 따라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농경지 주변으로의 유출을 막겠다는 것이다.
논 잡초를 뜯어먹는 왕우렁이는 1990년대초부터 제초제를 대신하는 친환경농법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환경부는 올 10월 왕우렁이를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하는 ‘생태계교란 생물 지정고시 개정안’을 행정예고했다. 왕우렁이의 왕성한 번식력과 식성이 생태계를 위협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친환경농가들은 생태계교란 생물 지정으로 왕우렁이 사용이 금지되면 친환경농업이 불가능하다며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왕우렁이의 생태적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철저한 관리를 추진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농식품부의 관리지침에 따르면 왕우렁이를 투입하는 논의 경우 모내기 전후로 용수로와 배수로에 차단망 또는 울타리를 설치해야 한다. 농지 주변에 유실된 왕우렁이와 알은 반드시 수거해야 한다. 또 벼 수확 후 왕우렁이가 월동하지 못하도록 논 말리기, 녹비작물 재배, 깊이갈이 등을 한다. 왕우렁이가 월동하기 쉬운 큰 용수로의 물을 빼고, 깊은 웅덩이 속 왕우렁이도 적극 수거해야 한다. 수거의무를 지키지 않았을 경우엔 왕우렁이 지원사업의 보조사업비를 회수하고 지원 대상에서 영구 배제키로 했다.
최낙현 농식품부 친환경농업과장은 “내년 모내기 전까지 왕우렁이 관리에 대한 농가교육과 홍보 등을 적극적으로 펼쳐 왕우렁이를 친환경농업에 안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재 전국친환경농업인연합회장은 “왕우렁이는 친환경농업에 꼭 필요한 수단인 만큼 농가들도 자구책을 모색하는 등 관리에 심혈을 기울일 것”이라면서 “다만 왕우렁이의 생태계 위해성을 객관적으로 입증하기 위해 민관합동 실태조사를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왕우렁이 관리강화 방침은 향후 생태계교란 생물 지정 여부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환경부 관계자는 “왕우렁이 관리강화 방안과 효과 등을 충분히 검토한 후 생태계교란 생물 지정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