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농식품부 “국민에게 건강한 농식품 지원…지속가능한 식생활 확산” 글의 상세내용
제목 농식품부 “국민에게 건강한 농식품 지원…지속가능한 식생활 확산”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20-02-05 조회 190
첨부  



출처 - 농민신문




제3차(2020~2024년) 식생활교육 기본계획 발표


농식품 바우처사업 확대


유아·학생 대상 텃밭교육 우수 농촌 체험공간도 늘려






정부가 전 국민에게 건강한 농식품을 지원하고 이를 식생활교육과 연계한다. 농촌체험과 식생활교육을 병행하고 교육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학생들의 정규 교과과정에서 활용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런 내용의 ‘제3차(2020~2024년) 식생활교육 기본계획’을 최근 수립·발표했다. 기본계획은 ‘식생활교육지원법’에 따라 5년 단위로 수립하는 중장기 법정계획이다. 농식품부는 이번 계획을 통해 ‘지속가능한 식생활’을 전 국민에게 확산한다는 구상이다. 지속가능한 식생활이란 개개인의 건강뿐 아니라 농업·환경 등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식생활을 의미한다.



우선 건강한 농식품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이를 식생활교육과 연계한다. 이를 위해 올해 시범실시하는 ‘농식품 바우처사업’과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지원사업’ 등의 단계적 확대를 검토·추진한다.



어린이집과 유치원, 초·중·고등학교 교과과정에서 식생활교육을 확대한다. 특히 농업활동을 통해 자연스레 건강한 식생활을 익힐 수 있도록 텃밭교육과 식생활교육을 병행한다.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식생활·건강 개선교육을 지난해 1377회에서 2024년까지 2000회로 확대하고, 군인과 직장인 등 교육참여가 어려운 이들을 위해 찾아가는 식생활교육도 추진한다.



교육공간도 확대한다. ‘우수 농촌 식생활 체험공간’과 학교텃밭을 2024년까지 각각 300곳, 70곳으로 늘린다. 지난해엔 264곳, 10곳이었다. 또 국·공유 유휴지를 활용해 도시농업공간을 2024년까지 60곳 확충한다. 지방자치단체가 식생활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식생활교육 기본계획을 수립하거나 조례를 제정한 시·군·구를 선정, 예산을 지원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1~2차 기본교육을 통해 정책 기반을 구축하고 식생활교육에 대한 인식을 제고했다”면서 “이번 계획을 통해 교육의 실질적 확산과 내실화가 이뤄지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