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영농 브리핑] 제초제 저항성 논 잡초, 경작 시기별 방제를 글의 상세내용
제목 [영농 브리핑] 제초제 저항성 논 잡초, 경작 시기별 방제를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20-04-21 조회 241
첨부  



출처 - 농민신문




매년 늘어…수량 감소 피해




해마다 제초제 저항성 논 잡초가 느는 만큼 농가의 적기 방제가 요구된다. 경작 시기에 맞춰 약을 뿌리면 효과적으로 개체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농촌진흥청의 2018년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총 논 면적의 59.6%(약 45만㏊)에서 제초제 저항성 논 잡초가 발생했다. 이는 2012년보다 2.6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특히 경기와 충북·전북·전남에서 발생 비율이 높았다.



국내에 알려진 제초제 저항성 논 잡초는 14종으로, 그중 물달개비·강피·올챙이고랭이·미국외풀 4종이 가장 많이 발생했다.



제초제 저항성 논 잡초를 내버려두면 수량 감소 등의 피해로 이어진다.



방제는 시기별로 달리해야 효과적이다. 써레질을 할 때 아예 잡초의 싹이 나오지 못하게 하는 이앙전처리제를 사용하면 모든 잡초의 80% 이상을 방제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제초제로는 벤조비사이클론·옥사디아존이 있다. 모내기 10여일 후에 올라오는 잡초는 2~4가지 성분으로 구성된 메소트리온·메페나셋 등의 제초제를 사용하면 된다.



이같은 과정을 거쳤는데도 나오는 잡초는 경엽처리 제초제를 써야 한다. 강피·물피는 사이할로포프뷰틸·플로르프록시펜벤질 성분의 제초제를, 여타 제초제 저항성 논 잡초는 벤타존 성분이 혼합된 제초제로 처리한다.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