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일조량 부족·과습 ‘비상’…적정시비·배수로 정비 신경 써야 글의 상세내용
제목 일조량 부족·과습 ‘비상’…적정시비·배수로 정비 신경 써야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20-07-28 조회 223
첨부  



출처 - 농민신문





24일 충남 태안군 근흥면 안기리 논에서 한 농민이 폭우로 유입된 물을 빼고 있다. 태안에는 23일 새벽부터 하루 사이 199.5㎜의 비가 내렸다. 사진=연합뉴스




길어지는 장마, 작물 관리법


벼는 시비 줄이고 방제 철저 사과, 웃자란 가지 제거하고


수박, 인산·칼리로 세력 억제


감귤 궤양병 발생했을 경우 잎·가지 제거 후 약제 살포

 






장마가 한달 넘게 지속되면서 농작물 피해가 커지고 있다. 일조량 부족과 다습한 기후로 인해 농작물에 각종 생리장해가 발생하는 것이다. 장마 피해를 최소화하려면 적정한 시비, 철저한 배수 등 농작물 특성에 맞는 대비가 필요하다.







◆벼 생리장해, 과실 생육 저조 잇따라=농촌진흥청에 따르면 벼는 잦은 비로 경기·경남 일대를 중심으로 잎도열병 발생이 지난해보다 많아지고 있다. 또 아침저녁으로 기온이 떨어지면서 벼의 분얼이 늦어지고 있다. 특히 강원 철원, 충북 제천, 경북 봉화 등지에서는 새벽 최저기온이 17℃ 이하로 떨어지는 날이 4일 이상 이어져 저온장해까지 발생하고 있다.



사과는 일조량 부족으로 지난해보다 생육이 저하된 것으로 나타났다. 농진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소의 7월 과실 비대 조사에 따르면 올해 사과 과실 크기는 지난해보다 6~7% 작았다. 착과수 또한 많지 않아 나무의 자람세(수세)가 강해질 가능성이 높다.



수박은 수확기와 장마가 겹치며 속에 빈 공간이 생기는 공동과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비 오고 흐린 날이 많아 일조량이 부족하면 비대하는 속도에 비해 광합성이 부족해 속이 메워지지 않는 공동과 현상이 나타난다.



장마기간이 40일을 넘기며 ‘역대 최장 장마’로 기록될 제주는 습한 조건으로 인해 감귤 궤양병 발생이 전년보다 4.9% 많아졌다.






◆적정시비·배수철저가 피해 최소화 관건=장마로 인한 작물 피해를 최소화하려면 벼는 적정시비가 관건이다. 비료성분이 벼에 흡수되면 벼가 연약하게 자라 병 발생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기 때문이다. 비료를 평소보다 덜 주고, 방제를 철저히 해야 병 발생을 최소화한다.



사과는 수세가 더 강해지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수세가 강하면 저조한 과실 생육이 더 악화되거나 내년에 열매를 맺기 어려울 수 있다. 웃자란 가지(도장지)를 제거해 수세를 관리해줘야 한다. 또 장마철엔 나뭇잎이 타들어가는 엽소현상이 발생할 가능성도 높다. 게다가 장마철 내내 뿌리가 물에 잠겨 있다 잠깐 날이 개면 잎을 통해 수분이 급격히 빠져나가면서 심할 경우 2~3일 내로 나무가 고사할 수 있다. 배수를 철저히 하고 도장지를 제거해 바람과 햇빛이 나무 전체에 골고루 들어가게 한다.



수박은 공동과 발생을 막기 위해 늦은 추비를 지양한다. 또 생육 후기에 자람이 왕성하면 인산·칼리 엽면시비로 세력을 억제시킨다.



감귤 궤양병이 발생한 과원에서는 발병한 잎과 가지를 제거한 뒤 적용약제를 살포해 궤양병의 추가 확산을 막는다.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