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군 농업기술센터는
당신의 꿈과 함께합니다.
제목 | 농업정책자금, 담보력 약한 청년농엔 ‘그림의 떡’ | ||||
---|---|---|---|---|---|
부서명 | 농업기술센터 | 등록일 | 2020-09-10 | 조회 | 334 |
첨부 | |||||
출처 - 농민신문 지난해 30대 고작 4.6% 차지 창업농에겐 ‘보증’ 대출 등 성장단계별 지원방안 필요
담보 위주의 농업정책자금 대출 관행이 개선되지 않으면서 청년농 등이 정책금융의 사각지대에 놓였다는 지적이 나왔다.
농협은 농축산경영 자금·농업종합자금 등 11개 농업정책자금을 취급한다. 이들 정책자금은 각기 다른 성격을 갖고 있지만 대부분 50∼60대에 지원되고 있다. 청년농 지원을 위한 후계농지원자금도 20대와 30대 농민의 대출계좌는 각각 8.7%, 19.4%에 그쳤다. 농경연은 이같은 지원 쏠림 현상의 원인 중 하나로 담보력문제를 꼽았다. 김미복 농경연 연구위원은 “농업정책자금 대출조건은 금리와 상환기간을 제외하면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사업별로 담보 형태가 특정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며 “따라서 담보력이 약한 젊은층보다는 50∼60대에 지원이 집중되는 현상이 나타난다”고 분석했다. 농경연에 따르면 부동산과 농림수산업자신용보증기금(농신보)이 농업정책자금 전체 담보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부동산은 60대(31.3%), 50대(30.9%), 70대 이상(20.7%) 순으로 담보로 많이 활용했다. 김 연구위원은 “담보가 부족한 창업농에게는 보증 중심의 정책자금을 지원하고, 성장단계 농가에게는 담보부 융자·투자 방식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등 성장단계별 자금 지원으로 금융 지원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
다음 | |
---|---|
이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