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농민신문
박과작물의 잎사귀가 박과진딧물매개황화바이러스(CABYV)에 감염돼 누렇게 변했다. 사진제공=충남도농업기술원
박과진딧물매개황화바이러스 잎·과실 변질 … 상품성 저하 발견 초기 약제 2~3회 살포 멜론·오이 등 박과작물에 ‘박과진딧물매개황화바이러스(CABYV)’가 확산하고 있어 농가의 주의가 요구된다.
CABYV는 박과작물의 엽록소 형성을 저해해 잎에 모자이크 무늬와 얼룩덜룩한 황색 반점이 나타나게 하고, 과실에 불규칙한 무늬를 만들어 상품성을 떨어뜨린다.
2013년 국내에서 처음 확인된 이후 박과작물 전체로 피해가 확산했고, 지난해의 경우 전국 57개 시·군에서 박과작물을 재배하는 205농가 중 144농가(70%)에서 CABYV가 확인됐다.
충남도농업기술원은 “올해 상반기 충남지역 멜론농가 12곳을 표본조사한 결과 전부 CABYV에 감염된 것으로 조사됐고, 최근에도 박과작물 시설재배농가를 중심으로 확산 중”이라며 철저한 관리를 당부했다.
피해를 줄이려면 모종단계부터 바이러스 전염원인 진딧물 방제에 힘써야 한다. 또 육묘지와 재배지 주변에 진딧물의 중간 기주식물인 냉이·광대나물·개쑥갓 등의 식물을 제거해야 한다. 시설하우스 내 진딧물의 유입을 막기 위한 방충망 설치도 권장된다.
충남도농기원 관계자는 “전염원인 진딧물 방제가 가장 중요한 만큼 재배지를 수시로 예찰해 발견 초기에 적용약제를 1주 간격으로 2∼3회 방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