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농가 경영악화 ‘현실’…지난해 주요 농작물 34개 소득 줄어 글의 상세내용
제목 농가 경영악화 ‘현실’…지난해 주요 농작물 34개 소득 줄어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20-09-28 조회 389
첨부  

출처 - 농민신문





농진청, 소득 조사 결과


노지 6대 과수 모두 감소 시설호박·고랭지배추 급락


파프리카 소득률 19.3% 그쳐 소득 최고 작물 ‘시설 촉성오이’


 


지난해 주요 농작물 가운데 1년 전보다 소득이 감소한 작물이 3분의 2 이상이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농촌진흥청은 지난해 생산된 49개 농산물의 수입·경영비·소득 등을 담은 ‘2019년산 농산물 소득 조사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전년(2018년)과 비교했을 때 소득이 감소한 작물은 34개, 늘어난 작물은 15개였다. 평년과 비교했을 때 소득이 감소한 작물 역시 30개에 달해 농가의 소득 감소가 심각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전년과 견줘 소득 감소가 두드러진 품목은 시설호박이었다. 시설호박의 2019년 10α당 소득(1기작 기준)은 373만7083원으로 전년 대비 44.2%나 줄었다. 생육 초기 작황이 좋아 단수가 2.4% 늘었고 재배면적도 5.3% 증가해 생산량이 늘었지만 장마철 일조량 감소로 품위가 떨어져 가격이 하락한 게 소득 감소 원인으로 풀이된다. 시설호박 외에 40% 이상 소득이 감소한 작물로는 고랭지무(-41.4%)와 고랭지배추(-43.4%) 등이 있었다.



사과·배·복숭아·감귤 등 노지 6대 과수의 소득이 모두 감소했다는 것도 눈길을 끈다. 감귤은 10α당 소득이 167만원으로 집계돼 2018년(241만2000원)에 비해 30.8% 하락했다. 농진청은 착과수 증가와 해거리 현상으로 단수가 증가(22%)했고, 극조생 감귤의 품위 저하와 태풍 피해로 비상품과가 많았던 데다 소비 역시 하락(28.5%)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포도(-5.6%)·배(-16%)·사과(-13.1%)·복숭아(-28.3%)·단감(-20.6%) 농가의 소득도 일제히 하락했다.



총수입에서 소득이 차지하는 비율인 ‘소득률’ 역시 전반적으로 나빠졌다. 농진청은 지난해 49개 작물 평균 소득률이 45.7%로 전년 대비 3.9%포인트 감소했다고 밝혔다. 따뜻한 겨울 기온과 수확기 잦은 태풍으로 인한 수량 변화, 신선식품 구매 감소 등 농가 경영 여건 악화가 원인으로 지목된다. 일례로 최근 지속적으로 소득 순위가 떨어지는 파프리카의 경우 지난해 소득률이 19.3%에 불과했다. 10α당 소득도 크게 떨어져 2017년엔 1042만5000원, 2018년엔 945만9000원이었으나 2019년엔 645만3000원에 그쳤다.



한편 지난해 10α당 소득이 가장 높은 작물로는 시설오이(촉성)가 꼽혔다. 촉성오이는 전년 대비 4.1% 늘어난 1213만5000원의 소득을 기록했다. 오이의 뒤를 이어 시설장미(1036만2000원)·시설토마토(촉성, 974만7000원)·시설딸기(촉성, 951만원) 등의 소득이 높았다.



노지작물 가운데선 블루베리(497만1000원)의 소득이 가장 높았으며, 포도(464만6000원)·생강(413만2000원)·참다래(314만2000원)가 뒤를 이었다.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