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창농단계 세분화…청년층 농촌 정착 유도 글의 상세내용
제목 창농단계 세분화…청년층 농촌 정착 유도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20-10-16 조회 342
첨부  

출처 - 농민신문



농특위, 6차 본회의 개최…심의 안건 3건 의결 


영농기반 없는 청년 유입 지원 농어촌 사회적경제 집중 육성


남북농수산협력위 반년 연장


농어업 분야 뉴딜계획도 논의 2030년까지 농약 절반 감축


곡물자급률 10%P 높이기로


 


대통령 직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위원장 정현찬)는 13일 서울 코리아나호텔에서 6차 본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농어촌지역의 사회적경제 활성화방안 ▲농어업분야 청년 취·창업 활성화방안 ▲남북농림수산협력위원회 존속기간 및 특별위원 임기 연장 등 심의 안건 3건을 의결했다.



농어촌 사회적경제 활성화방안에는 중앙부처의 지원체계 정비와 농어촌 민관 협력체계 강화를 위한 내용을 담았다. 사회적경제의 주체를 읍·면 단위로 집중 육성하고 연대활동을 지원하는 내용 등도 포함했다.



농어업분야 취·창업 활성화방안에는 농업혁신을 주도할 청년층 육성이라는 방향에 맞춰 ▲영농기반 없는 청년세대의 유입경로 활성화 ▲창농단계 세분화를 통한 장기 지원 ▲지역단위 생태계를 통한 청년 애로사항 해소 ▲‘반농반X’의 새로운 정착모델 지원 등 4대 전략을 담았다.



한시적 특위로 구성된 남북농림수산협력위 임기는 위원들의 의견을 수렴해 6개월 연장하기로 했다.



‘농어업·농어촌 분야 뉴딜계획’과 ‘농정 대전환을 위한 사회협약 추진계획’ ‘좋은농협위원회 운영현황 및 계획’도 보고안건으로 올랐다. 농업 뉴딜계획은 2030년까지 화학비료·농약·항생제 사용을 50% 감축하고 곡물자급률은 10%포인트 높이는 탈탄소·지속가능 농업 방안 등을 과제로 제시했다.



한편 농특위는 이달말부터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와 공동으로 ‘농정 대전환을 위한 전국순회 원탁회의’를 개최하기로 했다. 국가먹거리종합전략과 농업분야 뉴딜과제를 주제로 전남·경북·세종(10월28일), 경남·제주·부산·울산(10월30일), 충남·전북·대전(11월4일), 강원·서울·대구·광주(11월9일), 경기·충북·인천(11월10일)에서 열린다. 회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지침에 따라 권역마다 2∼5개의 원거리 회의장을 설치하고 온라인으로 연결해 진행한다.



정현찬 위원장은 “농특위는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움에도 ‘사람과 환경 중심의 농정 대전환’을 위해 다양한 의제를 논의해왔다”며 “이제 의제를 구체화하고 현장에 적용해야 할 시점이기에 현장 농민과의 소통을 더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