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잦은 비, 농작물·시설물 관리 강화로 피해 줄여야 글의 상세내용
제목 잦은 비, 농작물·시설물 관리 강화로 피해 줄여야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21-07-06 조회 577
첨부  


□ 일 시




























그림입니다.</br>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2d45af1.bmp</br>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48pixel, 세로 46pixel



보 도 자 료



그림입니다.</br>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aca43a70.bmp</br>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560pixel, 세로 524pixel



배포와 동시에 보도될 수 있도록 협조 부탁드립니다.



배포일자



2021. 7. 2.(총 8쪽)



담당부서



재해대응과



담당과장



김정화 과장 (063-238-1040)



담 당 자



김쌍수 지도관


(063-238-1051)













잦은 비, 농작물‧시설물 관리 강화로 피해 줄여야


- 기상정보 수시 확인…물길 점검‧병해충 예방 약제 준비 -





□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이번 주말(7.3.~7.4.)에 매우 강하고 많은 양의 첫 장맛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됨에 따라 잦은 비로 인한 농작물과 농업시설물의 피해 최소화를 위해 각별한 관리 당부했다.



 ○ 기상청은 3일 오전 제주도에서 비가 시작되어 오후부터는 전국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보했다. 이번 비는 매우 강하게 내리고 4일 이후에도 비가 자주 내릴 것으로 전망했다.









< 기상청 발표 7.3.~7.4. 지역별 예상 강수량>


 


- 중부지방, 전라도, 남해안, 지리산 부근, 제주도: 50~100mm (많은 곳 150mm 이상)


- 그 밖의 지역: 30~80mm





 ○ 장마철에는 기습적인 날씨 변화로 농작물이 물에 잠기거나 쓰러짐 피해가 발생하기 쉽고 비닐하우스 등 시설물 파손이 우려가 높다.



<주요 농작물·시설물 관리요령>



= 논에 물이 잘 빠질 수 있도록 물길(배수로)을 막고 있는 잡초와 퇴적물을 없애고 시설을 정비한다. 이른 모내기로 새끼치기(분얼) 시작된 벼는 강풍에 쓰러지지 않도록 논물을 말려 뿌리에 활력을 촉진한다.



 ○ 많은 비로 논의 농작물이 일부 또는 전체가 물에 잠기는 일이 잦다면 질소비료의 양을 20~30%가량 줄이고, 칼륨질 비료는 20~30%가량 더 주면 병해충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밭작물= 배수로를 깊게 설치해 습해(토양에 습기가 많아 생기는 피해) 예방한다. 비가 오기 전에 주요 병해충을 예방하는 약제를 뿌려주고 많은 비에 작물이 쓰러지지 않도록 줄지주를 만든다.












그림입니다.</br>원본 그림의 이름: 배과원 호밀.PNG</br>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07pixel, 세로 212pixel

호밀(목초의 일종)을 심은 배과원




그림입니다.</br>원본 그림의 이름: 포도과원_헤어리베치 및 클로버.PNG</br>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03pixel, 세로 205pixel

헤어리베치 및 클로버를 심은 포도과원




과수원= 나무 밑에 목초를 가꾸거나 잡초를 자라게 하는 초생재배를 하는 과수원은 비 오기 전 풀을 베어 물빠짐을 좋게 한다.



 ○ 경사지 또는 새로 조성한 과수원은 지푸라기 또는 비닐 등을 덮어 폭우에 겉흙이 씻겨 내려가지 않도록 한다.



 ○ 강한 바람에 찢어질 우려가 있는 나뭇가지는 묶어주고 늘어진 가지는 받침대를 댄다.





축사= 가축을 사육하는 공간에 물이 차지 않도록 축사 주변의 물길(배수로)을 정비한다. 축사 내부 전기 시설을 점검해 습기와 침수로 인한 감전 사고를 예방한다. 가축 먹이는 건조한 곳에 보관해 비에 젖지 않도록 한다.





시설하우스= 많은 비로 인해 물에 잠기는 사고에 대응할 수 있도록 양수기, 수중펌프 등 수방자재를 확보한다. 비닐을 교체할 예정인 시설하우스는 미리 제거하여 피해를 예방한다. 뜯어진 비닐은 서둘러 보수하고, 환기창 등 여닫이를 점검한다.





농촌진흥청 재해대응과 김정화 과장은 “기상정보 수시 확인과 작물별 사전관리 대책에 따라 예방점검을 당부드리며, 비가 그친 뒤에는 사후관리를 통해 농작물‧농업시설물 피해를 줄이도록 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참고자료】집중호우 및 강풍 대비 농작물 관리요령












보도자료 관련 문의나 취재는


농촌진흥청 재해대응과 김쌍수 농촌지도관(☎ 063-238-1051)에게


연락 바랍니다.











집중호우 및 강풍 대비 농작물 관리요령





1. 벼



 □ 사전준비



  논․밭두렁, 제방 등이 붕괴되지 않도록 사전점검하고 정비



     * 집중호우 예보가 있을 때는 미리 논두렁에 물꼬를 만들고 비닐 등으로 피복하여 붕괴 방지



  ○ 배수로 잡초제거 및 배수시설 정비하여 원활한 물 빠짐 유도



  ○ 흰잎마름병, 도열병 및 벼멸구 방제약제 사전확보



 □ 사후관리



  침·관수1)된 논은 서둘러 잎 끝만이라도 물위로 나올 수 있도록 물빼기 작업을 실시하고 벼의 줄기나 잎에 묻은 흙 앙금과 오물제거



  물이 빠진 후에는 새물로 걸러대기하여 뿌리의 활력 촉진



  침·관수된 논은 도열병, 흰잎마름병 및 벼멸구병해충 예방



   강우를 동반하지 않은 강풍에 의해 백수피해가 우려될 경우 6시간 이내에 10a당 물 600ℓ이상을 벼가 젖을 정도로 뿌려주기



< 침관수 벼 흙앙금 및 오물세척 효과(감수율) >






























생육시기



1∼2일



3∼4일



방치 → 세척



방치 → 세척



유숙기(이삭팬후 10일)



   30 → 16 %



40 → 20



호숙기(이삭팬후 20일)



20 → 11



30 → 16



황숙기(이삭팬후 30일)



 5 →  3



10 →  5





2. 밭작물



 □ 사전준비



  ○ 배수로를 깊게 설치하여 습해 사전 예방



  ○ 참깨는 3~4포기씩 묶어주거나, 줄 지주를 설치하여 쓰러짐 방지



  ○ 비가 오기 전에 주요 병해충 예방 약제 살포



 □ 사후관리



  ○ 조기배수, 쓰러진 농작물 세우기, 겉흙이 씻겨 내려간 포기는 흙을 보완 해주기



  ○ 생육 불량한 포장은 요소 0.2%액(비료 40g, 물 20L) 잎에 뿌려 주기



3. 노지채소



 □ 사전준비



  ○ 배수로를 깊게 설치하여 습해 예방



  ○ 고추는 줄 지주, 개별지주를 보강하여 쓰러짐을 방지



  ○ 피복한 비닐이 날리거나 벗겨지지 않도록 땅에 고정



  ○ 붉은 고추, 수박 등 수확기가 된 과채류는 비 오기 전에 수확



 □ 사후관리



  ○ 쓰러진 작물 세워주기, 겉흙이 씻겨 내려간 포기 흙을 보완 해주기



  ○ 생육 불량한 포장은 요소 0.2%액(비료 40g, 물 20L) 잎에 뿌려 주기



  ○ 병에 걸렸거나, 상처 입은 열매는 빨리 제거하여 다음 열매 자람 촉진



  ○ 고추, 수박 등은 무름병, 돌림병, 탄저병 등 병해충 방제



4. 과수



 □ 사전준비



  ○ 배수로를 정비하여 습해 예방 및 초생재배 과수원은 풀베기



  ○ 밀식재배는 철선지주를 점검하여 선의 당김 상태를 확인하고, 가지를 지주시설에 고정



     * 배 평덕시설 과원은 철재파이프를 3m 간격의 서까래에 가로대를 설치하여 결과지 묶어주기



  ○ 수확기에 다다른 과수는 비가 그친 후 2∼3일 후에 수확을 하여 당도를 높이도록 한다.



  ○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방풍림이나 방풍망 설치



 □ 사후관리



  ○ 부러지거나 찢어진 가지는 깨끗하게 잘라낸 후 적용약제 발라주기



  ○ 흙이 씻겨나가 노출된 뿌리에 흙덮기, 유실․매몰된 곳은 빨리 정비 한다.



  ○ 쓰러진 나무는 토양이 젖어있는 상태에서 뿌리가 손상되지 않도록 세우고 보조지주를 설치



  ○ 침․관수된 과원은 잎, 줄기 등에 묻은 오물을 씻어주고, 낙과된 과실과 유입된 흙을 제거하여 과원 내 청결 유지



  ○ 사과 겹무늬썩음병, 점무늬낙엽병 등 병해충 방제를 철저히 하고 수세회복을 위하여 요소 0.2%액(비료 40g, 물 20L) 잎에 뿌려 주기





5. 축산



 □ 사전준비



  ○ 붕괴 위험이 있는 축대 보수 및 축사 주변 배수로 정비



  ○ 축사 내 전기 안전점검을 실시하여 바람이나 비로 인한 누전 등사전 예방으로 축사 화재 예방



  ○ 초지나 사료작물 포장 배수로를 정비하여 습해 방지



  ○ 사료는 비가 맞지 않도록 잘 보관하여 변질을 방지



 □ 사후관리



  ○ 축사는 충분한 환기 및 수시로 분뇨를 제거하여 유해가스 발생 억제



  ○ 축사 침수 시 가축을 안전한 장소로 신속하게 대피



  ○ 피해발생 시 시설 응급복구 및 철저한 예방접종 실시



  ○ 젖은 풀이나 변질된 사료를 주지 않도록 하여 고창증 예방



6. 농기계



 □ 사전준비



  ○ 농기계에 묻은 흙이나 먼지 등 오물과 습기를 제거한 후 기름칠하여 통풍이 잘 되고 비가 맞지 않는 곳에 덮개를 씌워 보관



  ○ 공기 청정기, 연료․오일 여과기 등을 깨끗이 청소하고 각종 클러치나 벨트는 풀림상태로 조작



 □ 사후관리



  ○ 침수된 농기계는 시동을 걸지 말고 물로 깨끗이 닦은 후 습기를 제거한 다음 기름칠하고 수리전문가의 점검을 받은 다음 사용



  ○ 기화기, 공기청정기, 연료여과기 및 연료통 등은 습기가 없도록 깨끗이 청소하거나 새 것으로 교환



7. 농업시설물



 □ 사전준비



  ○ 비닐하우스, 축사 등 풍수해 위험지구 내 시설물 관리 및 보수



  ○ 수방자재 장비 미리 확보 및 비축관리



  ○ 강풍이 불 때는 비닐하우스를 밀폐하고 끈으로 튼튼히 고정하여 골재와 비닐을 밀착시켜 피해예방



  ○ 비닐 교체예정인 하우스는 비닐을 미리 제거하여 피해 예방



 □ 사후관리



  ○ 복구인력 및 장비동원 피해 시설물 응급복구 실시



  ○ 내재해형 규격설계에 의한 시설물 설치 등 피해 재발방지대책 수립



8. 농업인 안전사고 예방준수



  ○ 저지대․상습 침수지역은 대피 준비하고, 고압전선(가로등, 신호등) 근처 접근 금지



  ○ 천둥․번개․홍수 등의 위험이 있을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지역으로 대피



  ○ 집 주변의 산사태 위험이 있는지 살피고 대피 준비



  ○ 다리나 하천도로는 안전한지 확인한 후에 이용








1) 침수 : 식물체의 일부가 물에 잠기는 상태 / 관수 : 식물체의 전체가 물에 잠기는 상태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