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군 농업기술센터는
당신의 꿈과 함께합니다.
제목 | 잦은 비, 농작물·시설물 관리 강화로 피해 줄여야 | |||||||||||||||||||||||||||||||||||||||||||||||||
---|---|---|---|---|---|---|---|---|---|---|---|---|---|---|---|---|---|---|---|---|---|---|---|---|---|---|---|---|---|---|---|---|---|---|---|---|---|---|---|---|---|---|---|---|---|---|---|---|---|---|
부서명 | 농업기술센터 | 등록일 | 2021-07-06 | 조회 | 577 | |||||||||||||||||||||||||||||||||||||||||||||
첨부 | ||||||||||||||||||||||||||||||||||||||||||||||||||
□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이번 주말(7.3.~7.4.)에 매우 강하고 많은 양의 첫 장맛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됨에 따라 잦은 비로 인한 농작물과 농업시설물의 피해 최소화를 위해 각별한 관리를 당부했다. ○ 기상청은 3일 오전 제주도에서 비가 시작되어 오후부터는 전국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보했다. 이번 비는 매우 강하게 내리고 4일 이후에도 비가 자주 내릴 것으로 전망했다.
○ 장마철에는 기습적인 날씨 변화로 농작물이 물에 잠기거나 쓰러짐 피해가 발생하기 쉽고 비닐하우스 등 시설물 파손이 우려가 높다. <주요 농작물·시설물 관리요령> □ 벼= 논에 물이 잘 빠질 수 있도록 물길(배수로)을 막고 있는 잡초와 퇴적물을 없애고 시설을 정비한다. 이른 모내기로 새끼치기(분얼)가 시작된 벼는 강풍에 쓰러지지 않도록 논물을 말려 뿌리에 활력을 촉진한다. ○ 많은 비로 논의 농작물이 일부 또는 전체가 물에 잠기는 일이 잦다면 질소비료의 양을 20~30%가량 줄이고, 칼륨질 비료는 20~30%가량 더 주면 병해충 발생을 줄일 수 있다. □ 밭작물= 배수로를 깊게 설치해 습해(토양에 습기가 많아 생기는 피해)를 예방한다. 비가 오기 전에 주요 병해충을 예방하는 약제를 뿌려주고 많은 비에 작물이 쓰러지지 않도록 줄지주를 만든다.
□ 과수원= 나무 밑에 목초를 가꾸거나 잡초를 자라게 하는 초생재배를 하는 과수원은 비 오기 전 풀을 베어 물빠짐을 좋게 한다. ○ 경사지 또는 새로 조성한 과수원은 지푸라기 또는 비닐 등을 덮어 폭우에 겉흙이 씻겨 내려가지 않도록 한다. ○ 강한 바람에 찢어질 우려가 있는 나뭇가지는 묶어주고 늘어진 가지는 받침대를 댄다. □ 축사= 가축을 사육하는 공간에 물이 차지 않도록 축사 주변의 물길(배수로)을 정비한다. 축사 내부 전기 시설을 점검해 습기와 침수로 인한 감전 사고를 예방한다. 가축 먹이는 건조한 곳에 보관해 비에 젖지 않도록 한다. □ 시설하우스= 많은 비로 인해 물에 잠기는 사고에 대응할 수 있도록 양수기, 수중펌프 등 수방자재를 확보한다. 비닐을 교체할 예정인 시설하우스는 미리 제거하여 피해를 예방한다. 뜯어진 비닐은 서둘러 보수하고, 환기창 등 여닫이를 점검한다. □ 농촌진흥청 재해대응과 김정화 과장은 “기상정보 수시 확인과 작물별 사전관리 대책에 따라 예방점검을 당부드리며, 비가 그친 뒤에는 사후관리를 통해 농작물‧농업시설물 피해를 줄이도록 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참고자료】집중호우 및 강풍 대비 농작물 관리요령
1. 벼 □ 사전준비 ○ 논․밭두렁, 제방 등이 붕괴되지 않도록 사전점검하고 정비 * 집중호우 예보가 있을 때는 미리 논두렁에 물꼬를 만들고 비닐 등으로 피복하여 붕괴 방지 ○ 배수로 잡초제거 및 배수시설 정비하여 원활한 물 빠짐 유도 ○ 흰잎마름병, 도열병 및 벼멸구 방제약제 사전확보 □ 사후관리 ○ 침·관수1)된 논은 서둘러 잎 끝만이라도 물위로 나올 수 있도록 물빼기 작업을 실시하고 벼의 줄기나 잎에 묻은 흙 앙금과 오물제거 ○ 물이 빠진 후에는 새물로 걸러대기하여 뿌리의 활력 촉진 ○ 침·관수된 논은 도열병, 흰잎마름병 및 벼멸구 등 병해충 예방 ○ 강우를 동반하지 않은 강풍에 의해 백수피해가 우려될 경우 6시간 이내에 10a당 물 600ℓ이상을 벼가 젖을 정도로 뿌려주기 < 침관수 벼 흙앙금 및 오물세척 효과(감수율) >
2. 밭작물 □ 사전준비 ○ 배수로를 깊게 설치하여 습해 사전 예방 ○ 참깨는 3~4포기씩 묶어주거나, 줄 지주를 설치하여 쓰러짐 방지 ○ 비가 오기 전에 주요 병해충 예방 약제 살포 □ 사후관리 ○ 조기배수, 쓰러진 농작물 세우기, 겉흙이 씻겨 내려간 포기는 흙을 보완 해주기 ○ 생육 불량한 포장은 요소 0.2%액(비료 40g, 물 20L) 잎에 뿌려 주기 3. 노지채소 □ 사전준비 ○ 배수로를 깊게 설치하여 습해 예방 ○ 고추는 줄 지주, 개별지주를 보강하여 쓰러짐을 방지 ○ 피복한 비닐이 날리거나 벗겨지지 않도록 땅에 고정 ○ 붉은 고추, 수박 등 수확기가 된 과채류는 비 오기 전에 수확 □ 사후관리 ○ 쓰러진 작물 세워주기, 겉흙이 씻겨 내려간 포기 흙을 보완 해주기 ○ 생육 불량한 포장은 요소 0.2%액(비료 40g, 물 20L) 잎에 뿌려 주기 ○ 병에 걸렸거나, 상처 입은 열매는 빨리 제거하여 다음 열매 자람 촉진 ○ 고추, 수박 등은 무름병, 돌림병, 탄저병 등 병해충 방제 4. 과수 □ 사전준비 ○ 배수로를 정비하여 습해 예방 및 초생재배 과수원은 풀베기 ○ 밀식재배는 철선지주를 점검하여 선의 당김 상태를 확인하고, 가지를 지주시설에 고정 * 배 평덕시설 과원은 철재파이프를 3m 간격의 서까래에 가로대를 설치하여 결과지 묶어주기 ○ 수확기에 다다른 과수는 비가 그친 후 2∼3일 후에 수확을 하여 당도를 높이도록 한다. ○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방풍림이나 방풍망 설치 □ 사후관리 ○ 부러지거나 찢어진 가지는 깨끗하게 잘라낸 후 적용약제 발라주기 ○ 흙이 씻겨나가 노출된 뿌리에 흙덮기, 유실․매몰된 곳은 빨리 정비 한다. ○ 쓰러진 나무는 토양이 젖어있는 상태에서 뿌리가 손상되지 않도록 세우고 보조지주를 설치 ○ 침․관수된 과원은 잎, 줄기 등에 묻은 오물을 씻어주고, 낙과된 과실과 유입된 흙을 제거하여 과원 내 청결 유지 ○ 사과 겹무늬썩음병, 점무늬낙엽병 등 병해충 방제를 철저히 하고 수세회복을 위하여 요소 0.2%액(비료 40g, 물 20L) 잎에 뿌려 주기 5. 축산 □ 사전준비 ○ 붕괴 위험이 있는 축대 보수 및 축사 주변 배수로 정비 ○ 축사 내 전기 안전점검을 실시하여 바람이나 비로 인한 누전 등사전 예방으로 축사 화재 예방 ○ 초지나 사료작물 포장 배수로를 정비하여 습해 방지 ○ 사료는 비가 맞지 않도록 잘 보관하여 변질을 방지 □ 사후관리 ○ 축사는 충분한 환기 및 수시로 분뇨를 제거하여 유해가스 발생 억제 ○ 축사 침수 시 가축을 안전한 장소로 신속하게 대피 ○ 피해발생 시 시설 응급복구 및 철저한 예방접종 실시 ○ 젖은 풀이나 변질된 사료를 주지 않도록 하여 고창증 예방 6. 농기계 □ 사전준비 ○ 농기계에 묻은 흙이나 먼지 등 오물과 습기를 제거한 후 기름칠하여 통풍이 잘 되고 비가 맞지 않는 곳에 덮개를 씌워 보관 ○ 공기 청정기, 연료․오일 여과기 등을 깨끗이 청소하고 각종 클러치나 벨트는 풀림상태로 조작 □ 사후관리 ○ 침수된 농기계는 시동을 걸지 말고 물로 깨끗이 닦은 후 습기를 제거한 다음 기름칠하고 수리전문가의 점검을 받은 다음 사용 ○ 기화기, 공기청정기, 연료여과기 및 연료통 등은 습기가 없도록 깨끗이 청소하거나 새 것으로 교환 7. 농업시설물 □ 사전준비 ○ 비닐하우스, 축사 등 풍수해 위험지구 내 시설물 관리 및 보수 ○ 수방자재 장비 미리 확보 및 비축관리 ○ 강풍이 불 때는 비닐하우스를 밀폐하고 끈으로 튼튼히 고정하여 골재와 비닐을 밀착시켜 피해예방 ○ 비닐 교체예정인 하우스는 비닐을 미리 제거하여 피해 예방 □ 사후관리 ○ 복구인력 및 장비동원 피해 시설물 응급복구 실시 ○ 내재해형 규격설계에 의한 시설물 설치 등 피해 재발방지대책 수립 8. 농업인 안전사고 예방준수 ○ 저지대․상습 침수지역은 대피 준비하고, 고압전선(가로등, 신호등) 근처 접근 금지 ○ 천둥․번개․홍수 등의 위험이 있을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지역으로 대피 ○ 집 주변의 산사태 위험이 있는지 살피고 대피 준비 ○ 다리나 하천도로는 안전한지 확인한 후에 이용 1) 침수 : 식물체의 일부가 물에 잠기는 상태 / 관수 : 식물체의 전체가 물에 잠기는 상태 |
다음 | |
---|---|
이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