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화훼, 약용작물 바이러스 의심되면 진단 받으세요 글의 상세내용
제목 화훼, 약용작물 바이러스 의심되면 진단 받으세요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21-07-06 조회 567
첨부  


2001년도




























그림입니다.</br>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2d45af1.bmp</br>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48pixel, 세로 46pixel



보 도 자 료



그림입니다.</br>원본 그림의 이름: 01 한국판뉴딜_기본 로고_가로형.jpg</br>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628pixel, 세로 563pixel



2021년 7월 5일(조간)부터 보도될 수 있도록 협조 부탁드립니다.


* 인터넷, 방송, 통신은 7월 4일 11시부터 보도 가능



배포일시



2021. 7. 2.(총 4쪽)



담당부서



원예특작환경과



담당과장



최준열 과장


(063-238-6300)



담 당 자



윤주연 연구사


(063-238-6324)













화훼, 약용작물 바이러스 의심되면 진단 받으세요


- 난․선인장․지황 진단도구 보급…가까운 농업기술센터로 문의 -





그림입니다.</br>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a9c0002.bmp</br>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388pixel, 세로 838pixel

<화훼, 약용작물 바이러스 진단키트>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화훼작물인 ‘난’과 ‘선인장’, 약용작물인 ‘지황’의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현장에서 확인하는 진단 도구(진단키트) 5종, 1000점을 전국 농업기술센터에 보급했다고 밝혔다.



 ○ 이 진단 도구를 이용하면 감염 초기, 의심 증상이 없더라도 식물체 즙액 3∼4방울만으로 2분 안에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알 수 있다.



 ○ 진단을 희망하는 농가는 7월 중순부터 가까운 농업기술센터로 문의하면 된다.





총 5종의 진단 도구 가운데 지난해 개발한 ‘난’ 2종 외에 ‘선인장’ 1종, ‘지황’ 2종은 올해 새로 개발했다.



 ○ 난 진단 도구는 서양란과 동양란(춘란) 품종의 난윤문바이러스(ORSV)와 심비디움모자이크바이러스(CymMV)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 또한, 선인장 진단 도구로는 접목선인장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선인장바이러스X(CVX)를 확인할 수 있다.



  - 접목선인장의 대목(밑나무)인 삼각주가 선인장바이러스X에 감염되면 접목 활착률1)이 약 4.5∼12.7% 떨어지고 자람 상태가 나빠지며 삼각주가 누렇게 변하는 증상이 나타난다.



 ○ 지황 진단 도구는 지황모자이크바이러스(ReMV)와 유카이모자이크바이러스(YoMV) 감염 여부를 알 수 있다.



  - 지황은 지황모자이크바이러스와 유카이모자이크바이러스 바이러스에 복합적으로 감염되기 쉬우며, 증상이 없는 잎에서도 바이러스가 검출된다.



  - 즙액으로 전염되는 이들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지황 잎에 누런 얼룩무늬가 나타나고 잎맥이 붉게 변한다. 특히, 종근(씨뿌리)까지 바이러스가 침투하므로 다음 세대까지 전염이 우려된다.





□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최준열 과장은 “영양 번식2)으로 증식하는 화훼, 약용작물은 한번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피해가 지속적으로 확산하므로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조기에 진단하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 “앞으로 화훼, 약용작물에서 문제가 되는 바이러스 진단 도구를 빠르게 개발․보급해 피해 최소화에 힘쓰겠다.”라고 말했다.



지난해 난 바이러스 진단 도구를 활용한 김현석 씨(전남 장성군)는 “춘란 잎에 이상 증상이 있어 바이러스를 진단해 보니 난윤문바이러스가 확인됐다. 감염 여부를 현장에서 알 수 있어 다른 난이 오염되는 피해를 더 빠르게 막을 수 있었다.”라고 전했다.



    【참고자료】화훼, 약용작물 바이러스병 증상과 진단키트 종류












보도자료 관련 문의나 취재는 


농촌진흥청 원예특작환경과 윤주연 농업연구사(☎ 063-238-6324)에게


연락 바랍니다.













참고



 



 화훼, 약용작물 바이러스병 증상과 진단키트 종류





 ❍ 난 바이러스병 증상
















그림입니다.</br>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3e4c09c.bmp</br>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736pixel, 세로 3648pixel



그림입니다.</br>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3e40002.bmp</br>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17pixel, 세로 242pixel



그림입니다.</br>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3e40004.bmp</br>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68pixel, 세로 248pixel



난윤문바이러스(ORSV)



심비디움모자이크바이러스(CymMV)



ORSV와 CymMV 복합감염




















바이러스



증상



난윤문바이러스(ORSV)



○ 잎에 괴사반점이 보이면서 뒤틀림 증상이 나타남



심비디움모자이크바이러스(CymMV)



○ 엽맥(잎맥)이 얼룩덜룩해지고 띠를 두른 것처럼 보임


○ 병이 더 진전되면 괴사증상으로 나타남





 ❍ 선인장 바이러스병 증상














그림입니다.</br>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3e40006.bmp</br>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104pixel, 세로 5796pixel



그림입니다.</br>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3e40005.bmp</br>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532pixel, 세로 3944pixel



그림입니다.</br>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3e40007.bmp</br>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112pixel, 세로 2816pixel



선인장바이러스X (CVX) 증상
















바이러스



증상



선인장바이러스X(CVX)



○ 삼각주가 누렇게 변해 색이 고르지 않고,
원형의 바이러스 증상이 나타나기도 함





지황 바이러스병 증상
















그림입니다.</br>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3e4000a.bmp</br>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55pixel, 세로 263pixel



그림입니다.</br>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3e4000b.bmp</br>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50pixel, 세로 267pixel



그림입니다.</br>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3e40008.bmp</br>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60pixel, 세로 310pixel



지황모자이크바이러스(ReMV), 유카이모자이크바이러스(YoMV) 복합감염 증상



















바이러스



증상



지황모자이크바이러스(ReMV)



○ 잎에 누런 얼룩무늬가 나타나고 잎맥이 붉게 변함


○ 새로 난 잎에도 누런 얼룩무늬가 나타남


 ※ 대부분의 지황은 ReMV와 YoMV에 복합감염되어 있음



유카이모자이크바이러스(YoMV)







화훼, 약용작물 바이러스 진단키트 5종















































작물



바이러스명



진단키트



분양개수



화훼





난윤문바이러스



Odontoglossum ringspot virus



ORSV



250



심비디움모자이크바이러스



Cymbidium mosaic virus



CymMV



250



선인장



선인장바이러스X



Cactus virus X



CVX



100



약용



지황



지황모자이크바이러스



Rehmannia mosaic virus



ReMV



200



유카이모자이크바이러스



Youcai mosaic virus



YoMV



200






1) 접목 활착률: 비모란 등 선인장을 대목인 삼각주에 접목할 때 두 선인장이 잘 붙는 비율.



2) 영양번식: 종자 번식이 아닌, 모주(종근)로부터 나온 삽수나 영양체를 통해 무성생식으로 증식하는 방법.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