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벼 이삭 팰 때 발생 잦은 이삭병 주의 글의 상세내용
제목 벼 이삭 팰 때 발생 잦은 이삭병 주의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21-08-03 조회 607
첨부  


□ 언론홍보 실적 및 기획홍보 사례




























그림입니다.</br>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2d45af1.bmp</br>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48pixel, 세로 46pixel



보 도 자 료



그림입니다.</br>원본 그림의 이름: 01 한국판뉴딜_기본 로고_가로형.jpg</br>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628pixel, 세로 563pixel



2021년 8월 3일(조간)부터 보도될 수 있도록 협조 바랍니다.


* 인터넷, 방송, 통신은 8월 2일 11시부터 보도 가능



배포일시



2021. 8. 2.(총 5쪽)



담당부서



작물기초기반과



담당과장



문중경 과장


(063-238-5300)



담 당 자



김상민 연구사


(063-238-5344)















벼 이삭 팰 때 발생 잦은 이삭병 주의


- 고온다습한 환경일 때 세균벼알마름병, 이삭누룩병 등 발생 -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벼 이삭이 팰 때 고온다습한 환경이 조성되면 이삭병 발생이 우려된다며,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해 수시로 병을 예찰하고 방제해 줄 것을 당부했다.



 ○ 최근 몇 년 간 조생종·중만생종이 이삭 패는 시기인 7월 중순부터 8월 중순까지 낮·밤으로 고온이 유지되고 있으며, 높은 습도와 강우로 이삭병의 발생과 전파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 올해도 8월 중순까지는 고온다습한 기상이 예상됨에 따라 철저한 예찰과 방제가 필요하다.





□ 벼 이삭병으로는 세균벼알마름병, 이삭누룩병, 이삭도열병이 있다.



 ○ 세균벼알마름병은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이삭이 팰 때 병 발생과 피해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여름철 이상고온, 강우로 인해 발생과 피해 증가가 우려되지만, 아직 저항성 품종이 없으므로 예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병 발생 초기에는 벼알의 아랫부분이 갈색으로 변하다가 생장이 멈춰 결국 벼알 전체가 갈색으로 변하고 이삭은 쭉정이가 된다. 결국 생산량이 감소하고 쌀 품질까지 떨어지므로 벼 이삭패기 전·후 제때 방제가 중요하다. 모내기 전 약제처리로도 피해를 줄일 수 있다.



 ○ 이삭누룩병은 이삭이 패고 여물 때까지 25~35도 기온이 유지되고 비가 자주 오는 다습한 환경에서 발생하기 쉽다.



 - 병 발생 초기에는 낟알 표면에 황록색의 둥근 곰팡이가 나타나 점차 검은색으로 변하며 생산량과 품질을 떨어뜨린다. 종자로 감염되므로 건전한 종자 사용이 중요하다. 모내기 전 종자 약제처리 및 이삭패기 전·후의 제때 방제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 이삭도열병은 세균벼알마름병, 이삭누룩병과는 다르게 저온에서 병이 발생하고 피해가 증가한다. 이삭이 패고 여물 동안 20∼25도의 저온에서 3일 이상 연속으로 비가 내려 습도가 높아지면 발생하기 쉽다. 이삭이 여무는 동안 급속히 기온이 낮아지는 경우 병 발생에 유의해야 한다.



 - 주로 이삭이 패고 10~20일 후까지 병균이 침입하지만, 기상환경이 맞으면 30~40일이 지나서도 발생한다.



- 감염되면 이삭목과 이삭가지 등이 마르고 갈색으로 변한다. 감염 시기에 따라 이삭이 쭉정이로 변해 생산량, 여묾비율(등숙률), 종자 천 알 무게(천립중) 등이 감소된다. 잎도열병이 발생했던 재배지이거나 기온이 저온으로 떨어질 때에는 이삭 패기 전 제때 방제로 피해를 예방해야 한다.









※ 2019년 1월 1일부터 실시되고 있는 농약허용기준강화제도(PLS: Positive List System)로 국내에서 생산하는 모든 작물에는 등록된 약제만 사용할 수 있다. 병해충 약제 정보는 농촌진흥청 농약안전정보시스템(psis.rda.go.kr)에서 자세히 검색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작물기초기반과 문중경 과장은 “최근 이상고온 현상이 계속돼 세균벼알마름병, 이삭누룩병 등의 발생이 우려되고 있다. 피해를 줄이기 위해 방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발병 예찰과 방제 지원에도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참고자료] 이삭 팬 이후 발생하는 주요 병 모습












보도자료 관련 문의나 취재는


농촌진흥청 작물기초기반과 김상민 농업연구사(☎ 063-238-5344)에


연락 바랍니다.







[참고자료] 이삭 팬 이후 발생하는 주요 병 모습


























 종류



발병 모습



방제 방법



세균벼알


마름병



그림입니다.</br>원본 그림의 이름: 세균벼알 선발.JPG</br>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92pixel, 세로 3056pixel</br>사진 찍은 날짜: 2016년 09월 07일 오후 2:04</br>카메라 제조 업체 : SONY</br>카메라 모델 : NEX-5</br>프로그램 이름 : NEX-5 Ver.03</br>F-스톱 : 7.1</br>노출 시간 : 1/160초</br>IOS 감도 : 200</br>색 대표 : sRGB</br>노출 모드 : 자동</br>35mm 초점 거리 : 73</br>대비 : 일반</br>채도 :


- 초기에 벼알이 갈변되다가 후기에 종자 발육이 정지하여 등숙이 되지 않고 벼알 전체가 갈변하며 이삭이 꼿꼿하게 유지됨



○ 잎집 내의 병원균이 출수기에 이삭을 감염시키므로 출수기 전후 옥솔린산이나 가스가마이신 계통 등의 등록약제로 예방



이삭누룩병



그림입니다.</br>원본 그림의 이름: 이삭누룩- 선발.jpg</br>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072pixel, 세로 2048pixel</br>사진 찍은 날짜: 2018년 09월 19일 오후 13:50</br>카메라 제조 업체 : Canon</br>카메라 모델 : Canon EOS DIGITAL REBEL</br>F-스톱 : 9.0</br>노출 시간 : 1/160초</br>IOS 감도 : 200</br>색 대표 : sRGB</br>노출 모드 : 자동</br>측광 모드 : 평가 측광</br>EXIF 버전 : 0221


- 벼알 표면에 황록색의 둥근 공 모양의 표징이 나타나며 시간이 지나면서 검은색으로 변함



벼알 표면에 곰팡이 포자가 침입해 검은색 공 모양의 표징이 형성되므로 출수 전후에 등록된 방제약제를 처리하여 예방


건전종자 파종 및 종자소독, 상자 약제 처리 등으로 피해를 예방



이삭


도열병



그림입니다.</br>원본 그림의 이름: 도열병.JPG</br>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072pixel, 세로 2048pixel</br>사진 찍은 날짜: 2019년 10월 07일 오후 13:21</br>카메라 제조 업체 : Canon</br>카메라 모델 : Canon EOS Kiss Digital</br>F-스톱 : 5.6</br>노출 시간 : 1/50초</br>IOS 감도 : 100</br>색 대표 : sRGB</br>노출 모드 : 자동</br>측광 모드 : 평가 측광</br>EXIF 버전 : 0221


- 출수 이후 등숙기에 이삭목에 발생하며 감염 부위가 갈색으로 변하며 양분 이동이 억제돼 이삭이 고사함



발병 초기에 약제 방제를 실시


- 도열병에 약한 품종 재배 시 사전에 예방 위주로 약제 방제


 - 잎도열병, 목도열병 등 발병 부위에 따라 전문 약제가  다수 등록


저항성 품종 재배, 건전종자 파종 및  종자 소독, 균형 시비, 상자 약제 처리, 발병 초기 약제 방제로 병 발생을 줄일 수 있음









[참고] 기상청 1개월전망



그림입니다.</br>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b300001.bmp</br>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172pixel, 세로 1609pixel





그림입니다.</br>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b300002.bmp</br>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127pixel, 세로 1415pixel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