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벼알 여무는 기간 기온 따라 수확일도 달라져 글의 상세내용
제목 벼알 여무는 기간 기온 따라 수확일도 달라져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21-09-28 조회 557
첨부  


□ 언론홍보 실적 및 기획홍보 사례




























그림입니다.</br>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2d45af1.bmp</br>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48pixel, 세로 46pixel



보 도 자 료



그림입니다.</br>원본 그림의 이름: 01 한국판뉴딜_기본 로고_가로형.jpg</br>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628pixel, 세로 563pixel



2021년 9월 28일(조간)부터 보도될 수 있도록 협조 바랍니다.


* 인터넷, 방송, 통신은 9월 27일 11시부터 보도 가능



배포일시



2021. 9.27.(총 4쪽)



담당부서



작물재배생리과



담당과장



장재기 과장


(063-238-5250)



담 당 자



이현석 연구사


(063-238-5267)















벼알 여무는 기간 기온 따라 수확일도 달라져


-  이삭 패는 날·재배 지역 기온 고려해 수확 적기 정해야 -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벼알이 여무는 기간의 기온에 따라 수확일이 달라지므로, 이삭 패는 날과 재배 지역의 기온을 고려해 수확 적기를 지켜 달라고 당부했다.



 ○ 이삭이 나온 후 등숙기(여묾기) 동안의 평균 적정 기온은 21도∼ 23도 사이다. 이보다 기온이 높으면 벼알이 빨리 여물어 제때 수확하지 못하고, 비를 맞을 경우 수발아(이삭싹나기) 피해가 증가한다.



 ○ 등숙기 평균 기온에 따른 수확 가능 시기는 △28도 이상은 이삭이 팬 후 45~50일 △25도 이상은 50~55일 △21~23도는 55~60일이다.1)





농촌진흥청이 2018년과 2020년에 수행한 ‘등숙기 환경조건에 따른 수발아 발생 연구’에 따르면, 등숙기에 기온이 높아지면 쌀 품질이 떨어지고 수발아 발생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삭이 나온 후 등숙기 동안 평균 기온이 적정 수준(21~23도)보다 높을수록 천립중2), 도정률, 완전미율3)이 감소했으며, 단백질 함량이 증가해 밥맛도 떨어졌다.



   * 23도 대비 26도에서 천립중, 도정률, 완전미율이 각각 1.6g, 2%p, 8.2%p 감소했으며 단백질은 0.35%p 증가했음



 ○ 등숙기의 온도가 높을수록 황숙기4)까지 필요한 기간이 단축돼 수확 가능 시기가 빨라지며, 비를 맞으면 수발아 발생률도 높아진다.



 ○ 수발아가 되면 불투명한 종실이 증가하고 잘 부스러지며 도정률도 감소하기 때문에 출수기와 여무는 기간 기온을 확인하고 제때 빠르게 수확해야 한다.



   * 종자 도정률: (정상) 72%, (싹이 1㎜ 이하 수발아) 66%, (1∼3㎜ 수발아) 62%, (3∼1㎝ 수발아) 55%, (1㎝∼1.5㎝ 수발아) 53%





□ 전북 전주 지역을 기준으로 7월 10~15일(조생), 8월 1~5일(중생),  8월 10~15일(중만생)에 이삭이 팬 경우 각각 약 9월 3~8일, 9월 22~27일, 10월 8일~13일 이후가 수확 가능한 시기이다.



 ○ 농가별 영농 시기에 해당하는 벼알 여무는 기간의 평균 기온은 기상청 ‘날씨누리’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날씨누리 주소: weather.go.kr/w/obs-climate/land/past-obs/obs-by-day.do



   * 현재까지의 기온은 과거 관측 평균 기온 활용, 앞으로 예측은 평년 평균 기온 이용





□ 농촌진흥청 작물재배생리과 장재기 과장은 “최근 기후변화에 따라 이상 기상 현상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대응해 벼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작물을 안정성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여러  측면에서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참고자료] 벼 등숙기 온도에 따른 품질 변화 및 수발아 발생률 변화












보도자료 관련 문의나 취재는


농촌진흥청 작물재배생리과 이현석 농업연구사(☎ 063-238-5267)에게


연락 바랍니다.





[참고자료]





   그림 1. 등숙기 온도에 따른 현미 천립중 및 단백질 함량 변화



그림입니다.</br>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a180001.bmp</br>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87pixel, 세로 289pixel



   그림 2. 등숙기 온도에 따른 도정률 및 완전미율 변화



그림입니다.</br>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a180002.bmp</br>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88pixel, 세로 288pixel



  * 등숙기(여묾기) 온도 기준: 출수 후 40일 평균, 시험재료: 오대, 조평, 대보, 하이아미, 새누리, 신동진



- 이삭이 팬 후 여무는 기간 동안 평균 기온이 적정수준인 약 21~23℃보다 높을수록 천립중, 도정률, 완전미율이 감소하며, 단백질 함량은 증가하는 등 종실 품질이 떨어진다.





   그림 3. 등숙기 온도에 따른 적정 수확기까지의 소요일수 변화



그림입니다.</br>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39c298d.bmp</br>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51pixel, 세로 479pixel



- 등숙기 평균 기온에 따라서 적정 수확까지의 적산온도에 도달하는 소요일수가 변한다.





 표 1. 등숙기 온도별 지속 강우에 따른 수발아 발생률 변화











































































시험


년도



출수기


(월.일)



여묾기 평균온도


()



강우처리 시간에 따른 수발아 발생률 변이 (%)



강우처리 시간



24



48



72



96



120



144



2018



7.30



27.7



5.2



6.4



10.7



28.1



39.3



49.8



8.14



24.6



0.0



0.5



6.9



16.2



20.3



35.1



2019



7.19



27.4



4.3



7.7



8.7



21.3



34.2



44.6



7.31



26.4



2.3



3.6



12.1



17.3



24.6



39.2



8.13



24.2



0.0



1.2



6.7



14.3



19.6



27.7





  * 등숙기(여묾기) 온도 기준: 출수 후 40일 평균, 시험재료: ‘조평’





   그림 4. 등숙기 온도에 따른 수발아 발생률 증가



그림입니다.</br>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c883b1f.bmp</br>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44pixel, 세로 514pixel



- 수발아가 유도되는 동일한 강우조건에서 등숙기 평균 기온이 높을수록 수발아 발생률이 증가한다.





표 2. 벼 수발아 발생 정도별 도정률 및 완전미율 변화








































































수발아 정도


(유아길이) 



도정률(%)



백미 품위 (%)



완전립



분상질립



열손립



피해립



싸라기



정상종자



72



78



5



6



3



8



0(정조 확인불가)



70



69



5



5



2



19



1mm 이하



66



55



12



8



2



23



1mm~3mm



62



38



18



10



3



32



3mm~1cm



55



14



25



16



4



40



1cm~1.5cm



53



6



30



20



2



42





  * 시험재료 : 조생종(오대, 조평), 중생종(대보, 하이아미), 중만생종(새누리, 신동진)



  * 분상질립 : 쌀알에 흰 반점이 있는 쌀(체적의 1/2 이상이 흰색으로 불투명한 상태의 쌀)



  * 0(정조 확인 불가) : 정조 상태에서는 수발아 확인이 불가하며, 현미 상태에서 확인 가능한 수발아 피해



- 수발아 발생 정도가 심해질수록 도정률 및 완전미율이 감소한다.




1) 적산온도 약 1300도를 고려해 계산한 일수임



2) 천립중: 쌀 천 알의 무게



3) 완전미율: 전체 종실 중 분상질립(부서짐), 싸라기 등 피해를 받은 종실을 제외한 깨끗한 상태의 종실 비율 



4) 이삭 팬 후 30일쯤 왕겨(겉껍질)에 엽록소가 소실되어 황색으로 변하면서부터 45일 완숙기에 이르기 전까지 단계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