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군 농업기술센터는
당신의 꿈과 함께합니다.
제목 | 단단하고 맛있는 김장 배추 비결은 ‘거름․물 관리’ | |||||||||||||||||||||||||||||||||||||||||||||||||||||||||||||||||||||||||||||||||||||||||||||||||||
---|---|---|---|---|---|---|---|---|---|---|---|---|---|---|---|---|---|---|---|---|---|---|---|---|---|---|---|---|---|---|---|---|---|---|---|---|---|---|---|---|---|---|---|---|---|---|---|---|---|---|---|---|---|---|---|---|---|---|---|---|---|---|---|---|---|---|---|---|---|---|---|---|---|---|---|---|---|---|---|---|---|---|---|---|---|---|---|---|---|---|---|---|---|---|---|---|---|---|---|---|
부서명 | 농업기술센터 | 등록일 | 2021-10-05 | 조회 | 578 | |||||||||||||||||||||||||||||||||||||||||||||||||||||||||||||||||||||||||||||||||||||||||||||||
첨부 | ||||||||||||||||||||||||||||||||||||||||||||||||||||||||||||||||||||||||||||||||||||||||||||||||||||
□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8월 말~9월 초 아주심기한 뒤 생육 중기에 접어든 김장용 배추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철저한 거름 관리와 물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특히 코로나19 영향으로 텃밭 등에 직접 김장 배추를 키우는 초보 농업인은 정확한 재배 정보를 알고 있어야 비료 주는 시기와 생리장해 등을 판단할 수 있다. □ 김장 배추의 속이 제대로 여물게 하려면 밑거름과 함께 생육 중간중간 적절한 웃거름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 ○ 아주심기 전에는 10아르(a)당 석회는 80~200㎏, 붕사는 1~1.5㎏을 밑거름으로 충분히 준다. ○ 결구(알들이)가 시작되는 시기에는 웃거름을 15일 간격으로 3~4회 준다. - 아주심기 후 첫 웃거름은 10아르(a)당 요소비료 7㎏을, 2회부터는 염화칼슘 7~8㎏과 함께 요소비료 8~12㎏ 정도를 준다. - 이때 비료는 배추의 잎과 뿌리에 직접 닿지 않도록 흙에 줘야 약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 흙의 성질이 모래땅일 경우에는 진땅보다 비료 성분이 녹아들지 못하고 쉽게 쓸려나가므로 추가로 주는 덧거름량을 늘려야 한다. - 습해(습기 피해) 등으로 생육이 활발하지 않고 덧거름을 줘도 식물체가 연약할 때는 요소 0.2%(물 20L당 40g) 비료액을 5∼7일 간격으로 2∼3회 잎에 직접 뿌려 생육이 촉진되도록 한다. □ 또한, 배추는 93~96%가 수분으로 구성돼 많은 양의 수분을 요구하는 작물이므로, 토양이 마르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 토양이 건조하면 칼슘 결핍증 등 생리장해 발생이 심해지고 구(알)가 작아져 상품성이 떨어진다. ○ 아주심기 후 20~30일경은 결구가 시작돼 생육이 가장 왕성한 때로 10아르(a)당 1일 200kg 이상의 물을 흡수한다. 따라서 관수시설이나 스프링클러(자동 물뿌리개) 등을 이용해 물이 토양 속까지 침투되도록 충분히 준다.
□ 아울러, 날이 덥고 건조하거나 기온이 낮고 습할 때 비료와 물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모양이 좋지 않고 결구가 늦어지는 등의 생리장해가 나타날 수 있다. ○ 새로 나오는 잎의 가장자리가 말리거나 색이 변하는 등 칼슘 결핍 우려되면 결구 초기부터 염화칼슘 0.3%액(물 20L당 염화칼슘 60g)을 2~3회 잎에 뿌려준다. ○ 배추 안이 갈색으로 변하는 등 붕소 결핍이 우려되면 결구 초기 붕산 0.2%액(물 20L당 붕산 40g)을 2∼3회 잎에 뿌려준다. □ 마지막으로, 배추좀나방, 배추흰나방, 벼룩잎벌레, 진딧물 등이 발생해 어린 배춧잎을 갉아먹거나 즙액을 빨아 먹는 등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해충 방제에도 신경 써야 한다. □ 한편, 가을 배추 생산 동향을 보면 배추 주산지의 가을 배추 아주심기는 완료됐지만, 일부는 가을 장마로 아주심기가 늦어지고 있다. 아주심기 지연으로 모종이 노화된 때는 잎에 직접 비료를 주는 등 조기에 생육이 회복되도록 해야 한다. □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이우문 과장은 “배추 품종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거름과 물 관리만 충분히 신경 쓰면 초보 농업인도 품질 좋은 김장 배추를 생산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전했다. ○ 충북 괴산군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지역 배추 생육 상황을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농촌진흥청에서 언급한 생리장해와 병해충 피해 상황도 농가 지도에 활용함으로써 품질 좋은 김장 배추 생산이 이뤄지도록 지원하겠다.”라고 전했다. 【참고자료】가을 배추 비료 관리
<참고자료>
|
다음 | |
---|---|
이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