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가을철 양송이 ‘세균성갈반병’ 주의 글의 상세내용
제목 가을철 양송이 ‘세균성갈반병’ 주의
부서명 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23-09-21 조회 530
첨부  

1




가을철 양송이 ‘세균성갈반병’ 주의

- 도 농기원, 양송이 재배사 습도 관리 강조…병해 예방 요령 제시 -



충남도 농업기술원은 최근 일교차가 커짐에 따라 내외부의 온습도 차이로 양송이 버섯재배사가 과습해지면서 세균성갈반병 발생이 늘어나고 있다고 21일 밝혔다.

세균성갈반병은 주로 양송이 수확기에 갓 부분에 원형 또는 부정형의 갈색 병반으로 나타나며, 이후 주위 양송이 균상 전체로 번지는 특성이 있다.

이 병은 양송이 재배 농가에서 다양하게 발병되며, 슈도모나스계 세균에 의해 발생한다.

세균성갈반병은 푸른곰팡이병의 초기 증상인 갈색반점과 비슷하게 육안으로 확인되는 만큼 정확히 판단하고 방제하는 과정이 중요하다.

대체로 세균성갈반병의 경우 1㎝ 미만의 작은 반점들이 다발로 형성되고 버섯 갓 부근에 수분기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반면 푸른곰팡이에 의한 갈색반점은 1∼3㎝의 크기를 가지며, 표면이 건조하고 빠르게 버섯 전체 및 균상으로 번지는 특징이 있다.

세균성갈반병 방제를 위해서는 균상 및 자실체 표면이 물방울이 생길 만큼 과습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하며, 해당 병해 발생 시 소독용 장갑으로 버섯을 격리해 제거하는 것이 좋다.

병해 증세가 심할 경우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약 150ppm(4% 유효성분으로 약 300배)으로 버섯 수확 후 관수하면 병원균의 밀도를 줄이는 데 다소 효과가 있다.

김준호 도 농업기술원 연구사는 “세균성갈반병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매개충인 버섯 응애 및 버섯 파리에 대한 사전 방제도 필수적”이라며 “폐상 시 버섯재배사 소독도 철저히 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문의] 충청남도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 041-635-6063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