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농업의 새로운 돌파구냐, 과거 아픈 기억의 되풀이냐.’
정부가 영산강과 새만금 간척지 등을 대상으로 대규모 유리온실 설치를 추진키로 하면서 유리온실의 실효성에 대한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정부는 자유무역협정(FTA) 등 시장개방 확대에 대응하고 농식품 수출 100억달러 시대를 열기 위해선 최첨단 유리온실이 해법이라고 판단하고 2012년까지 1,641억원의 예산을 들여 대규모 유리온실 단지를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온실을 어떤 재질로 할 것인지, 어느 지역에 어느 정도 규모로 설치할 것인지 등 세부 추진 방안을 마련키 위해 연구용역을 진행중이다.
이 같은 정부의 구상에 대해 농업계 안팎에선 한국형 유리온실에 대한 세부 검토도 없이 무리하게 추진할 경우 1990년대에 실패로 끝난 유리온실의 악몽이 되풀이될 수 있다며 크게 우려를 나타냈다.
이들은 지난 90년대 정부가 우루과이라운드(UR) 협상 후 농업계의 위기감이 고조되자, 무려 8,800억원을 유리온실 산업에 쏟아부었다가 투자금 회수는 커녕 많은 농가가 빚더미에 나앉았던 ‘아픈 기억’을 떠올리고 있다.
막대한 시설 설치비와 난방비 부담 등으로 농산물의 생산 원가가 높아지면서 국내는 물론 해외시장에서 철저히 외면받았던 당시의 경험이, 최근의 불안정한 국제유가 환경과 취약한 입지여건 등과 결합되면서 어두운 전망을 낳고 있는 것이다.
또한 어렵게 생산된 고비용 농산물이 내수시장에 홍수 출하될 경우 시장가격 교란 문제도 가볍게 볼 수 없다는 목소리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대규모 유리온실 도입에 대한 농업계의 불안과 우려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신중한 접근 자세가 요구된다.
김소영 기자 spur222@nongm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