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적 차원의 쌀 대북지원’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이낙연 국회 농림수산식품위원장은 18일 성명을 통해 “정부는 올 연말 쌀 재고가 81만6,000t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고, 농민단체들은 100만t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쌀값 하락 방지와 올 수확기 쌀 수매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대북 쌀 지원을 즉각 재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쌀 재고가 늘어난 가장 큰 이유는 2002~2007년까지 매년 평균 26만t(수입쌀 포함 42만t)의 국내산 쌀을 북한에 보내다가 지난해부터 보내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며 “대북 쌀 지원은 북한 동포들의 기아 공포와 우리 농업인들의 수매 불안을 줄이고 남북관계의 새로운 출구를 찾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박지원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당 고위정책회의에서 “인도적 차원에서 대북 식량 지원을 했다면 쌀 재고가 지금처럼 문제되지 않았을 것”이라며 당의 관련 위원회가 대책을 강구해 줄 것을 주문했고, 강기갑 민주노동당 의원은 “쌀 대북지원과 해외원조를 즉각 실시해야 한다”는 논평을 발표했다.
여당인 한나라당 소속 일부 의원들도 인도적 차원의 대북 쌀 지원에 긍정적인 입장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농민단체들 역시 쌀 대북지원 재개를 바라고 있다.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와 전국농민회총연맹 등 농민단체들은 성명과 기자회견을 통해 “정부는 북한에 대한 쌀 지원을 당장 재개하고 ‘대북쌀지원 법제화’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최준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