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18년까지 ‘세계 5대 농업유전자원 강국’이 될 것을 선포했다.
이를 위해 분야별 전문기관을 육성하고, 재래종 유전자원 등 국가 중요 자원에 대해서는 DNA(디엔에이)뱅크도 구축해 자원주권을 확보할 계획이다.
농림수산식품부는 21일 농업유전자원심의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농어업 유전자원 보존·관리·이용 활성화를 위한 기본계획’을 심의·확정했다. 지난해 기준으로 우리나라가 보유한 유전자원은 102만2,401점(산림자원 포함)으로 세계적 규모이지만 식량작물에 편중(65%)돼 있어, 원예·특용작물이나 토종자원은 부족한 실정이다.
농식품부가 이번에 마련한 기본계획은 국내외 유전자원을 수집·보전·활용할 수 있는 종합관리체계를 구축, 2018년까지 세계 5대 유전자원 강국이 되는 방안을 담고 있다.
우선 국내 대학이나 연구소·유전자원기관 등이 참여하는 ‘유전자원 조사·수집팀’을 구성하고, 한반도가 원산지인 토종자원을 외국으로부터 반환 받기 위한 국가간 협력체계도 강화한다.
또 연구자나 육종가 등이 실제 활용할 수 있도록 유전자원의 특성평가도 강화한다. 유전자원의 특성평가는 그 자원의 ▲생리적·생태적 특성 ▲내(耐)병충성 ▲기능성 등을 파악하는 일로, 유전자원 활용의 토대가 된다. 농식품부는 특성평가 육성 차원에서 농촌진흥청의 농업유전자원센터를 ‘정밀평가 중심기관’으로 운영하고, 대학 등 유전자원 관리기관도 병이나 해충·기능성 성분 등 분야별 평가 전문기관으로 키운다.
특히 DNA뱅크(동식물 유전자원의 DNA를 은행처럼 체계적으로 장기 보존하는 시설)를 확대해 국가 중요 유전자원을 보호하도록 했다. 현재 DNA뱅크에는 2만1,000점이 등록돼 있지만 이를 2018년까지 5만8,000점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발아율이 60% 이하이거나 종자량이 400개(립) 이하로 증식이 필요한 소량·저활력 유전자원은 특별 증식 사업을 벌이고, 국립농업과학원 등 유전자원기관에는 단기 전문가 과정을 개설해 전문인력을 양성하도록 했다. ☎02-500-2455.
오영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