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나로호에 탑재돼 쏘아 올려진 우리의 과학기술위성 2호가 궤도 진입에 실패함에 따라 농업계의 아쉬움도 커지고 있다. 제주에서 위성사진 등을 농업업무에 활용하는 행정 공무원들이 특히 그렇다.
제주시 내 각 읍·면 주민센터의 농업 담당 공무원들은 수년 전부터 위성위치추적시스템(GPS)을 활용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단말기를 이용해 위성과 연결함으로써 현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각종 농업 시책에 필요한 현장조사 때 나침반 역할을 한다는 것. 밭 번지수를 찾아가야 하는 업무 특성상 기존 지적도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설명이다. 지적도는 실제 현황과 다를 수 있어 헷갈리는 경우도 간혹 생기고, 찾기가 힘들어 농가를 대동해도 임차농의 경우엔 정확한 번지수를 모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시스템을 이용해 밭에서 단말기를 누르면 정확한 번지수가 곧바로 나온다. 한 읍 주민센터 관계자는 “지적도와 함께 이 시스템을 쓰면 정확한 현장 확인이 가능하다”며 “실제 이 시스템은 조건불리지역 직불제나 최근에는 감귤안정생산 직불제 대상 필지 현장 확인 때 편리하고 긴요하게 활용됐다”고 밝혔다.
위성사진도 이 같은 업무에 함께 쓰이고 있다. 제주시청을 통해 각 읍·면 주민센터로 제공되는 위성사진은 정확한 밭 모양 등이나 면적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미리 위성사진을 통해 이 같은 현황을 파악, 현장 확인에 나서면 큰 도움이 된다는 것.
하지만 위성사진을 전부 외국에서 사서 쓰는 실정이라 비용이 만만치 않다는 후문이다. 실제 제주시가 지난해 조사한 결과 읍·면을 포함한 제주시 전역의 위성사진을 사는 데 소요되는 비용이 수천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제주시청 관계자는 “우리 위성이 있다면 비용이 훨씬 저렴해지지 않겠느냐”며 “이번 나로호 발사 자체는 성공했으니 다음 발사 때는 꼭 위성을 띄울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다”고 강조했다.
제주=강영식 기자 river@nongm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