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하개발아젠다(DDA) 협상이 관세 및 보조금 감축 지침을 정하는 세부원칙 단계를 뛰어넘어 국별양허표(C/S) 단계로 돌입한다. C/S는 세부원칙에 맞게 각국의 개방일정을 담은 이행계획서를 말한다.
농림수산식품부와 외교통상부에 따르면 4일 인도 뉴델리에서 폐막된 비공식 DDA 통상장관회의에서는 ‘세부원칙 협상과 C/S를 토대로 하는 양자협상을 병행하자’는 선진국들의 요구가 일부 받아들여졌다.
앞서 미국·캐나다 등 선진국들은 세부원칙 협상이 개도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양자협상 카드를 꺼냈다.
세계무역기구(WTO) 차원에서도 C/S 양식을 정하고 세부원칙 잔여 쟁점을 논의하는 실무급 회의가 이달 21일부터 시작된다.
이번 회의 의제에 C/S가 포함된 것 역시 선진국들의 요구가 있었기 때문으로 전해졌다.
농식품부의 한 관계자는 “선진국들의 궁극적인 목표는 인도·브라질·중국 등 개도국의 시장개방 정도가 얼마나 될지를 사전에 알아보자는 것”이라며 “세계무역기구(WTO) 모든 회원국이 양자협상에 나서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 통상전문가는 “양자협상 요구는 사실상 ‘개도국들이 특별품목을 선정할 때 수출국들의 관심품목은 가급적 배제하라’는 압력”이라며 “양자협상에 대한 요구를 받아들여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김상영 기자 supply@nongm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