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쌀 생산량이 대풍을 기록했던 지난해 수준에 육박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공공비축용 쌀 매입량을 대폭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농업 관련 연구기관과 산지 미곡종합처리장(RPC) 등에 따르면 올해 벼 작황은 등숙기 이후 맑은 날이 계속되면서 평년작(10a당 496㎏)을 웃돌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 앞으로 태풍 등 돌발변수만 없다면 지난해 수준(10a당 520㎏)에 이를 것이란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 5일 현재 산지 쌀값은 80㎏들이 한가마에 14만7,980원으로 지난해 같은 때보다 1만3,540원(8.4%) 낮고, 불과 10일 전보다도 1,820원(1.2%) 떨어졌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조생종 햅쌀 가격은 제대로 형성되지 못하고 있고, 산지 RPC들은 수확기 벼 매입가격 결정에 애를 먹고 있다.
양곡업계의 한 관계자는 “대풍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수확기 시장이 비교적 안정됐던 것은 이른 추석으로 햅쌀 20만t 정도가 10월 이전에 소비된데다 단경기 계절진폭이 크게 발생하면서 대농들이 자체 보유를 늘렸기 때문”이라며 “하지만 올해는 추석도 늦고 자체보유도 쉽지 않을 것으로 보여 수확기 출하물량은 지난해보다 훨씬 많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농업인들과 정치권은 정부의 공공비축용 쌀 매입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은 지난해 수확기 쌀값이 비교적 안정돼 변동직불금을 단 한푼도 집행하지 않은 만큼 이 예산 등을 활용, 공공비축용 쌀 매입량을 당초 계획(37만t)보다 20만t 정도 늘려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월물량 과다 여파에 따른 수확기 혼란으로 매입량이 58만t에 달했던 지난 2005년 수준을 바라고 있는 것이다.
농민단체의 한 관계자는 “정부는 2005년 수확기 초반에도 공공비축 물량을 늘려야 한다는 요구에 귀를 기울이지 않다가 쌀값이 폭락하자 나중에 14만4,000t을 추가로 사들였다”며 “수확기 시장을 초반에 안정시키려면 정부가 상황에 따라 공공비축 물량을 늘릴 수 있다는 신호를 보내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농민단체와 정치권은 추가 매입량에 대한 다양한 처리 대책도 내놓고 있다.
이들은 ▲인도적 차원의 대북지원 ▲해외원조 ▲전분 원료 활용 등의 방안을 제시하면서 “정부의 의지에 따라 쌀 수급조절은 얼마든지 가능할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최준호·김상영 기자
jhchoi@nongm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