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uch_200910_img2.jpg) | /much_200910_img1.jpg) | |  | | ■ 가을철 자목에 대한 수분관리 철저 필요 | |  | 여름철 고온, 병충해 등에 의한 신규 접종목의 피해 규모는 23.1%, 수확 가능한 자목의 피해 규모는 56.0% 였으며, 고온의 기상악화로 종균활착이 불량하여 사멸하는 등 기상피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 |  | 9~10월에는 일교차가 큰 가운데 건조한 날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다생산 고품질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자목의 수분관리가 필요하다. | | |  | 여름철 피해규모 | | 단위 : % | | | 구분 | 피해규모 | 기상피해 | 병 피해 | 충 피해 | 기타 | 신규접종목 | 10.0 | 3.7 | 0.0 | 9.4 | 수확가능목 | 30.0 | 7.3 | 5.7 | 13.0 | | | | | | | 주: 표본임가 조사치(8월 19일 ~ 9월 4일) | | | | ■ 여름버섯의 생표고 생산량 증가, 품질은 양호한 편 | |  | 원목재배 임가 중 여름버섯의 생산 비율은 30% 수준으로 생표고 생산량은 여름버섯의 재배 규모 축소와 고온, 심한 일교차 등 기상 악화로 작년 동기대비 6.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 |  | 반면, 톱밥배지 방식에 의한 표고버섯 생산량은 큰 폭으로 증가하여 가락시장 반입 비율은 원목 60%, 톱밥 40% 수준으로 크게 조정되고 있다. | | |  | 7∼8월 원목 생표고 생산량 증감률 | | 단위 : % | | | 구분 | 지역별 표본임가 중 여름버섯 생산임가율 | 작년 대비 생산량 증감률 | 전국 | 30.8 | -6.5 | 강원 | 37.5 | 4.9 | 경기 | 80.0 | -20.7 | 충북 | 40.0 | -12.2 | 충남 | 23.3 | -1.2 | 전북 | 54.2 | -18.1 | 전남 | 3.7 | -1.2 | 경북 | 41.7 | -3.3 | 경남 | 10.0 | 0.0 | 제주 | 0.0 | - | | | | | | | 주1: 표본농가 조사치(8월 19일~9월 4일) 주2 : "-"는 무음답임’ | | |  | 7∼8월 원목 생표고 품질 응답률 | | 단위 : % | | | 구분 | 작년대비 품질 응답률 | 양호 | 비슷 | 불량 | 생표고 | 43.9 | 34.8 | 21.2 | | | | | 주: 표본농가 조사치(8월 19일~9월 4일) | | | | | | |  | | ■ 7∼8월 생표고 가격 등급간의 차이를 보여 | |  | 생표고의 7월 평균 도매가격은 4㎏당 특품 59,288원, 상품 40,622원, 중품 23,356원, 하품 12,244원으로 전반적으로 작년보다 높게 형성되었으며, 특히 중,하품은 각각 28.0%, 42.2%씩 상승하였다. | | |  | 이는 작년 동월 대비 가락시장 반입량이 351톤으로 예년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소비에서 중,하품의 수요가 크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 | |  | 반면, 8월 평균 도매가격은 4㎏당 특품 49,663원, 상품 34,055원, 중품 19,911원, 하품 10,538원으로 전반적으로 작년보다 2.7% 감소하였다. 그러나 특품의 경우 12.9%로 큰 폭으로 감소한 반면, 하품은 6.3% 증가하여 등급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 | | |  | 가격이 전반적으로 낮게 형성된 이유는 톱밥배지 표고의 출하량이 급증하여 가락시장 표고 반입량이 작년 동기대비 15.1%로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 | |  | 생표고 월별 평균 도매가격과 반입량 | | 단위: 원/4kg, 톤 | | | 년도 | 구분 | 7월 | 8월 | 9월 | "09 | 특품 | 59,288 | 49,663 | 43,507 | 상품 | 40,622 | 34,055 | 30,244 | 중품 | 23,356 | 19,911 | 18,927 | 하품 | 12,224 | 10,538 | 10,440 | 반입량 | 351 | 440 | 20 | "08 | 특품 | 51,662 | 56,988 | 53,296 | 상품 | 33,450 | 35,886 | 34,253 | 중품 | 18,244 | 19,672 | 18,322 | 하품 | 8,597 | 9,917 | 8,740 | 반입량 | 344 | 382 | 578 | | | | | | | 자료 : 가락시장 주1 : 월별 가격은 가락시장 일일 도매가격의 월별 평균가격을 의미함. 주2 : 9월 자료는 9월 4일까지의 자료임. | | | |  | 생표고(중품)의 일일 도배가격 동향 | | /much_200910_img3.jpg) | | 자료: 가락시장 주1: 일일가격은 5일 이동평균가격임. 주2 : 평년가격은 ‘04~’08년의 가격 중 최대치, 최소치를 제외한 평균가격임. | | | ■ 9월 중순 이후 생표고 가격 작년대비 약보합세 전망 | |  | 8월에 감소하였던 버섯 발생이 점차 늘어나 시장 출하량 증가로 9월 중순 이후 생표고 가격은 작년대비 약보합세가 전망된다. | | |  | 다만, 건표고 가격의 경우 금년산 공급물량 부족으로 10월 초 추석명절을 전후하여 작년 동기 대비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 | | | | | | | | | | | /much_200910_img6.jpg) | | 소비자안전본부 식의약안전팀이 조사한 표고버섯, 차가버섯 등 수입버섯류의 35%(21개 제품)에서 허용기준(30ppm)을 초과하는 이산화황이 검출돼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농약 및 이산화황 잔류실태검사 결과 수입 버섯류의 95%에서 이산화황이 검출되었고, 21개 제품(35%)은 허용기준을 초과했다. 허용기준을 초과한 버섯의 대부분은 표고버섯(18개, 86%)으로 잔류 이산화황 평균 수치는 46.2ppm으로 나타났다. 이산화황은 식품의 색깔이 변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표백제, 산화방지제, 보존제 용도로 쓰인다. 일정량 이상 섭취할 경우 쇼크나 급성 복통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고 미국 FDA는 경고한 바 있으며, 천식환자가 소량만 섭취해도 호흡곤란 등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고 심할 경우 호흡기계통 암을 유발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하고 있다 | | | | | | /much_200910_img7.jpg) | |  | 9월 중순에는 상층 한기 및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의 변동폭이 크겠으나 전반적으로 평년과 비슷한 기온 분포를 보이겠으며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겠음. 9월 하순과 10월 상순에는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일교차가 큰 가운데 평년보다 기온이 높겠으며, 건조한 날이 많겠으나 남쪽을 지나는 기압골의 영향으로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 | | ■ 순별 평균기온 및 강수량 | 단위 : ℃,㎜ | | 구분 | 서울 | 강릉 | 대전 | 대구 | 전주 | 광주 | 부산 | 제주 | 9월중순 | 최고기온 | 25.6 | 24.3 | 25.8 | 26.4 | 26.4 | 26.5 | 26.0 | 25.6 | 최저기온 | 16.6 | 16.1 | 15.6 | 16.8 | 16.4 | 17.0 | 19.0 | 19.7 | 강수량 | 40.0 | 81.9 | 50.4 | 46.6 | 41.7 | 43.0 | 53.1 | 57.8 | 9월하순 | 최고기온 | 24.1 | 23.3 | 24.4 | 25.1 | 25.0 | 25.2 | 24.8 | 24.0 | 최저기온 | 14.3 | 14.3 | 13.1 | 14.6 | 14.1 | 14.8 | 17.5 | 18.0 | 강수량 | 26.2 | 52.8 | 38.5 | 35.6 | 34.8 | 32.8 | 40.3 | 63.2 | 10월상순 | 최고기온 | 22.2 | 22.0 | 22.6 | 23.8 | 23.3 | 23.7 | 23.8 | 22.8 | 최저기온 | 12.4 | 12.8 | 10.8 | 12.4 | 11.9 | 12.6 | 15.8 | 16.3 | 강수량 | 16.0 | 30.6 | 20.7 | 16.2 | 21.4 | 21.5 | 22.5 | 33.6 | | | | | 주:강수량은 1971~2000년의 평균치임 | | | | * 임업관측 2009년 11월호 예고(예정일자 : 2009. 10. 15) * | | |  | 품목: 표고버섯 | | |  | 내용: 표고버섯 재배 동향, 가격 동향, 수출입 동향 | | | 『임업관측월보』는 인터넷과 임업전문지를 통해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임업관측월보』와 관련하여 의견이 있으신 분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인터넷 홈페이지 내의 우측【바로가기】을 선택한 후【질의응답】을 이용하여 의견을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 | | | | 담당자 : 장철수, 석현덕, 김성주, 김영단 | 출처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