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stnut_200910_img7.jpg) | | /chestnut_mtitle.jpg) | |  | | | | ■ 복숭아명나방 피해 다소 증가 | |  | 조생종 밤의 복숭아명나방 피해율은 7.2%로 전년대비 다소 증가하였으며 지역별로는 충청도가 3%로 가장 낮고 경상남도와 전라도의 피해율이 9.3%와 10.1%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9월 중순이후 중생종의 본격적인 수확기가 도래하고 10월초 만생종이 수확되므로 품질향상을 위해 과실에 직접 위해를 가하는 복숭아명나방과 밤바구미 방제에 적극적인 관심이 요구된다. | | | |  | 주산지별 조생종 복숭아명나방 피해율 | | 단위 : % | | | | | 구분 | 전체 | 충청도 | 경상남도 | 전라도 | 2009 | 7.2 | 3.1 | 9.3 | 10.1 | 2008 | 5.6 | 4.0 | 6.0 | 6.7 | 2007 | 4.7 | 5.0 | 4.1 | 6.0 | | | | | | | 자료: 주산지 표본농가 및 통신원조사치(8월 24일∼9월 7일) | | | | ■ 밤 생산량 평년수준 유지할 듯 | |  | 금년도 밤 생산량은 태풍 등 특별한 기상요인의 영향이 없는 가운데 조생종은 착과율이 평년보다 저조하여 생산량은 평년대비 3.9%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생종 및 만생종은 착과율이 좋은 반면 낙과율이 낮고 과육의 비대성장이 저조하여 과실 크기가 적을 것으로 예상되며 생산량은 중생종 2%, 만생종 2.2%가 증가해 전체적으로 평년대비 0.3% 정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 | | |  | 지역별로는 충청도가 생산량이 0.9% 증가하는 반면 경상남도와 전라도는 폐원 및 관리부실 등으로 생산량이 각각 0.5%와 0.1% 정도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 | |  | 밤 주산지별 수확기별 예상 생산량 | | /chestnut_200910_img1.jpg) | | 자료: 주산지 표본농가 및 통신원조사치(8월 24일∼9월 7일) | | |  | | ■ 밤 산지가격 하락세 | |  | 8월 달 밤 상품 평균산지가격은 ㎏당 2,775원으로 작년 및 평년동기대비 26%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대 산지평균가격은 ㎏당 3,210원으로 작년 동기 2,850원에 비해 13% 상승하였다. | | | |  | 금년도 햇밤 출시이후 9월 상순 밤 상품 평균 산지가격은 8월 중순이후 하락세를 보이고 있지만 조생종의 수확량 감소로 인해 ㎏당 2,365원으로 작년과 평년 동기대비 17%와 33%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대 산지평균가격은 ㎏당 2,827원으로 작년 동기 2,700원에 비해 5% 상승하였다. | | |  | 주별 밤 산지가격(상품기준) | | /chestnut_200910_img2.jpg) | | | | 주 : 평년가격은 ’04년 1월 ~ ’08년 12월까지의 주별 가격 중 최대, 최소를 뺀 평균임. 자료 : 산림조합중앙회 | | | |  | 월평균 밤 산지가격 동향(상품기준) | | 원/kg | | 연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09 | 2,350 | 2,293 | 2,535 | 2,728 | 2,793 | 2,800 | 2,800 | 2,775 | (2,365) | - | - | - | 2008 | 2,197 | 2,370 | 2,285 | 2,144 | 2,060 | 2,130 | 2,200 | 2,200 | 2,015 | 1,900 | 2,005 | 1,980 | 평년 | 2,166 | 2,234 | 2,207 | 2,092 | 2,153 | 2,220 | 2,194 | 2,209 | 1,781 | 1,822 | 1,945 | 1,897 | | | | | 주 : | 9월 가격은 9월 8일까지, 평년가격은 ’04년 1월 ~ ’08년 12월까지의 주별 평균가격 중 최대, 최소를 뺀 평균을 의미하며, 산지가격은 공주, 광양, 부여, 하동, 순창, 순천지역 등의 평균 가격임 | | | | 자료 : 산림조합중앙회 | | | | ■ 밤 소비지가격 소폭 상승세 | |  | 그동안 횡보를 거듭하던 밤 상품 소비지가격은 8월 중순부터 ㎏당 4,610~4,770원으로 다소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8월 밤 상품 평균소비지가격은 ㎏당 4,690원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 가격은 작년 및 평년 동기대비 각각 8%와 9% 하락한 것이다. | | | |  | 9월 상순 밤 상품 소비지 평균가격은 ㎏당 5,020원으로 작년 및 평년 동기대비 각각 3%와 8%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 | | |  | 주별 밤 소비지가격 (상품기준) | | /chestnut_200910_img3.jpg) | | | | 주 : 평년가격은 ’04년 1월 ~ ’08년 12월까지의 주별 가격 중 최대, 최소를 뺀 평균임 자료 : 산림조합중앙회 | | |  | 월평균 밤 소비지가격 동향(상품기준) | | 원/kg | | 연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09 | 4,605 | 4,520 | 4,520 | 4,520 | 4,610 | 4,610 | 4,610 | 4,690 | (5,020) | - | - | - | 2008 | 4,870 | 5,223 | 5,555 | 5,984 | 5,358 | 5,338 | 5,153 | 5,100 | 4,913 | 4,850 | 4,850 | 4,850 | 평년 | 4,898 | 5,279 | 5,295 | 5,407 | 5,136 | 5,127 | 5,113 | 5,131 | 4,893 | 4,809 | 4,905 | 4,884 | | | | | 주 : | 9월 가격은 9월 8일까지, 평년가격은 ’04년 1월 ~ ’08년 12월까지의 월별 평균가격 중 최대, 최소를 뺀 평균을, 소비지가격은 서울, 부산, 광주, 대구, 대전, 울산, 인천 등의 평균 가격임 | | | | 자료 : 산림조합중앙회 | | | | ■ 밤 산지가격 강보합세를 보일 듯 | |  | 9월 산지가격은 밤 재고물량부족과 조생종의 수확량 감소로 평년보다 다소 높게 형성되었다. 중생종의 수확이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9월 하순 및 10월 상순 밤 산지가격은 평년수준으로 하락하겠지만 추석 및 수출수요 등으로 강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 | | | |  | | ■ 밤 수출 증가 전망 | |  | 8월까지 밤의 총 수출량은 584톤, 금액으로는 1,847천불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량은 작년 동기대비 6.8%, 평년 동기대비 13%가 증가하였다. | | | |  | 품목별로는 생밤 146톤, 깐밤 13톤, 조제밤 425톤이 수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생밤은 작년 및 평년 동기대비 5%와 23%가 증가하였고, 조제밤은 전년 및 평년 동기대비 각각 4.6%와 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 |  | 밤 수출은 환율 등 수출여건의 개선과 미국, 유럽 등 다양한 수출선의 확대에 힘입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 |  | 밤 수출 실적 | | 단위 : 톤 | | | 년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합계 | "08 | 생밤 | 65 | 20 | 2 | 44 | 0.8 | 1.5 | 2.8 | 10 | (136) | - | - | - | 146 | 깐밤 | 4 | - | - | - | - | - | - | 9 | (18) | - | - | - | 13 | 조제밤 | 12 | 149 | 46 | 67 | 27 | 22 | 48 | 54 | (1) | - | - | - | 425 | "08 | 생밤 | - | - | - | 31 | 40 | 11 | - | 57 | 5,733 | 3,840 | 726 | 227 | 10,665 | 깐밤 | - | - | - | - | - | 0.8 | 0.8 | - | 392 | 518 | 176 | 51 | 1,129 | 조제밤 | 54 | 18 | 42 | 64 | 55 | 65 | 40 | 68 | 95 | 67 | 48 | 79 | 706 | 평년 | 생밤 | 10 | 0.3 | 9 | 9 | 5 | 8 | 3 | 75 | 6,249 | 4,798 | 1,306 | 122 | 12,686 | 깐밤 | - | - | - | - | - | - | 0.3 | 0.3 | 488 | 617 | 200 | 19 | 1,331 | 조제밤 | 33 | 45 | 71 | 48 | 48 | 85 | 25 | 41 | 84 | 55 | 105 | 61 | 695 | | | | | | | 주 : | 9월은 9월 7일까지 밤 수출실적이며 합계에는 미포함. 평년은 2004년 1월~2008년 12월까지의 월별 값 중 최대, 최소를 뺀 평균이며, 소수점이하는 반올림하였음. | | | 자료 :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관세청, 농수산물유통공사(www.kati.net) | | | | ■ 밤 수입 감소 전망 | |  | 8월까지 밤의 총수입량은 2,870톤, 금액으로는 6,076천불로서 수입량은 작년 동기대비 43%, 평년 동기대비 31%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 | |  | 품목별로는 생밤 690톤, 냉동밤 1,469톤, 조제밤 711톤이 수입되었다. 작년 및 평년 동기대비 생밤은 33%와 32%, 냉동밤은 32%와 9%, 조제밤은 61%와 54%가 각각 감소하였다. | | |  | 밤 수입은 다양한 용도로 소비되는 냉동밤 중심으로 이루어지나 전반적인 중국산 밤 가격상승과 국내 경기 침체로 당분간 계속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 | |  | 밤 수입실적 | | 단위 : 톤 | | | 년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합계 | "08 | 생밤 | 144 | 87 | 135 | 122 | 69 | 57 | 45 | 31 | (2) | | | | 690 | 냉동밤 | 263 | 85 | 119 | 218 | 323 | 158 | 126 | 168 | (44) | | | | 1,469 | 조제밤 | 92 | 40 | 85 | 97 | 99 | 74 | 157 | 67 | (19) | | | | 711 | "08 | 생밤 | 229 | 150 | 138 | 161 | 167 | 60 | 78 | 54 | 85 | 197 | 126 | 128 | 1,573 | 냉동밤 | 416 | 121 | 270 | 351 | 237 | 339 | 345 | 88 | 140 | 334 | 199 | 254 | 3,096 | 조제밤 | 276 | 197 | 322 | 274 | 236 | 120 | 269 | 144 | 111 | 153 | 130 | 87 | 2,319 | 평년 | 생밤 | 246 | 183 | 149 | 119 | 134 | 63 | 69 | 51 | 82 | 203 | 188 | 211 | 1,763 | 냉동밤 | 361 | 159 | 255 | 183 | 170 | 218 | 159 | 115 | 294 | 248 | 276 | 277 | 2,930 | 조제밤 | 187 | 148 | 179 | 195 | 222 | 199 | 187 | 213 | 110 | 162 | 179 | 168 | 2,332 | | | | | | | 주 : | 9월은 9월 7일까지 밤 수입실적이며 합계에는 미포함. 평년은 2004년 1월~2008년 12월까지의 월별 값 중 최대, 최소를 뺀 평균이며, 소수점이하는 반올림하였음. | | | 자료:한국무역협회(www.kita.net), 관세청, 농수산물유통공사(www.kati.net) | | | |  | | ■ 조생종 품질은 평년수준이나 생산량 감소 | |  | 조생종의 생산량은 착과율이 낮아 평년대비 감소하였으나 열과율과 병해충과율이 낮고 당도, 크기, 색택 등 품질은 평년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 | | | | ■ 밤 총 생산량 평년수준 유지할 듯 | |  | 금년도 밤 총 생산량은 지역적인 차이는 있으나 평년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복숭아명나방 및 밤바구미 등 과실위해 해충에 주의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 | | | ■ 산지가격 평년수준에서 강보합세보일 듯 | |  | 10월 상순 밤 산지가격은 특별한 기상이변현상이 없고 중생종의 수확이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추석 및 수출수요 등으로 평년 수준에서 강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 | | | | ■ 밤 수출 증가, 수입 감소 전망 | |  | 밤 수출은 수출여건 개선과 함께 수출선의 다변화에 힘입어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밤 수입은 수입가격상승과 국내경기의 침체로 계속 감소할 전망이다. | | | | | /chestnut_200910_img4.jpg) | 단위 : 원/kg | | | 지역 | 첫수매 날 짜 | 수매날짜 | 수매가격 | 비고 | 특대 | 대 | 중 | 소 | 산청 | 9/4 | 9/7 | 2,000 | 1,500 | 800 | 500 | | 부여 | 9/1 | 9/7 | 2,500 | 2,000 | 1,000 | 500 | | 공주 | 9/1 | 9/7 | 2,500 | 2,000 | 1,000 | 500 | | 하동 | 9/1 | 9/6 | 2,000 | 1,500 | 900 | 500 | | 정안 | 9/1 | 9/7 | 2,800 | 2,200 | 1,200 | 500 | | 순천 | 9/1 | 9/6 | 1,800 | 1,500 | 800 | 500 | | | | | | | /chestnut_200910_img5.jpg) | 단위 : 원/kg | | | 지역 | 첫수매 날 짜 | 수매날짜 | 수매가격 | 비고 | 특대 | 대 | 중 | 소 | 산청 | 9/5 | 9/5~9/9 | 1,700 | 1,200 | 600 | 250 | - 가격변동 없음 | 부여 | 9/2 | 9/2~9/7 | 1,800 | 1,200 | 600 | 300 | | | | 9/8~9/9 | 2,200 | 1,300 | 600 | 200 | | 공주 | 9/2 | 9/2~9/7 | 1,800 | 1,200 | 600 | 300 | | | | 9/8~9/9 | 2,100 | 1,300 | 600 | 300 | | 하동 | 9/1 | 9/1~9/8 | 1,700 | 1,200 | 600 | 200 | | | | 9/9 | 2,000 | 1,300 | 600 | 300 | | 정안 | 9/1 | 9/1~9/9 | 1,800 | 1,300 | 600 | 300 | - 가격변동 없음 | 순천 | 9/8 | 9/8~9/9 | 1,500 | 1,000 | 500 | 300 | | | | | | | | /chestnut_200910_img6.jpg) | | ■ 요약 | |  | 기온 : | 평년(12~22℃)보다 높겠음. 9월 중순에는 상층 한기의 영향으로 기온의 변동 폭이 큰 가운데 평년과 비슷하겠음. 9월 하순과 10월 상순에는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으로 일교차가 크고 평년보다 높겠음. | | | |  | 강수량 : | 평년(72~199㎜)보다 적겠음. 9월 중순에는 평년보다 적겠으나 9월 하순과 10월 상순에는 건조한 날이 많은 가운데 남쪽을 지나는 기압골의 영향으로 평년과 비슷하겠음. | | | | | ■ 기압계 전망 | |  | 9월 중순에는 상층 한기 및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의 변동폭이 크겠으나 전반적으로 평년과 비슷한 기온 분포를 보이겠으며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겠음. 9월 하순과 10월 상순에는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일교차가 큰 가운데 평년보다 기온이 높겠으며, 건조한 날이 많겠으나 남쪽을 지나는 기압골의 영향으로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 | | | ■ 순별예보 | | | 순별 | 날씨 | 기온 | 강수량 | 9월중순 | 맑은날이 많겠음 | 평년(14∼23℃)보다 높겠음 | 평년(29∼92㎜)과 비슷하겠음 | 9월하순 | 맑은날이 많겠음 | 평년(12∼22℃)과 비슷하겠음 | 평년(22∼66㎜)과 비슷하겠음 | 10월상순 | 맑은날이 많겠음 | 평년(10∼21℃)보다 높겠음 | 평년(11∼42㎜)보다 적겠음 | | | | | ■ 순별평균기온 및 강수량¹ | 단위 : ℃,㎜ | | 구분 | 서울 | 강릉 | 대전 | 대구 | 전주 | 광주 | 부산 | 제주 | 9월중순 | 기온 | 20.7 | 19.9 | 20.2 | 21.2 | 20.9 | 21.2 | 21.9 | 22.6 | 강수량 | 40.0 | 81.9 | 50.4 | 46.6 | 41.7 | 43.0 | 53.1 | 57.8 | 9월하순 | 기온 | 18.9 | 18.5 | 18.2 | 19.4 | 19.0 | 19.5 | 20.6 | 21.0 | 강수량 | 26.2 | 52.8 | 38.5 | 35.6 | 34.8 | 32.8 | 40.3 | 63.2 | 10월상순 | 기온 | 16.9 | 17.1 | 16.1 | 17.6 | 17.0 | 17.5 | 19.2 | 19.6 | 강수량 | 16.0 | 30.6 | 20.7 | 16.2 | 21.4 | 21.5 | 22.5 | 33.6 | | | | | 주 : 1)1971~2000년의 평균치임. | | * 임업관측 2009년 11월호 예고(예정일자 : 2009. 10. 15) * | | |  | 품목: 밤 | | |  | 내용: 생산동향 및 전망, 가격동향 및 전망, 수출입동향 | | | 『임업관측월보』는 인터넷과 임업전문지를 통해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임업관측월보』와 관련하여 의견이 있으신 분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인터넷 홈페이지 내의 우측【바로가기】을 선택한 후【질의응답】을 이용하여 의견을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 | | | | 담당자 : 장철수, 석현덕 | | 출처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