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들은 콩의 자급률을 높이고, 쌀의 과잉문제도 해결하기 위한 논콩 지원정책을 적극 펴 줄 것을 호소하고 있다.
농민들은 정부가 2002년 논콩 지원정책을 추진, 자급률 향상과 벼의 재배면적 분산 등 긍정적인 효과를 거뒀음에도 2007년부터 중단돼 콩 자급률 하락 등의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농림수산식품부에 따르면 콩 재배면적은 2001년 7만8,000㏊이던 것이 2002년 8만1,000㏊, 2005년 10만5,000㏊, 2006년 9만㏊ 등을 기록했다. 그러나 2007년 논콩 지원정책이 중단되면서 그해 7만6,000㏊로 줄기 시작하더니 지난해는 7만5,000㏊로 감소했다. 지난해 기준 전체 콩 중 논콩이 차지하는 비중은 10%로 추정되고 있다.
이로써 사료용을 제외한 콩의 자급도는 2001년 28.1%에서 2006년 40.4%까지 올랐다가 지원정책이 중단되면서 지난해에는 28%대로 내려간 것으로 추정된다고 농식품부 관계자는 설명했다.
농민들은 콩은 쌀과 함께 국민의 기초적인 영양 공급원이자 식량안보의 ‘양대 축’인 점에 비춰 볼 때도 논콩 증산정책은 다시 펴야 할 사안이라고 입을 모은다.
김종길 남선갈라산작목반장(39·경북 안동시 남선면 구미리)은 “논콩을 밭콩보다 비싸게 수매하는 정부의 지원정책에 힘입어 논콩에 관심이 많았으나 정부가 손을 떼면서 소득이 더 좋은 벼 재배로 돌아서는 분위기”라면서 “소속 작목반도 논콩 재배면적을 지난해 38㏊에서 올해 29㏊로 줄였다”고 말했다.
오형근 콩식품살리기운동본부 회장은 “콩은 쌀과 더불어 식량안보에 중요한 작물이다. 쌀 과잉문제가 현안으로 대두된 상황에서는 논콩 장려정책을 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지난 2002년 편 논콩 추진사업은 사업 추진 과정에서 밭콩 재배농가의 반발과 함께 논·밭콩의 차별화가 안되는 등의 문제점이 많이 노출되면서 지원정책은 중단하되 수매제도는 유지하고 있다”며 과거처럼 논콩 지원정책을 펴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밝혔다.
한편 논콩 수매가격은 1㎏당 2002~2004년 4,770원에서 2005년 4,204원, 2006년 3,526원에 이어 2007~2008년은 밭콩과 같이 3,017원으로 낮췄다. 또 밭콩 가격은 2002~2004년 2,407원, 2005~2008년 3,017원이며, 올해는 논·밭콩 예시가격이 3,168원이다.
최인석 기자 ischoi@nongm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