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쌀 생산조정제’ 도입 촉구 목소리 높다 글의 상세내용
제목 ‘쌀 생산조정제’ 도입 촉구 목소리 높다
부서명 청양군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09-10-29 조회 1516
첨부  














‘쌀 생산조정제’ 도입 촉구 목소리 높다
 







“쌀 수급조절·가격안정에 도움” 주장…정부 “효율성 등 적합한 정책 아니다”



연이은 풍작으로 쌀 공급량이 수요량을 웃돌면서 ‘쌀 생산조정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커지고 있다. 일정기간 논을 놀리거나(휴경) 벼 대신 다른 작물을 심어(전작) 쌀 수급 및 가격 안정을 꾀하자는 것이다.



농협경제연구소는 최근 ‘쌀 수급동향과 대책’이란 보고서에서 2018년까지 연간 40만t의 쌀이 과잉 생산될 것으로 추정했다. 그러면서 수급 불균형을 해소하려면 매년 8만㏊의 논에 대해 생산조정제를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생산조정 방법으로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녹비작물 재배 ▲농가별 순환 휴경 ▲식량자급률 제고를 위한 콩 재배 ▲축산농가와 연계한 사료작물 재배 등을 제시했다.



신재근 농협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앞으로 쌀 생산량이 평년작만 유지하더라도 추가 재고가 발생한다”면서 “식량안보나 통일 등을 대비해 쌀 생산 능력은 보유하되 생산량은 소비수준에 맞춰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전남도도 논에 벼 대신 콩·옥수수를 재배하고 농가소득 감소분을 정부 예산으로 보전해 주자는 건의문을 26일 정부에 전달했다. 벼와 재배시기가 같은 콩·옥수수를 심어 쌀 수급을 조절하면서 한편으론 콩과 옥수수의 자급도를 끌어올리자는 취지다. 도는 작물별 평균소득이 1㏊당 ▲쌀 624만원 ▲콩 427만원 ▲옥수수 450만원인 점을 감안, 벼 대신 콩을 심을 경우 197만원, 옥수수는 174만원을 농가에 보전해 주자고 제안했다. 윤성호 전남도 친환경농업과장은 “생산조정제는 쌀 가격 안정은 물론 수입에 의존하는 곡물의 자급도를 높일 수 있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며 “도 자체적으로는 생산성이 떨어지는 논 중 약용작물 재배가 가능한 1,500여㏊를 대상으로 내년부터 전작 지원금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국회 농림수산식품위원회 소속 황영철 의원(한나라당) 역시 ‘쌀 수급 대책을 위한 정책제언’이란 자료를 통해 “정부가 쌀 생산량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황의원은 “일본은 논 면적의 36%를 휴경하거나 대체작목을 심어 수급을 조절한다”며 “정부가 쌀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려면 생산조정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농민단체도 1970~80년대부터 생산조정제를 실시하고 있는 미국·일본·대만의 예를 들면서 “장기적인 쌀 수급 안정을 위해서는 대북 쌀 지원과 함께 생산조정제가 꼭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렇지만 정부는 현재의 수급여건상 생산조정제가 필요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쌀 공급량 가운데 소비되고 남는 물량이 연간 16만t가량인데, 이 정도면 과잉이 아니라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또한 가공식품 활성화를 통해 쌀 소비를 늘릴 경우 2012년부터는 수급을 맞출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한편으로 정부는 생산조정제 도입에 따른 부작용을 걱정하고 있다. 휴경은 관리 소홀로 인한 병해충 확산 및 논의 황폐화가 우려되고, 전작은 대체작목의 과잉생산을 불러올 수 있다는 입장이다. 막대한 예산 투입도 정부로선 부담스러운 부분이다. 농식품부의 한 관계자는 “2003~2005년 시범사업으로 추진했던 쌀 생산조정제는 실패한 정책으로 평가됐다”며 “현재로서도 예산의 효율성, 그리고 논의 형상 유지 등을 고려할 때 적합한 정책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학계 일각에서도 반대 의견을 내는 학자가 적지 않다. 익명을 요구한 한 학자는 “쌀 생산을 장려하는 직불제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는 상황에서 정책 방향이 반대인 생산조정제를 도입한다는 건 모순”이라며 “두 제도가 동시에 운용될 경우 상충된 제도에 소득을 이중으로 보전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고 주장했다.



김상영 기자 supply@nongmin.com



출처 : 농민신문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