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농촌 다문화가정 확산·귀농 및 귀촌 인구도 급증 글의 상세내용
제목 농촌 다문화가정 확산·귀농 및 귀촌 인구도 급증
부서명 청양군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09-11-23 조회 1673
첨부  














농촌 다문화가정 확산·귀농 및 귀촌 인구도 급증
 





















 








  (*이미지를 저장하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농식품부 인력 등 태부족 ‘한계’…새 흐름에 맞는 정책 마련 시급



다문화가정의 확산과 도시민의 귀농이 농촌사회의 새로운 흐름으로 부각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07년에 결혼한 농림어업 종사자 중 40%가 국제결혼을 했다. 특히 농촌지역으로 분류되는 읍·면 거주 농촌총각 중 44.5%가 외국출신 여성과 결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반영하듯 농림수산식품부가 지난 4월 발표한 ‘농촌 다문화 후계세대 육성방안 연구’에서는 여성농가 중에서 이주여성농업인(농업에 종사하는 여성결혼이민자)이 차지하는 비중이 2005년 0.5%에서 2020년에는 6.2%로 높아질 것으로 예측했다.



또 이들이 2명의 자녀를 낳을 경우 19세 미만 농가인구에서 다문화자녀가 차지하는 비중은 같은 기간 동안 2.5%에서 49%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했다.



귀농·귀촌인구도 급증하고 있다. 올 들어 6월까지 귀농자는 2,510명으로, 지난 한해 총 귀농인구수(2,218명)를 이미 넘어섰다. 귀농인구는 2002년 769명을 저점으로 2004년 1,302명, 2006년 1,754명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엔 자연에서 살기 위한 생태형 귀농이 늘면서 귀농형태 또한 다양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농촌의 새로운 흐름에 맞춘 정부의 농정 강화가 요구되고 있다. 농식품부에 다문화가정과 귀농정책을 담당하고 있는 조직과 인력·정책 등이 미흡하기 때문이다.



현재 농식품부의 다문화가정 관련 업무는 이주여성농업인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나마 직원 한명이 여성농업인 육성차원에서 맡고 있다.



지난해 정부조직 개편에 따라 다문화가정 지원정책이 보건복지가족부로 일원화된 결과다.



그러나 복지부의 다문화가족 지원센터(전국 100개소)처럼 다른 부처의 다문화정책이 시·군·구 단위로 이뤄지면서 농촌소외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이 결과 가족 구성원간의 갈등 해소나 영농기회 확대, 다문화 후계세대 육성 등 농업·농촌의 특성을 반영한 중장기적 정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다문화가정이 농촌사회의 주요 구성원으로 부각될 것에 대비해 농식품부의 역할 강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귀농정책도 마찬가지다. 지난 5월 농식품부가 귀농·귀촌 정착지원사업을 발표했지만, 담당인력은 역시 한명뿐이다. 정책 마련에 있어 이제 막 첫걸음을 뗀 상태다. 이때문에 지방자치단체에 의존해 연도별 귀농인력만 파악할 뿐 귀농 후 농촌을 떠난 이탈률 등은 집계되지 않고 있다.



농민단체 관계자는 “다문화가정과 귀농 확산은 향후 농촌사회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중요 요인들”이라며 “이를 올바르게 이끌어가기 위해선 농식품부의 조직과 인력을 확대하고 관련 정책도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오영채 기자 karisma@nongmin.com





출처 : 농민신문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