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신년기획 / 시설농사 에너지 절감 ①지열 이용 파프리카 재배하는 정의일씨 글의 상세내용
제목 신년기획 / 시설농사 에너지 절감 ①지열 이용 파프리카 재배하는 정의일씨
부서명 청양군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0-01-08 조회 1648
첨부  














신년기획 / 시설농사 에너지 절감 ①지열 이용 파프리카 재배하는 정의일씨
 





















 








  파프리카를 재배하는 정의일씨가 축열식 수평형 지열난방시스템의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월 600만원 난방비 120만원으로 줄였죠”



국제유가의 고공행진이 몇년째 계속되면서 치솟는 난방비 부담에 시설농가들의 고민이 많다. 이에 본지는 다양한 아이디어를 짜내며 겨울철 난방비와 씨름하는 시설농가들의 에너지 절감 사례를 소개한다.



“추위가 매섭지만 요즘 같으면 정말 농사지을 맛이 납니다. 난방비가 3분의 2나 줄었거든요.”



경남 창원에서 수출용 파프리카를 유리온실 4,958㎡(1,502평)와 비닐온실 4,970㎡(1,506평)에서 재배하는 정의일씨(50·대산면 부북리). 겨울철이면 어마어마한 난방비 부담에 속을 끓이기 일쑤였지만 올겨울은 지난가을 도입한 지열난방시스템 덕분에 싱글벙글이다.



정씨는 지난해 지식경제부와 농촌진흥청이 공동으로 추진한 지열난방보급사업 대상자로 선정돼 10월에 ‘축열식 수평형 지열난방시스템’을 도입했다.



축열식 수평형시스템은 땅속 3m 안팎의 깊이에 PE(피이·폴리에틸렌)파이프를 매설하고 물을 순환시켜 지중열을 흡수한 뒤 히트펌프 열교환기의 냉매를 압축 또는 팽창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는 난방시설이다. 지중열은 겨울철에는 5~15℃가 되는데 축열과정을 거치면 40~50℃로 높아져 온실을 덥힐 수 있게 된다.



정씨는 “설치비가 다소 비싼 것이 흠이지만 2년 정도 지나면 투자비 회수가 가능한데다 반영구적이어서 초기비용이 결코 아깝지 않다”고 말했다.



지열난방시스템의 설치예산 중 80%는 정부(국고보조 60%, 지방비 20%)에서 지원 받을 수 있어 자부담은 20% 정도면 된다. 정씨는 유리온실에 적용할 시설 설치에 드는 4억2,000만원 중 8,400만원을 부담했다.



하지만 난방비 절감효과는 기대 이상이었다. 정씨가 지난해 12월 받은 전기요금 고지서에는 120만원(11월 사용분)이 찍혀 있었다. 종전처럼 경유를 썼다면 600만~700만원이 들었을 터였다.



사실 고온성 작물인 파프리카를 재배하는 정씨에겐 겨울철 난방비 부담은 해결해야 할 숙제였다. 2008년엔 고민 끝에 1억원의 자비를 들여 공기열을 활용한 난방시스템을 도입하기도 했다. 이 시스템은 공중의 열을 모아 히트펌프로 축열시켜 시설 내부를 덥히는데, 문제는 바깥 기온이 영하 5℃ 이하로 떨어지면 사실상 효과가 없다는 것이다. 게다가 안개가 많이 낄 때는 온실 내부에 성에가 자주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따랐다.



정씨는 “공기열난방시스템과 비교해 지열난방시스템은 외부기온과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난방효과를 얻을 수 있고, 시간대별로 설정한 온도를 자동으로 맞춰 주기 때문에 기온이 크게 떨어지는 새벽이나 한밤중에 하우스로 달려 나와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된 것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단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우선 재배면적 만큼의 파이프 매설 공간이 필요하다. 정씨의 경우 유리온실 인근의 땅이 본인 소유여서 이 문제를 비껴갔지만 임차지에서 농사를 짓는 경우라면 땅주인과의 합의가 쉽지 않아 사실상 어려울 수 있다.



물론 정씨가 도입한 수평형시스템이 아니라, 땅속 100~200m 깊이로 구멍을 뚫어 지열을 뽑아 쓰는 수직형시스템을 선택한다면 공간확보에 대한 부담을 덜 수도 있다. 하지만 시공비가 몇배로 많이 들어 경제성이 떨어지는 흠이 있다. ☎010-3077-5212.



창원=김소영 기자 spur222@nongmin.com


출처 : 농민신문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