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구제역 확산을 막기 위해 범정부 차원에서 대책을 수립해 방역을 강화하기로 한 가운데, 경기 포천 구제역 최초 발생지 인근 도로에서 방역요원들이 차량에 대한 소독을 실시하고 있다. | | 농가불안 고조 속 범정부 차원 구제역 차단 총력 … 소값 폭락 뜬소문에 홍수출하 경계해야 구제역이 본격적으로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농림수산식품부는 14~15일 구제역이 처음 발생한 포천의 젖소 농장으로부터 3.5㎞ 떨어진 한우 농장에서 확진 후 15마리를 살처분했다. 이어서 첫 발생지에서 각각 4.4㎞, 600m, 950m 떨어진 젖소 농장 3곳에서 잇따라 의심증상이 신고돼 124마리를 예방적 살처분했다. 살처분 마릿수나 이동통제 가축 마릿수도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또 관리지역의 도축장 4곳과 중부지역 가축시장 20곳이 폐쇄돼 축산 농가의 불안과 우려도 증폭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예방적 살처분에 나서는 등 범 정부 차원의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2차 발생…도축장·가축시장 폐쇄=농림수산식품부는 지난 7일 포천시 창수면에 이어 13일 두북면에서 구제역이 발생함에 따라 발생 농장 500m 안의 소와 돼지 등 1,348마리와 역학관련이 있는 18농가 1,040마리에 대해 살처분을 마쳤다. 또 15일 의심 젖소 70마리를 추가로 매몰처분했다. 이에 따라 1차 발생을 포함해 젖소 1,600여마리와 돼지 1,200마리, 한우 130여마리 등 모두 3,000여마리의 가축이 살처분됐다. 이동통제 대상 가축은 1차 9만7,800여마리와 2차 11만9,000여마리 등 20만여마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또 경계지역 안 1곳과 관리지역 안 3곳의 도축장이 운영을 중지한데다, 경기와 강원·충남·충북의 가축시장 20곳이 폐쇄돼 중부지역 가축 거래가 차질을 빚을 것으로 우려된다. ◆홍수출하 경계해야=이처럼 가축을 출하할 길이 좁아지면서 가장 경계해야 할 현상은 설 명절을 앞두고 한우의 홍수출하다. 홍수출하는 산지 소값을 더욱 떨어뜨리는 결과를 낳는 등 농가에게 막대한 피해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지난 2007년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한우 홍수출하가 쇠고기 수입 증가보다 소값에 더 악영향을 준다는 연구보고서를 발표하기도 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한우 출하물량이 1% 증가할 때 산지가격은 0.63% 내려갔으나 쇠고기 수입량이 1% 증가했을 때는 산지 소값이 0.1%만 떨어졌다. 홍수출하가 수입 증가보다 산지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6배나 높다는 얘기다.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는 구제역이 확산돼 소값이 폭락할 것이라는 근거없는 소문이 나돌며 홍수출하 조짐이 보인다는 것이 축산단체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정규성 축산유통연구소장은 “구제역 등 축산업에 좋지 않은 일이 생길 때마다 뜬소문을 퍼뜨려 이익을 챙기려는 사람들이 있다”며 “농가들은 구제역 발생과 상관없이 정상적으로 양축활동에 나서고 계획대로 출하해야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차단방역이 최선책=구제역을 조기에 종식시키기 위해선 차단방역이 중요하다. 농장 안에 어떤 병원체도 들어올 수 없도록 원천적으로 차단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농식품부는 발생지역에 가축 및 차량·사람 등의 출입통제를 강화하기로 하고 국방부의 병력지원을 요청했다. 하지만 현재 대부분의 농가들은 농장 안팎을 수시로 소독하는 등 방역활동을 강화했지만 올바른 소독법을 숙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 이를테면 소독제는 농도가 진하다고 효과가 높은 것이 아닌데도 희석 배율을 제대로 지키지 않거나 생석회 활용법도 잘 모른다는 것이다. 따라서 농가를 대상으로 올바른 소독요령을 알리는 교육과 홍보도 필요한 실정이다. 김광동·박상규 기자 kimgd@nongmin.com 출처 : 농민신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