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올해 203㏊ … 쌀 수급안정 기대
가축 사료로 쓰일 벼가 논에서 재배된다.
농림수산식품부는 올해 203㏊의 논에서 조사료용 벼를 시범 재배한다고 24일 밝혔다.
조사료용 벼 시범재배 지역은 전남 해남 금호간척지 160㏊, 충남 당진 대호간척지 20㏊, 전남 장흥과 전북 장수의 일반 논 23㏊ 등이다.
조사료용 벼는 식용 벼에 비해 30~35일 빨리 수확해서 사일리지 형태로 보관, 가축의 사료로 사용하게 된다.
농식품부는 조사료용 벼를 재배하는 농가 소득을 식용 벼 수준으로 맞춰 주기 위해 간접적인 지원 방안도 마련했다.
우선 옥수수 조사료에 준해 사일리지 제조비로 1t당 3만원을 지원하고, 조사료 전용 품종(녹양·목우)을 무상 공급하기로 했다. 또 1㏊에 80만5,000원인 간척지 사용료를 면제해 주는 한편 간척지 임대 기간도 1년에서 5년으로 연장해 주기로 했다.
농식품부의 한 관계자는 “논에 조사료용 벼를 재배하면 쌀 수급 안정은 물론 조사료 자급률 제고, 축산물 품질 고급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며 “시범재배 결과가 괜찮게 나오면 (조사료용 벼) 재배 면적을 대폭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상영 기자 출처 : 농민신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