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2010년 3월호 축산관측 동향 글의 상세내용
제목 2010년 3월호 축산관측 동향
부서명 청양군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0-03-02 조회 1174
첨부  









< 한육우 >한육우pdf


 


 


■ 한우 산지가격은 전분기보다 하락 예상 - 3∼5월 한우 가격 조정 본격화 예상


 


 


 


● 09년 송아지 가격 강세로 3월과 6월 한육우 사육 마리수 증가세는 지속


 



  • 한육우 사육 마리수 증가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이나 증가 폭은 다소 둔화 전망



  • 2010년 3월 사육 마리수는 전년보다 7.9% 증가한 267만 6천 마리로 예상되며, 6월 사육 마리수 또한 전년보다 7.0% 증가한 278만 마리로 전망

     


 


 


 


● 계절적으로 3∼5월은 쇠고기 초과 공급 시기


 



  • 한우 도축 감소로 3∼5월 쇠고기 공급지수는 전분기 대비 7.8% 하락(0.922)하지만, 수요지수는 9.6% 하락(0.904)하여 초과 공급 예상



  • 2010년 1월 쇠고기 수입량은 1만 7천 톤으로 전년보다 22.5% 증가

     


 


 


● 3~5월 한우 전국 평균 산지가격은 조정 국면 진입 전망


 



  • 쇠고기 비수기에 접어드는 3~5월 한우 암소 산지가격은530~550만원(600kg 기준, 전년 대비 16.1% 상승), 수소는 530~550만원(46.3% 상승), 수송아지 가격은 200~220만원(14.6% 상승)으로 전분기보다 하락 전망


 


▶ 한우 산지가격 전망




























 



한우 암소



한우 수소



한우 수송아지



2009년 12월

~ 2010년 2월



590만원대



580만원대



230만원대



2010년 3~5월



530~550만원



530~550만원



200~220만원



8,800~9,200원1)

(9,500~9,900원)2)




주: 한우 수소 전망치 1)은 생체 kg당 가격이며, 2)는 거세수소 기준 전망치임.


 


 


▶ 향후 한우 산지가격 상승 및 하락 요인






















 



 공급 측면



 수요 측면



상승

요인



*고급육 추세



 *유통단계 쇠고기 이력추적제



하락

요인



 *송아지 입식의향 신중

 - 최근 송아지 가격 하락


*한우 등급판정두수 증가


*쇠고기 수입량 증가



 *한우 가격 높은 수준


 *구제역


 *신종 인플루엔자




 


 


<젖소> 젖소pdf


 


■ 한파와 구제역의 영향으로 사육 마리수 전년대비 감소 전망 - 2분기까지 원유 생산량은 0.8~1.0% 감소 전망


 


● 젖소 사육 마리수 전년보다 증가하지만, 전분기보다 감소 전망




 



  • 작년에는 우유 가격 호조 등으로 젖소 사육 마리수 감소세가 완화되었지만, 2010년 2분기에는 한파로 인한 송아지 폐사와 구제역살처분으로 전분기대비 2.0% 감소 전망

     



  • 사육 마리수는 3월 44만 3천 마리(전년대비 1.1% 감소, 전분기대비 0.4% 감소), 6월 44만 마리(전년대비 0.2% 증가, 전분기대비 2.0% 감소) 전망


  


● 유제품 소비 증가로 분유 재고는 2007년 이후 최저 수준, 수입량은 증가




 



  • 2009년 4분기 원유 생산량은 전년대비 0.9% 증가

     



  • 유업체의 마케팅강화와 신제품 출시, 국내산 원유에 대한 수요 증가 등으로 유제품 총 소비량(원유 환산)은 전년보다 6.9% 증가

     



  • 분유재고량은 국내산 유제품의 수출 증가와 수입유제품의 국산분유 대체로 2007년 이후 최저 수준

     


 


 


● 산유능력 회복에도 불구하고 사육 마리수 감소로 원유 생산량은 감소 전망




 



  • 사료품질 및 사양관리 개선으로 젖소 산유능력이 회복됨에 따라 마리당 원유 생산량의 증가 요인이 있지만, 한파와 구제역 살처분에 따른 사육 마리수 감소로 원유 생산량은 감소할 전망

     



  • 1분기 원유 생산량은 52만 2천 톤(전년대비 0.8% 감소), 2분기 53만 4천 톤(전년대비 1.0% 감소) 전망

     


 


● 가구당 우유 평균 구매량 증가


 



  • 2009년 가구당 4주 평균 우유 구매량은 전년대비 1.8% 증가한 6.10kg


 


<돼지> 돼지pdf


 


 


■ 3~4월 돼지 지육가격은 전년보다 하락 전망 - 사육마리수는 전년 동월대비 3∼5% 증가 전


 


 


● 모돈수 증가로 돼지 사육마리수는 전년보다 증가세 지속될 전망



  • 평년보다 가격이 높게유지되어 2009년 12월 모돈수는 전년 동월대비 5.8% 증가(97만 마리)



  • 모돈수증가로 3월 사육마리수는 전년 동월대비 3.8% 증가한 953만마리, 6월 사육마리수는 4.9% 증가한 949만 마리, 9월 사육마리수는 3.0% 증가한 967만 마리 전망

     


 


 


 


● 3~9월 돼지 출하마리수는 2.7% 증가, 돼지고기 수입량은 감소 전망


 



  • 사육마리수 증가에 따라 3∼9월 출하마리수는 전년대비 2.7% 증가 전망



  • 가공용 돼지고기 재고 누적과 수입 돼지고기 소비 부진으로 동기간 수입량은 5.6% 감소 전망



  • 수입량은 줄지만 국내 생산량 증가로 3∼9월 돼지고기 공급량은 1.0% 증가 전망

     


 


 


 


● 5월 이후 돼지 지육가격은 전년 수준 회복 전망


 



  • 3~4월 전국 평균 지육가격은 전년 동기보다 13.9% 낮은 kg당 4,200~4,400원 전망(성돈 110kg: 32∼33만원)



  • 5~6월 전국 평균 지육가격은 전년 동기보다 7.1% 높은 kg당 4,600~4,800원 전망(성돈: 35∼36만원)



  • 7~9월 전국 평균 지육가격은 전년 동기보다 5.4% 낮은 kg당 4,400~4,600원 전망(성돈: 33∼35만원)

     


 


 


▶ 돼지 사육마리수 전망


 







 

 


 


▶ 돼지 지육가격 전망


 







 


 








구제역을 비롯한 전염병 차단방역 철저히 해야




 


 


<산란계> 산란계pdf


 


■ 3∼5월 계란 가격은 전년보다 하락 전망 - 계란 생산량은 증가 예상


 


● 2010년 6월 산란계 사육 마리수는 전년대비 3.1% 증가전망


 



  • 산란실용계 병아리 입식 마리수가 노계 도태 마리수보다 많아 2010년 6월 산란계 사육 마리수는 전년보다 3.1% 증가한 6,303만 마리 전망



  • 산란종계 입식 자료를 이용하여 병아리 생산 잠재력을 추정한 결과, 2010년 3월 병아리 생산은 전년 동월보다 6.5% 높지만 6월은 8.4% 낮아, 6월 이후 산란계 사육 마리수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


 


 


 


● 산란용 닭 마리수 증가로 3∼5월 계란 생산량은 전년보다 2.7% 증가 전망


 



  • 3~5월 계란 생산에 새로 진입하는 계군은 전년보다 23.2% 증가한 792만 마리



  • 신계군 증가로 6월 산란용 닭 마리수는 전년보다 3.1% 증가한 4,751만 마리 전망



  • 산란용 닭 마리수 증가로 3~5월 계란 생산량은 전년 동기보다 2.7% 증가 전망


 


 


 


● 올해계란 소비는 다소 증가 증가


 



  • 2009년 가정내 계란 월평균 구매량은 2008년보다 4.5% 증가(TNS World)



  • 설을 정점으로 하여 3∼5월은 계란 소비가 감소하는 시기이나, 작년보다는 계란가격이 낮아 올해의 소비는 다소 증가 예상


 


 


 


● 계란 생산량 증가로 3~5월 계란 가격은 1,000~1,200원대 전망


 



  • 계란 생산량 증가가 예상되어 3~5월 계란 가격은 전년보다 6.3~7.3% 하락한 1,000~1,200원대로 전망










■ 적어도 6월까지 과잉공급이 예상되므로 노계 도태 서둘러야




 


<육계> 육계pdf


 


 


■ 3월 육계 가격은 전년보다 상승 전망 - 육계 생산성 저하, 수요는 증가


 


 


● 3월 육계 사육 마리수는 전년보다 4.6% 증가 전망


 



  • 종계 사육 마리수 증가로 1월 종계 배합사료 생산량은 전년보다 8.1% 증가한 24,150톤



  • 병아리 생산이 증가하여 2010년 3월 사육 마리수는 전년보다 4.6% 증가한 7,185만 마리 전망

     


 


 


 


● 닭고기 총공급량은 전년보다 7.3% 증가한 6,177만 마리 전망


 



  • 사육 마리수가 증가함에 따라 2010년 3월 도계 마리수는 전년 동월보다 4.2% 증가한 5,169만 마리 전망



  • 전년보다 환율이 하락하면서 3월 수입량은 전년보다 크게 증가한 5,500톤 전망



  • 3월부터는 계절적으로 닭고기 소비가 증가하는 시기(소비지수 88.3)

     


 


 


 


● 수요 증가 및 생산성 저하로 3월 육계 산지가격은 2,100∼2,300원/kg 전망


 



  • 닭고기 공급 증가가 예상되지만, 수요 증가와 육계 생산성 저하로 산지가격은 전년대비 상승 전망



  • 2010년 3월 생체 kg당 육계 산지가격은 전년 동월(1,954원)보다 상승한 2,100~2,300원 전망

     


 


 


 


● 중기선행관측 요약


 



  • 7월까지 병아리 생산 잠재력이 전년보다 높게 유지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도계  마리수가 증가하여 5월 육계 산지 가격은 전년보다 0.2∼9.7% 하락 전망


 


▶ 2010년 3월 닭고기 총공급량 전망


단위: 만 마리

































구   분



도계마리수(C)



수입량(D)



비축물량(E)



공급계(C+D+E)



2010년(A)



5,169 



715 



293



6,177



2009년(B)



4,961 



390 



406



5,756 



증감률(A/B, %)



4.2 



83.3 



-27.7



7.3 




 


▶ 육계 산지가격 전망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