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군 농업기술센터는
당신의 꿈과 함께합니다.
제목 | 현장 / 저온현상 전국서 심각 … 대부분 농작물 피해 | |||||||||
---|---|---|---|---|---|---|---|---|---|---|
부서명 | 청양군농업기술센터 | 등록일 | 2010-04-29 | 조회 | 1356 | |||||
첨부 | ||||||||||
현장 / 저온현상 전국서 심각 … 대부분 농작물 피해
“혹한을 겨우 견뎠는데 4월 중순에 기온이 뚝 떨어질 줄 누가 알았겠습니까. 올해 수확은 고사하고 지금 상태라면 폐농해야 할 처지입니다.” 기상이변으로 인한 일조량 부족 피해에 이어 저온 피해와 언피해가 거의 모든 작물로 확대되면서 농가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복숭아=1만3,200여㎡(4,000여평)의 복숭아 과원 가운데 절반 정도의 언피해를 당한 이한석씨(47·충북 음성)는 “유일한 방법은 피해나무를 모두 캐내고 과수원을 다시 조성하는 것이지만 다시 심는 비용도 만만치 않고 향후 5년 동안 수확물이 없어 농가에는 치명적”이라고 괴로워했다. 충북 충주에서 1만1,560㎡(3,500여평)의 복숭아를 재배하는 농업인 김요섭씨(56)는 “듬성듬성 잎눈이 나오고 있지만 이마저도 서서히 말라 모두 떨어지고 있다”며 “사실상 폐농 상태나 다름없다”고 한숨을 쉬었다. 이들 지역에서는 땅 표면에서부터 지상 50㎝ 높이의 원줄기가 대부분 얼어 수분 이동이 차단되면서 말라죽는 현상이 진행되고 있다. 〈미백〉 〈썬골드〉 〈산정백도〉 〈장호원황도〉 등 모든 품종에서 피해가 나타나고 있다. ◆배=충남 금산군 남일면 일대에는 14일 눈까지 내렸고 얼음도 관측됐다. 8,265㎡(2,500여평) 규모로 배를 재배하는 서병도씨(61·남일면 신정리)는 저온 피해를 입은 어린 꽃봉오리를 직접 칼로 갈라 기자에게 보여 주었다. 10여개나 잘랐지만 모두 암술이 까맣게 죽어 있었다. 암술이 죽으면 수정 기능이 없어져 수분을 해도 열매가 맺히지 않는다. 서씨는 “겨우내 전지하고 최근에는 퇴비·비료까지 주고 꽃이 피기만을 기다리고 있었는데 4월 중순에 기온이 영하로 떨어질 줄 상상이나 했겠냐”며 한숨을 내쉬었다. 피해가 비단 이 지역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금산군 전체에 걸쳐 피해가 발생했고 전남 나주, 충남 천안·아산, 경북 영천지역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같은 피해를 입었다. ◆자두·단감=자두 주산지인 경북 의성군 봉양면 일대에서는 냉해로 인해 수분수 역할을 하는 조생종 자두꽃이 얼어 버렸다. 특히 〈홍로센〉 품종의 피해가 컸다. 3,960㎡(1,200평) 과원에서 〈홍로센〉 냉해를 입은 신영훈씨(53·봉양면 풍리)는 “지난겨울 언피해와 올봄 일조량 부족 등으로 꽃이 늦게 개화된데다 이번 냉해로 분화단계의 암술이 거의 말라 버려 올 농사를 망치게 됐다”고 말했다. 권부대 경북 경주 안강단감작목회장은 “안강지역 7만8,000㎡(2만3,000여평) 가운데 75%가 냉해를 입은 것으로 추정된다”며 “농작물재해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농가들은 올해 농사를 접어야 하는 심각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노지작물=전남 고흥 거금도에서는 극조생양파와 조생양파 수확량이 크게 줄어 농가들이 울상이다. 극조생양파 7,933㎡(2,400여평)를 재배한 김정헌씨(69·고흥군 금산면)는 “올해는 유난히 추운 날이 많아 언피해를 입은데다 일조량 부족으로 생육이 나빠 소득이 지난해 1,500만원에서 700만원으로 격감했다”고 하소연했다. 전남 장흥지역에서는 2월 말부터 수확기에 접어든 표고버섯이 잦은 비로 인해 품질이 크게 떨어졌다. 최상품과 상품은 찾아보기 힘들고 중·하품만 생산돼 농가소득이 절반으로 줄었다. ◆대책 서둘러야=신창열씨(54·강원 원주시 행구동)는 “언피해 판정시기가 늦어질수록 묘목값도 크게 오를 수 있는 만큼 하루바삐 피해 여부를 가려 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병국 (사)한국복숭아생산자협의회장(충북 충주 서충주농협 조합장)은 “현행 농작물재해보험은 과실이 열린 이후 발생한 피해에 대해서만 집중 보상하기 때문에 겨울철 언피해에 따른 손해보상 방안은 사실상 없는 실정”이라며 “재해지역 선포 등을 통해 최소한의 보상이라도 해 주는 것이 급선무”라고 강조했다. 또 농작물재해보험의 개선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현행 농작물재해보험의 경우 저온 피해는 특별약관으로 가입한 농가에만 혜택을 주고 있다. 전국종합 출처 : 농민신문 |
다음 | |
---|---|
이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