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2010년 6월 축산 관측정보 글의 상세내용
제목 2010년 6월 축산 관측정보
부서명 청양군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0-05-26 조회 1039
첨부  

<한육우>한육우pdf


 


■ 6~8월 한우 수소가격 8,500~8,800원(생체kg) 전망 - 출하지연 물량 많아 일시 출하되면 가격 하락폭 커질 수 있어


 


 


● 송아지 생산 증가로 6, 9월 한육우 사육 마리수 증가세 지속


 


- 정액 판매량이 증가한 것으로 보아 송아지 생산 크게 늘어날 전망


- 6월 사육 마리수는 전년보다 8.3% 증가한 281만 마리, 9월 사육 마리수 전년보다 7.4% 증가한 284만 마리 전망


 


 


● 도축두수와 쇠고기 수입량 증가로 6∼8월은 쇠고기 공급 크게 증가


 


- 구제역 발생에 따른 이동제한으로 인한 출하 지연으로, 30개월령 이상 한육우가 많아 도축두수 크게 증가 예상


- 1∼4월 쇠고기 수입량은 7만 1천 톤으로 전년보다 7.1% 증가


 


 


● 6~8월 한우 산지가격은 전분기보다 하락할 것으로 전망


 


- 수요 감소와 출하물량 증가가 예상되어 6~8월 한우 암소 산지가격은 전분기보다 하락한 540~560만원(600kg 기준), 수소는 510~530만원, 수송아지 가격은 220~240만원으로 전망


- 출하집중 시 한우 가격 하락 폭이 더 클 수 있어 계획적인 출하조절 요망


 


▶ 한육우 사육두수 및 산지가격 전망


 







  


▶ 6~8월 한우 산지가격 상승 및 하락 요인  


 






















 



공급 측면



수요 측면



상승



· 고급육 생산 추세



· 쇠고기 이력추적제



하락



· 송아지 입식의향 다소 낮아


· 출하지연 물량 상당히 많아


· 쇠고기 수입량 증가



· 한우 가격 고공행진


(소비자 저항)


· 구제역 이동제한




 


 


 










■ 송아지 생산 과잉이 우려되므로 사육마리수 조절이 필요한 시기




 


 


 


<젖소> 젖소pdf


 


■ 3분기 원유 생산량 감소 전망 - 사육 마리수 증가 불구하고, 생산성 회복 지연


 


● 젖소 사육 마리수 전년보다 증가, 전분기 대비 감소 전망


 


 


- 2010년 1분기에는 한파로 인해 송아지 폐사가 증가했지만, 사료 가격 안정 등으로 저능력우 도태가 지연되어 젖소 사육 마리수는 증가, 2~3분기에도 이러한 현상은 계속될 것으로 전망


 


- 사육 마리수는 6월 44만 3천 마리(전년대비 0.8% 증가, 전분기대비 1.3% 감소), 9월 44만 1천마리(전년대비 0.6% 증가, 전분기대비 0.5% 감소) 전망  


 


● 원유 생산량은 전년대비 감소 전망


 


 


- 젖소 사육 마리수 증가에도 불구하고, 한파와 구제역의 영향으로 산유량이 감소하여 2010년1분기 원유 생산량은 전년대비 1.2% 감소, 2~3분기까지는 생산성을 완전히 회복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


 


- 2분기 원유 생산량은 54만 톤(전년과 비슷), 3분기 51만 4천 톤(전년대비 1.8% 감소) 전망


 


 


● 유제품 소비 증가로 분유 재고량은 계속적으로 감소, 수입량은 증가


 


 


- 유업체의 마케팅 강화와 국내산 원유에 대한 수요 증가 등으로 유제품 총 소비량(원유 환산)은 전년보다 8.1% 증가, 재고 감소, 환율 안정 등으로 1분기 유제품 수입량은 전년보다 29.5% 증가


 


- 2010년 3월 분유 재고량은 국내산 유제품의 수출 증가와 수입 유제품의 국산분유 대체로 전년 동월보다 36.5% 감소


 


 


● 증가세이던 가구당 우유 평균 구매량이 올해 1분기에는 전년 수준


 


- 2007년 이후 매년 가구당 4주 평균 우유 구매량은 증가세를 보였으나, 2010년 3월까지는 6.10kg으로 전년 수준, 구매금액은 1만 4,182원으로 전년대비 0.4% 감소


 


 


<돼지> 돼지pdf


 


■ 추석 이후 지육가격 큰 폭 하락 전망 - 9월 사육마리수 1천만 마리 넘을 듯  


 


● 생산성 향상으로 9월 사육마리수는 사상 최대치 기록할 전망


 


- 모돈수증가와 폐사율 개선으로 6월 사육마리수는 전년 동월보다 9.0% 증가한 986만 마리,9월 사육마리수는 6.7% 증가한 1,008만 마리 전망


 


 


● 6~11월 돼지고기 공급량은 전년 동기보다 7.0% 증가전망


 


- 사육마리수 증가로6∼11월 출하마리수는 전년대비 5.7% 증가 전망


- 주요 수출국 사육마리수 감소, 국제 돼지고기 가격 상승으로수입량은 5.0% 감소 전망


- 국내산 생산량 증가와 재고 감소로 6∼11월 돼지고기 공급량은 7.0% 증가 전망


 


 


● 7월 이후 돼지 지육가격은 전년보다 하락, 10월은 평년 수준까지 하락 전망


 


- 6월 전국 평균 지육가격은 전년 동기보다 1.5∼5.9% 높은 kg당 4,600~4,800원 전망


- 7∼8월 전국 평균 지육가격은 전년 동기보다 6.1∼10.1% 낮은 kg당 4,400~4,600원 전망


- 9월 전국 평균 지육가격은 전년 동기보다 8.4∼12.8% 낮은 kg당 3,900~4,100원 전망


- 10∼11월 전국 평균 지육가격은 전년 동기보다 낮은 kg당 3,600~3,900원 전망


 


● 중기선행관측 결과 추석 이후 가격 하락폭 클 전망


 


▶ 돼지 사육마리수 전망


 







 


▶ 돼지 지육가격 전망


 







 










■ 사육마리수 조절 위해 저능력 모돈 도태 서둘러야 !




 


 


<산란계>산란계pdf


 


■ 6∼8월 계란 가격은 전년보다 하락 전망 - 사육 마리수 늘어 계란 생산량 증가


 


● 2010년 9월 산란계 사육 마리수는 전년대비 2.1% 증가 전망


 


- 산란실용계 병아리 입식 마리수가 많아, 2010년 9월 산란계 사육 마리수는 전년보다 2.1% 증가한 6,328만 마리 전망


- 병아리 생산 잠재력 추정 결과, 2010년 6월 병아리 생산은 전년 동월보다 9.0%,9월은 7.6% 높게 나타나, 산란계 사육 마리수 증가세 지속 전망


 


● 산란용 닭 마리수 증가로 6∼8월 계란 생산량은 전년보다 4.1% 증가 전망


 


- 6~8월 계란 생산에 새로 진입하는 계군은 전년보다 13.3% 증가한 808만 마리


- 신계군 증가로 9월 산란용 닭 마리수는 전년보다 2.1% 증가한 4,808만 마리 전망


- 산란용 닭 마리수 증가로 6~8월 계란 생산량은 전년 동기보다 4.1% 증가 전망


 


● 계란 소비 증가 추세는 완화 전망


 


- 2010년 3월까지 가정내 계란 월평균 구매량은 전년 동기보다 2.9% 증가


- 6∼8월은 방학 등으로 계란 소비 감소 시기이며, 대형마트의 장기 할인행사로소비 증가 둔화 현상이 발생하여, 계란 소비 증가 추세는 완화될 전망


 


● 계란 생산량 증가로 6~8월 계란 가격은 950~1,150원대 전망


 


- 계란 생산량 증가가 예상되어 6~8월 계란 평균 산지가격은 전년보다 7.5~17.2% 하락한 950~1,150원대로 전망


 


 










■ 7월 이후 공급 과잉이 예상되므로 노계 도태서둘러야




 


 


<육계> 육계pdf


 


■ 닭고기 총 공급량 증가로 6월 육계 가격 약세 전망  


 


● 6월 육계 사육 마리수는 전년보다 6.0% 증가 전망


 


- 4월 종계 배합사료 생산량은 전년보다 6.2% 증가한 25,859톤


- 병아리 생산 증가로 6월 육계 사육 마리수는 전년보다 6.0% 증가한 1억 598만 마리 전망


 


 


● 도계 마리수와 수입 및 비축물량 증가로 닭고기 총 공급량 증가 전망


 


- 사육 마리수 증가로 6월 도계 마리수는 전년보다 5.8% 증가한 7,340만 마리 전망


- 전년보다 환율이 낮게 유지되어 6월 수입량은 전년보다 증가한 7,000톤 전망


- 비축물량은 299만 마리로 전년보다 115.1% 증가하였지만, 계열업체 비축여력은 충분


 


 


● 닭고기 공급량 증가로 6월 육계 산지가격은 전년대비 하락 전망


 


- 도계 마리수와 수입 및 비축물량 증가로 6월 닭고기 총 공급량은 전년대비 7.4% 증가할 전망


- 2010년 6월 육계 산지가격은 전년 동월(1,939원)보다 크게 하락한 1,500~1,700/kg원 전망


 


 


 


● 7∼8월 육계 산지가격은도계 마리수 증가로 전년보다 하락 예상


 


- 병아리 생산 잠재력이 전년보다 높아 사육 마리수와 도계 마리수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7, 8월 산지가격은


각각 전년보다 낮은 1,700∼1,900원/kg, 1,600∼1,800원/kg 전망


 


▶ 2010년 6월 닭고기 총공급량 전망


단위: 만 마리



































구 분



도계마리수(C)



수입량(D)



비축물량(E)



공급계(C+D+E)



2010년(A)



7,340



910



299



8,549



2009년(B)



6,938



884



139



7,961



증감률(A/B, %)



5.8



2.9



115.1



7.4




 


▶ 육계 산지가격 전망


 







  










■ 하반기 공급과잉이 우려되므로 종계 도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