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방사선 조사식품 안전성에 대한 시각차 ‘여전’ 글의 상세내용
제목 방사선 조사식품 안전성에 대한 시각차 ‘여전’
부서명 청양군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0-08-19 조회 1578
첨부  














 








  식품의약품안전청이 마련한 방사선조사 식품 관련 포럼에서 전문가들이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


전문가들, 포럼서 “세계적으로 인정된 기술” … 소비자단체 “인체에 해롭다” … 허용반대 고수



방사선조사 식품이 인체에 무해하다는 식품당국과 그렇지 않다는 소비자단체간의 공방이 계속되는 가운데 이 식품이 국가의 식량안보와 경제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주장이 제기돼 관심이 쏠리고 있다(본지 8월9일자 13면 참조).



식품의약품안전청이 13일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개최한 ‘방사선조사 식품 바로 알기’ 주제의 제43회 식품의약품안전 열린 포럼에서 참석 전문가들은 이 같은 내용으로 식품당국의 ‘안전성 주장’에 힘을 실어 줬다.



변명우 우송대 교수는 주제발표를 통해 “방사선조사 식품은 세계보건기구(WHO) 등 국제기구에서 50~60년 동안 안전성 평가를 거쳐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인정된 기술”이라며 “방사선에 대한 소비자들의 오해 때문에 비용은 더 많이 들면서도 품질이 떨어지고 인체에 해로운 방부제나 화학물질 훈증처리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는 “국민 대다수가 방사선식품 하면 원자폭탄에 의한 방사능 피해를 연상해 거부감을 갖게 되는데, 방사선과 방사능은 다른 개념”이라며 “미국·캐나다 등에선 이런 문제 때문에 방사선이란 용어 대신 ‘이온화처리’ 등으로 용어 변경을 검토하고 있고, 국내 병원들이 ‘방사선과’를 ‘영상의학과’로 바꿔 국민 친숙도를 높인 사례를 주목해야 한다”고 용어 순화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주운 한국원자력연구원 박사는 “방사선조사의 안전성은 이미 세계적으로 검증된 상태여서 현재 국제적인 관심사항은 규율의 일치, 즉 농식물의 국제적인 교역과 검역 수단으로 방사선 기술의 활용이 제안되고 있다”며 “국가 발전과 식량자급률을 높이기 위해서라도 식품에 방사선을 활용하는 기술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밝혔다.



임무혁 식약청 연구관도 “방사선조사 식품은 전자레인지에 식품을 데우는 것과 똑같은 원리”라며 “식품이 어떤 목적에서 방사선처리됐는지, 이를 통해 품질이 어떻게 개선됐는지 등을 소비자들에게 적극적으로 알리는 등 소비자 이해를 증진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소비자단체를 대표해 참석한 김자혜 소비자시민모임 사무총장은 방사선조사 식품이 인체에 위험하므로 허용을 반대한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김총장은 “‘끼리끼리’라는 말이 있는데, 여기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하나같이 방사선조사 식품이 안전하다며 똑같은 논리를 펼치고 있지만 내가 만나는 사람들은 모두 과학적 근거와 데이터를 가지고 인체에 해롭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는 특히 “식품에 방사선 허용량이 식품공전 등에 엄격하게 제한돼 있는데도 유통중인 식품으로는 과연 허용량이 제대로 지켜졌는지 확인이 불가능한 게 문제”라며 “우리나라는 26개 품목에 방사선조사를 허용하지만 일본은 왜 감자 한품목만 방사선조사를 허용하는지에 대해 연구해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광동 기자


출처 : 농민신문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