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군 농업기술센터는
당신의 꿈과 함께합니다.
제목 | 2010년 9월 축산 관측정보 | ||||||||||||||||||||||||||||||||||||||||||||||||||||||||||||||||||||||||||||||||||||||||||||
---|---|---|---|---|---|---|---|---|---|---|---|---|---|---|---|---|---|---|---|---|---|---|---|---|---|---|---|---|---|---|---|---|---|---|---|---|---|---|---|---|---|---|---|---|---|---|---|---|---|---|---|---|---|---|---|---|---|---|---|---|---|---|---|---|---|---|---|---|---|---|---|---|---|---|---|---|---|---|---|---|---|---|---|---|---|---|---|---|---|---|---|---|---|
부서명 | 청양군농업기술센터 | 등록일 | 2010-08-26 | 조회 | 1348 | ||||||||||||||||||||||||||||||||||||||||||||||||||||||||||||||||||||||||||||||||||||||||
첨부 | |||||||||||||||||||||||||||||||||||||||||||||||||||||||||||||||||||||||||||||||||||||||||||||
<한육우>
■ 추석 한우가격 작년보다 낮고, 하락세 이어질 전망 - 9, 12월 사육 마리수 290만 마리 내외 예상
● 송아지 생산 마리수 늘어 9, 12월 한육우 사육 마리수 계속 증가 전망 - 정액 판매량이 증가하여 2011년 5월까지 송아지 생산 잠재력 전년보다 높아 - 9월 사육 마리수는 전년보다 10.2% 증가한 291만 마리, 12월 사육 마리수 전년보다 9.7% 증가한 289만 마리 전망
● 한육우 도축과 쇠고기 수입량 증가로 9∼11월 쇠고기 공급 15%내외 증가 - 상반기 출하지연 물량이 많아 9~11월 도축 마리수는 전년(20만 2천 마리)대비 9.9% 증가한 22만 2천 마리로 전망 - 8월 이후 연말까지 쇠고기 수입 약 8만 2천~10만 6천 톤(전년대비 15.5~23.3% 증가) 추정
● 9월 한우 수소 산지가격은 작년 추석(10월초)보다 낮을 전망 - 도축과 수입량 증가로 9월 한우 수소 산지가격은 510~530만원(600kg 기준)으로 작년 추석(10월초, 530~540만원)보다 하락 예상 - 10~12월 한우 암소 산지가격은 전년 동기(572만원)보다 크게 하락한 480~500만원, 수소는 470~490만원, 수송아지 가격은 210~230만원으로 전망
▶ 한육우 사육두수 및 산지가격 전망
▶ 9~11월 한우 산지가격 상승 및 하락 요인
<젖소>
■ 젖소 사육마리수 감소로 4분기 원유 생산량 감소 전망 - 분유재고는 전년대비 33.7% 감소
● 하반기에도 젖소 사육마리수 감소세는 지속될 전망
● 원유 생산량은 전년대비 감소 전망 - 최근 무더위로 젖소의 생산성이 하락하였지만, 9월 이후 생산성 회복 전망 - 생산성 회복에도 불구하고 사육마리수 감소로 3분기 원유 생산량은 전년대비 0.9% 감소한 51만 9천 톤, 4분기는 전년대비 1.5% 감소한 51만 2천 톤 전망
● 유제품 소비 증가로 분유 재고량은 계속적으로 감소, 수입량은 증가 - 2010년 6월 분유 재고량은 전년 동월보다 33.7% 감소 - 유제품 수출 증가와 분유 재고 감소로 2분기 수입 유제품을 포함한 유제품 소비량(원유 환산)은 전년보다 1.8% 증가, 유제품 수입량은 전년보다 10.2% 증가
● 증가세이던 가구당 음용 우유 평균 구매량이 올해 들어 감소 - 2007년 이후 매년 가구당 4주 평균 음용 우유 구매량은 증가세를 보였으나, 올해(5월까지)에는 6.05kg으로 전년대비 0.8% 감소(Kantar World panel Korea)
<돼지>
■ 9월 지육가격 4,300∼4,500원 전망 - 9월 이후 사육마리수 1천만 마리 수준 유지
● 9월 이후 사육마리수는 1천만 마리 내외 유지 전망 - 생산성 개선으로 9월 사육마리수는 전년 동월보다 6.7% 증가한 1,001만 마리,12월은 4.0% 증가한 997만 마리 전망
● 금년 9∼내년 2월 돼지고기 공급량은 전년 동기보다 4.2% 증가전망 - 출하마리수 증가로금년 9∼내년 2월 돼지고기 생산량은 전년대비 7.3% 증가 전망 - 동기간 수입량은 전년보다는 2.7% 증가 전망 - 국내 생산량 증가와 수입량 증가로 돼지고기 공급량은 4.2% 증가 전망
● 지육가격은 전년보다 낮지만, 10월(3,500원)을 저점으로 회복세 전환 - 9월 지육가격은 공급량 증가로 전년보다 다소 낮은 kg당 4,300~4,500원 전망 - 사육마리수 증가로 연말까지 지육가격은 전년보다 낮지만, 내년 1∼2월은 구제역 영향으로 가격이 낮았던 금년보다 소폭 상승 전망
▶ 돼지 사육마리수 전망
▶ 돼지 지육가격 전망
<산란계>
■ 9∼11월 계란 가격은 전년보다 하락 전망 - 사육마리수 늘어 계란 생산량 증가 예상
● 2010년 12월 산란계 사육마리수는 전년대비 0.3% 증가전망 - 2010년 상반기 산란종계 입식 마리수가 전년대비 2.9% 증가하여산란계 사육마리수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산란 실용계 병아리 입식 증가와 산란용 닭 마리수 증가로 2010년 12월 산란계 사육마리수는 전년보다 0.3% 증가한 6,315만 마리 전망
● 산란용 닭 마리수 증가로 9∼11월 계란 생산량은 전년보다 1.8% 증가 전망 - 9~11월 계란 생산에 새로 진입하는 계군은 전년보다 8.5% 증가한 846만 마리 - 신계군 증가로 12월 산란용 닭 마리수는 전년보다 0.5% 증가한 4,858만 마리 전망 - 산란용 닭 마리수 증가로 9~11월 계란 생산량은 전년 동기보다 1.8% 증가 전망
● 추석 이후 가정내 계란 소비는 주춤할 것으로 전망 - 2010년(5월 24일까지) 가정내 계란 월평균 구매량은 2009년보다 1% 증가 - 9∼11월은 추석 등으로 계란 소비가 증가하는 시기이나, 올해는 추석 수요가 앞당겨져 추석(9월 22일) 이후 11월까지 계란 소비가 주춤할 것으로 전망
● 계란 생산량 증가로 9~11월 계란 가격은 950~1,150원대 전망 - 계란 생산량 증가가 예상되어 9~11월 계란 평균 산지가격은 전년보다 0.9~18.1% 하락한 950~1,150원대로 전망
<육계>
■ 9월 육계 가격 1,400∼1,600원/kg 전망
● 9월 육계 사육 마리수는 7,378만 마리 전망 - 종계 배합사료 생산량이 증가한 것으로 보아 8월 병아리 생산은 전년보다 10.4% 증가 전망 - 병아리 생산 증가로 9월 육계 사육 마리수도 전년 동월보다 8.3% 증가 전망
● 닭고기 총 공급량 전년대비 8.5% 증가 전망 - 병아리 생산 및 육계 사육마리수 증가로 9월 도계 마리수는 전년보다 8.0% 증가 전망 - 환율 하락으로 9월 수입량은 전년대비 2.6% 증가한 8,000톤(1,040만 마리) 전망 - 닭고기 비축물량은 전년대비 35.8% 증가하였으나, 아직은 적정재고보다 낮은 수준
● 수요 증가로 9월 육계 산지가격 전년 수준 전망 - 닭고기 총 공급량이 증가하고 병아리 가격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나, 배달용 치킨 원산지 표시 의무화로 닭고기 소비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 - 2010년 9월 육계 산지가격은 전년 수준인 1,400~1,600/kg원 전망
● 닭고기 공급량 증가로 10∼11월 육계 산지가격 하락 전망 - 10∼11월에는 병아리 생산 잠재력의 큰 폭 상승으로 도계 마리수 증가에 따른 닭고기 공급량 증가가 예상되어,육계 산지가격은 전년보다 하락 전망
▶ 2010년 9월 닭고기 총 공급량 전망 단위: 만 마리
▶ 병아리 생산 잠재력 추이
<오리>
■ 9~11월 오리 가격은 6,500~6,700원 전망 - 오리 도압 마리수 증가로 가격 상승세 완화
● 11월 육용오리 사육 마리수는 1,967만 마리 전망 - 병아리 생산 증가로 11월 육용오리 사육 마리수는 전년보다 55.4% 증가 전망
● 도압 마리수 증가로 9~11월 오리고기 총 공급량 45.6% 증가 전망 - 사육 마리수 증가로 9~11월 도압 마리수는 전년보다 48.9% 증가한 2,199만 마리 전망 - 원산지 표시제 도입(8월 11일)과 국내산 가격의 약세로 9~11월 수입량은 전분기에 비해 크게 감소한 435톤으로 전망
● 9~11월 오리고기 수요 증가 전망 - 소비자의 오리고기에 대한 구매의향이 높아지고, 수요처가 다양해져 소비가 지속적으로 늘어날 전망 - 오리고기 소비는 전년대비 26.5% 증가 전망
● 9~11월 오리 산지가격 전년대비 상승하지만, 상승세는 완화 - 전년대비 공급은 소비 증가율보다 큰 45.6% 증가 전망 - 2010년 9~11월 오리 산지가격은 전년보다 2~5% 상승에 그친 6,500~6,700원/3kg 전망
▶ 2010년 9~11월 오리고기 총공급량 전망 단위: 톤
▶ 병아리 생산 잠재력 추이
|
다음 | |
---|---|
이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