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쌀 관련 통계 믿을 수가 없다” 글의 상세내용
제목 “쌀 관련 통계 믿을 수가 없다”
부서명 청양군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0-09-01 조회 1295
첨부  











 









“단경기 쌀값 오른다”…되레 하락 … 작년 단수 예측 실제와 5% 차이 … 올해산 생산·수요량 전망도 의문


 


“정부는 불과 석달 전에 단경기 쌀값이 4월 대비 최고 11% 이상 오른다고 큰소리치더니 왜 말이 없습니까. 올해는 40만~50만t만 남을 것이라는 말을 또 믿으라고요.”



본격적인 쌀 수확기를 한달여 앞두고 바닥을 모르고 곤두박질하는 산지 쌀값만큼이나 정부의 산지 쌀값과 올해 쌀 생산량 예상 등 쌀 통계에 대한 쌀 생산 농가의 신뢰도가 급락하고 있다. 특히 정부의 말만 믿고 올 수확기 나락을 사들여야 하는 산지 유통업체들은 지난 2년간 계속된 ‘양치기 소년식 거짓말’에 진저리를 내고 있다.







◆“단경기 쌀값 오른다”=지에스앤제이(GS&J)는 지난 4월19일 ‘시선집중’ 보고서에서 “올 7~9월 쌀 평균가격은 현재(4월)보다 6% 정도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에스앤제이는 “2010년 양곡연도 말 쌀 총 시장공급량은 432만6,000t으로 2009년 453만4,000t보다 4.6%(20만8,000t)가 줄어들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단경기 민간재고율 저하로 7~9월 쌀값은 수확기(14만2,861원)보다는 2%, 4월 초 가격(13만6,484원)보다는 6% 높아질 것”으로 예측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지난 5월 2009년산 20만t 추가격리 직후 내놓은 ‘쌀 민간부문 수급추정’ 자료에서 “2010년 양곡연도 말 시장공급 가능 물량은 431만7,000t으로 2009년 447만t보다 15만3,000t이 적다”고 전망했다. 농식품부 역시 한달 뒤인 5월25일 쌀 수급대책 자료에서 2009년산 쌀의 최종 유통재고는 416만6,000t으로 2008년산 421만3,000t보다 4만7,000t이 적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를 근거로 농림수산식품부는 “민간부문 시장공급량 감소로 올해 단경기(7~9월) 가격은 14만5,000~15만1,000원 수준으로 전망된다”면서 “이는 4월 가격(13만5,117원)보다 7~11.6% 상승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현실은 어떨까.



8월25일 기준 산지 쌀값은 80㎏ 한가마에 13만312원으로 추곡수매제 폐지 이후 최저가격으로 떨어지면서 12만원대 진입 초읽기에 들어갔다. 7월과 8월 평균가격은 13만2,973원을 기록, 농식품부와 관련 기관들의 ‘상승’ 전망을 무색케 하면서 4월 평균 13만5,117원보다 1.6%(2,144원)가 하락했다.



한 쌀 생산 농가는 “9월 쌀값의 추가하락을 감안하지 않더라도 농식품부의 올해 단경기 쌀값 전망은 추정치대비 최저 8.6%~최대 13.2%라는 헛다리를 짚은 셈”이라면서 “엉터리 전망은 하지 않는 것이 농가를 도와주는 것”이라고 질타했다.



◆올해 쌀 생산량?=농식품부는 올해 10a당 단수는 534~540㎏으로 467만~482만t의 쌀이 생산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반면 올해산 쌀의 수요량은 426만t으로 추정, 41만~56만여t의 잉여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참말일까.



지난해 10월 ‘9·15 작황조사’ 결과를 통해 10a당 단수는 508㎏으로 2008년에 비해 2.3% 줄어들 것이라고 발표했다. 하지만 한달 뒤 실수확량 조사결과 사상 최대 풍작인 534㎏으로 나타나 오차가 무려 26㎏(5.1%)에 달했다.



이러한 생산량 오차는 공공비축미 37만t 외에 추가 34만t, 올 5월 20만t 등 모두 91만t을 격리하고도 다시 9월에 8만t 이상을 더 시장에서 격리해야 하는 웃지 못할 상황을 초래했다.



그렇다면 올해 전망치는 믿을 수 있을까. 농식품부가 내놓은 10a당 단수는 사상 최대 전망치다. 일단 지난해 5.1%에 달하는 굴욕적인 예상생산량과 실수확량의 오차를 최소화해 보자는 계산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 양곡업계 관계자는 “〈호품〉 벼 재배면적이 15만㏊보다 크게 웃돌 것이라는 분석을 바탕으로 당초 518㎏ 정도로 예측했던 10a당 단수를 상향조정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하지만 쌀 생산량 조사 표본필지를 2005년 수준으로 회복하는 등의 과학적인 통계가 뒷받침되지 않는 한 신뢰 받기 어려운 전망”이라고 꼬집었다.



정부는 쌀 생산량 조사 표본농지를 2005년 9,000필지에서 2009년 3,359필지로 줄였고, 이에 비례해 예상생산량과 실수확량의 오차는 ▲2006년 0.8% ▲2007년 2.1% ▲2008년 4.8%로 벌어졌다.



올해산 쌀의 수요량이 426만t에 달할 것이라는 분석도 그렇다. 이는 국민 1인당 쌀 소비량이 해마다 2㎏ 정도씩 줄고 있는 ‘소비패턴’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농경연은 8월 농업관측 자료를 통해 올해 국민 1인당 쌀 소비량은 지난해보다 1.4%가 줄어든 73㎏으로 전망하면서도 올 상반기 소매업체의 쌀 판매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4.8%나 급감했다고 분석했다.



결국 국민 1인당 쌀 소비량 감소폭의 10배에 달하는 쌀 판매량 감소라는 ‘이상한 괴리’가 존재하는 한 쌀 수급과 가격 곡선은 따로 움직일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한형수 기자


출처 : 농민신문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