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구제역 철저한 방역 시급 글의 상세내용
제목 구제역 철저한 방역 시급
부서명 청양군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0-12-06 조회 830
첨부  














구제역 철저한 방역 시급
 





















 








  <위>유정복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은 2일 경북도청을 방문, 구제역 방역상황을 점검하고 구제역이 더 이상 확산되지 않도록 노력해 줄 것을 당부했다. 유장관은 아울러 “법적으로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며 “추가확산을 막는 데 모든 노력을 기울여 달라”고 강조했다. 이어 유장관은 의성군과 군위군에 설치된 이동통제초소를 방문, 방역 관계자들의 노고를 격려하고 인접 시·군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철저한 방역을 지시했다. 대구=유건연 기자 sower@nongmin.com



늑장 대응…확산 ‘초비상’ … 인력·장비 지원 서둘러야



경북 안동의 구제역 발생이 증가할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보다 철저한 방역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농림수산식품부는 유정복 장관이 참석해 매일 개최하는 가축방역협의회에서 구제역 의심 신고와 확진이 이번주(6~10일)까지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방역대를 지키는 데 역량을 집중하기로 협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농식품부 관계자에 따르면 최초 구제역 발생 농가와 역학관련이 있는 축산 농가가 무려 1,000여 농가에 달하고 집중관리대상으로 매일 전화로 예찰하는 농가도 300여 농가에 이르고 있어 당분간 구제역 의심축 신고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이들 집중관리대상 농가들이 모두 경계지역(최초 발생농장 반경 10㎞ 이내) 안에 있어 현행 경계지역의 방역대가 붕괴되지 않는다면 외부 확산을 막을 수 있다는 판단이다.



3일 오후 5시 현재 구제역 발생 건수는 9건이며 살처분 매몰 대상은 179농가의 소·돼지 5만8,521마리이다.



또 가축방역협의회는 예방적 살처분 범위를 한우 500m 이내, 돼지 3㎞ 이내로 유지하기로 했다. 이는 돼지의 구제역 바이러스 배출량이 한우보다 최고 3,000배까지 많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이와 함께 구제역 발생 때 경북지역의 방역시스템이 부실, 초기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했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방역초소 설치나 소독장치 등의 정상 가동이 구제역 발생 이후 3~4일 지나 완료되면서 초기 대응에 상당한 차질을 빚었다는 것이다.



특히 지난 10월 개정된 구제역긴급행동지침(SOP)을 제대로 익히지 못해 살처분 요령이나 방역초소 운영 등에 허점이 적지 않았는데 그만큼 인력과 장비가 부족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 축산 전문가는 “안동지역에서 발생한 구제역에 대한 지자체와 정부의 대처가 늦고 효과적이지 못한 것은 평상시 대비가 소홀했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축산 농가들도 구제역 방역 수칙을 철저히 지켜 추가발생을 막도록 누구보다도 먼저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 농민신문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