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유기농식품 인증마크 많아 헷갈려요” 글의 상세내용
제목 “유기농식품 인증마크 많아 헷갈려요”
부서명 청양군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0-12-06 조회 1019
첨부  














“유기농식품 인증마크 많아 헷갈려요”
 





















 








  각 업체의 자체 유기농 마크들.



원재료가 받은 마크 가공제품에도 표시해 소비자 혼란



유기(농)식품 관련 마크와 표현이 너무 많아 오히려 소비자들의 제품 선택에 혼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서울시내 주요 백화점 및 대형 할인매장, 친환경상품 전문매장 등에서 판매하는 유기(농)식품에 대해 조사한 결과, 원재료가 받은 유기 인증마크를 가공제품에도 그대로 표시해 소비자들이 이를 가공식품이 받은 유기 인증마크로 오인하는 사례가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가공식품이란 사용된 원재료의 95% 이상이 유기농산물이어야 하는데, 재료 중 일부만 유기농산물인데도 가공제품 자체가 유기제품인 것처럼 표기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 친환경농산물은 저농약·무농약·유기농산물로 나눠져 있으나 인증마크는 비슷해 구분하기 어려웠고, 특히 정부가 지정한 인증마크가 아니면서 유기(농)제품을 암시하는 업체 자체 마크도 많아 소비자가 올바르게 유기(농)식품을 선택하기 어려운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 소비자 4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친환경농산물 종류(저농약·무농약·유기농산물)에 대해 알고 있는 소비자는 절반 정도(50.3%)밖에 되지 않았고, 친환경농산물 종류를 확인하고 구입하는 소비자는 38.8%에 불과했다.



이와 관련, 소비자원은 원재료로 사용한 유기농산물의 인증기관 명칭이나 로고 등의 표시를 가공제품에는 표시할 수 없도록 하는 등 소비자 혼란 방지방안 마련을 관계부처에 건의할 계획이다.



소비자원은 또 소비자들이 유기(농)식품을 구매할 때는 반드시 유기농산물 인증마크와 유기가공식품 인증마크를 확인해 줄 것을 당부했다.

 

출처 : 농민신문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