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결국 구제역 예방백신을 접종하기로 했다.
농림수산식품부는 22일과 23일 잇따라 가축방역협의회를 열어 구제역 확산을 방지하고 조속한 시일 내에 청정국 지위 회복을 위한 비상대책으로 구제역 예방백신을 소에만 접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축산 농가와 생산자단체 등은 이번 구제역 확산의 원인으로 초동방역과 이동통제 실패 및 방역대 붕괴를 지적하고 있어 향후 논란이 예상된다.
농식품부는 23일 가축방역협의회에서 구제역 예방접종은 발생지역인 경북 안동·예천, 경기 파주·고양·연천 등 5개 시·군의 7,000여 농가, 소 13만3,000여마리에 한해 일정 반경을 대상으로 한 ‘링 백신’ 형태로 실시하기로 했다.
접종 범위는 안동은 시 전체, 나머지 시·군은 발생농장 중심으로 반경 10㎞ 이내다.
이들 5개 시·군 이외의 발생지역과 추가 발생지역에 대해서는 구제역 양성판정 가축은 현재의 방식대로 살처분 매몰하되 확산 여부를 점검해 추가 백신접종을 검토하기로 했다.
또 앞으로 접종을 실시한 지역에서 구제역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해당 농장의 우제류 가축만 매몰처분한다.
구제역 백신접종은 공무원·공중방역수의사·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농협 등 200개 팀 800여명을 투입해 예방접종 개시 후 10일 안에 완료할 수 있도록 조치할 계획이다.
예방약은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이 보관하는 30만마리분의 예방약을 우선 사용하고 영국 퍼브라이트연구소 항원뱅크에 비축하고 있는 120만마리분의 예방약도 조기 도입하기로 했다.
특히 농식품부는 연접한 3개 도(경북·경기·강원도)에 걸쳐 구제역이 발생함에 따라 최고 경보 인 심각단계에 준하는 수준으로 전국적인 방역조치를 강화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비발생지역에서도 발생지역에 준하는 방역조치 강화에 필요한 예산 351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는 전국 156개 시·군·구에 가축 사육 규모에 따라 1억~4억원까지 차등지원하며 통제초소 운영과 매몰지 사후관리 등 지역별 차단방역에 사용된다.
이번 백신접종으로 우리나라는 세계동물보건기구(OIE)로부터 청정국 지위를 잃게 되는 것은 물론 상당기간 ‘구제역 상시 발생국’으로 취급 받게 돼 소비자 불신은 물론 당분간 돼지고기 등 육류 수출길이 막히고 통상협상에서 수세적인 입장에 놓이게 돼 축산업 전반에 후유증이 클 것으로 우려된다.
하지만 축산 농가는 물론 생산자단체 등은 구제역 초기대응에 허점이 많이 드러난데다 경북에서 경기·강원으로 광역지자체를 넘나들며 확산되는 등 방역대가 붕괴된 것으로 드러난 만큼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우선이라는 입장이다.
한 축산단체 관계자는 “생산자들은 백신접종을 하지 않고 상황을 진정시키자는 것이 기본 입장이나 정부가 최소한의 범위에서 링 백신을 주장하고 대다수 전문가들도 문제가 없다고 말해 동의했다”며 “다만 추후 출하 때 백신 소와 그렇지 않은 소의 경락값 차이 등을 보전하는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