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이 장기화되면서 축산분뇨를 원료로 사용해 퇴비를 제조하는 퇴비업계의 어려움도 가중되고 있다.
한국유기비료공업협동조합이 퇴비업체 대표 등 78명을 대상으로 최근 구제역 등 가축전염병과 관련한 퇴비업계 영향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돈분이나 계분 등 퇴비 원료난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해당 지자체로부터 축산분뇨 수거활동이 통제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의 절반 이상인 55%가 통제를 받고 있다고 했고, 지자체로부터 퇴비 공급활동 통제를 받고 있는 곳도 45%에 달했다.
이는 퇴비업체가 구제역이 발생한 시·군에 위치한 곳이 많기 때문이다. 실제로 응답자의 58%가 구제역 발생 시·군에 퇴비 제조시설이 위치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사시기가 1월11~15일인 점을 감안하면 구제역 발생의 증가로 발생지역에 위치한 퇴비 제조시설과 축산분뇨의 이동제한지역은 이보다 크게 증가했을 것으로 추산된다.
특히 방역시설을 갖추고 있다는 응답자가 72%로 나타났으나 방역시설을 갖추고 있지 않다고 응답한 곳도 28%에 달했다. 방역시설을 설치한 곳은 대부분 자비로 설치한 것으로 조사됐다.
퇴비업계는 이대로 간다면 축산분뇨 등 원료 조달이나 퇴비의 공급에 큰 차질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축산분뇨 수거를 전면 통제하지 말고 소독차량에 대해서는 통행을 허용하는 등 선별 통제로 전환, 원료 수급에 지장이 없도록 해 줄 것을 바라고 있다. 이와 함께 축산분뇨의 배출·운반·처리시스템이 투명하게 구축될 수 있도록 해 줄 것도 요망했다.
길성균 한국유기비료공업협동조합 전무는 “퇴비 원료난이 심각해지면서 친환경농업에 필요한 퇴비 공급에도 큰 차질이 예상된다”면서 “퇴비업계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소독시설 설치비용을 지원하는 등 별도의 지원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 지원사업으로 공급되는 퇴비는 연간 200만t 수준으로, 성수기인 3~5월에 집중적으로 농가에 공급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