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구제역.AI피해농가 회생 대책 시급" 글의 상세내용
제목 "구제역.AI피해농가 회생 대책 시급"
부서명 청양군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1-03-04 조회 1078
첨부  














“구제역·AI 피해농가 회생 대책 시급”
 







축산농 정상화 토론회



 최악의 구제역 사태와 조류인플루엔자(AI)로 붕괴 위기에 처한 축산업 회생을 위해 대책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는 주장이 거세지고 있다.



 2월28일 국회 입법조사처 대회의실에서 강기갑 민주노동당 의원(경남 사천)과 정범구 민주당 의원(충북 증평·진천·괴산·음성)이 주관하고 ‘농어업 회생을 위한 국회의원 모임’ 및 시민사회단체 등이 공동주최한 ‘구제역·AI 피해 축산농 정상화를 위한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한목소리로 농가 회생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김영길 전국한우협회 부회장은 “구제역 방역 실패 책임과 환경오염 문제에만 매달려 논쟁을 벌이느라 한우가격 안정을 통한 농가 불안 해소가 구제역 사태 관리의 핵심이라는 것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부회장은 “앞으로 의욕을 상실한 소규모 농가들이 홍수출하에 나선다면 축산업은 붕괴할 것”이라며 “범정부적인 대책을 마련해 하루라도 빨리 피해 농가의 생산을 정상화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강조했다.



 이승호 한국낙농육우협회장은 “현행 구제역 보상기준이 젖소의 가치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생계 유지와 생업 재개에 턱없이 부족하다”며 “살처분 보상금 가격 적용시점을 입식제한 해제(입식 가능)시점 시세로 하고 종축 보상 실시 또는 고능력우 보상 적용범위 확대를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이회장은 유대 손실 보상기간을 현행 6개월에서 최소 1년 이상으로 확대하고 백신접종에 따른 피해보상도 현실화해 줄 것을 요구했다.



 김희동 전국구제역피해낙농가 비상대책위원장은 “현재의 보상금으로는 살처분 마릿수의 절반도 구입할 수 없다”며 “보상금 현실화가 어렵다면 동일한 능력의 젖소로 보상해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이병모 대한양돈협회장은 “앞으로 종돈 공급의 일부는 수입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데 일시에 종돈 수입이 몰릴 경우 기존 검역시설만으로는 원활한 처리가 어려울 것”이라며 “한시적으로 민간시설을 검역시행장으로 지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이회장은 국내 양돈산업의 자립기반이 확립될 때까지 수입종돈에 대해 한시적으로 수입관세 18%를 영세율화 또는 인하하는 방안을 주문했다.



 이와 관련, 황범순 행정안전부 재난안전팀장은 “피해 농가들의 경영을 정상화하는 데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출처:농민신문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