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의 여왕’ 5월의 또 다른 별명은 ‘축제의 여왕’이 아닐까. 속이 꽉찬 축제들이 잔뜩 몰려 있어서다. 탐나는 축제가 너무 많아 고민이라면 남차북채(南茶北菜)를 기억하시라. 남부지방엔 차 축제, 중북부지방엔 산나물 축제가 볼만하다는 얘기다.
- 녹차관련 축제
■보성다향제=전국 최대의 차 주산지를 자부하는 전남 보성에서 37년째 열리는 대표적인 녹차 축제. 올해는 330만5,000㎡(100만평)의 철쭉 군락지를 자랑하는 알림산의 철쭉제와 연계해 규모가 더욱 커지고 화려해졌다. 햇찻잎 따기, 다례 시연 등은 물론이고 녹차요리 콘테스트, 녹차 팔씨름왕 선발대회, 녹돈시식회 등 독특하고 재미난 행사가 풍성하다. 4~8일, 한국차소리문화공원과 보성차밭 일원, ☎061-853-2861~2. dahyang.boseong.go.kr
■하동야생차문화축제=차 시배지를 주창하는 경남 하동에서 16년째 마련하는 종합 차 문화 축제. 내실 있는 기획으로 3년 연속 대한민국 최우수 축제에 뽑히기도 했다. 올해엔 ‘왕의 녹차! 녹색풍류 ’라는 주제에 맞춰 궁중 차 문화를 체험하는 ‘접빈다례 의식’, 달밤에 섬진강변에서 야생녹차를 즐기는 ‘섬진강 달빛차회’, 사랑의 녹차 세족식 등 참신한 행사로 차별화했다. 4~8일, 화개·악양면 일원, ☎055-880-2377. festival.hadong.go.kr
■문경전통찻사발축제=차를 담는 찻사발을 주제로 하는 이색 축제다. 문경 전통 발물레 경진대회를 비롯해, 찻사발 국제교류전, 망댕이가마 불지피기, 도자기 괭물체험, 찻사발 깜짝경매 등 찻사발을 중심으로 한 도예문화 전반을 보고 만지고 느낄수 있다. 8일까지, 경북 문경새재도립공원 일원, ☎054-550-6393. www.sabal21.com
- 산나물 축제
■양구곰취축제=겨울잠에서 깨어난 곰이 가장 먼저 곰취를 찾는 까닭은? 답이 궁금하다면 양구로 오시라. 곰취는 향이 특히 강한 산나물이다. 곰취 주산지인 강원 양구 대암산 자락에서는 해마다 5월 곰취축제를 연다. 저렴한 가격에 곰취를 구입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곰취전병·곰취절임·곰취장아찌 같은 별미도 맛볼 수 있다. 14~16일, 동면 팔랑리 일원, ☎033-481-2191. www.ygtour.kr
■백두대간 내면 나물축제=강원 홍천 내면은 주변에 보이는 산들이 보통 1,000m급이다. 이러니 산나물이 많이 나는 것은 당연한 노릇. 주민들이 재배하는 고랭지 산나물도 5월이면 한창 출하를 시작한다. 주민들이 꾸려오던 마을 축제를 내면농협이 지난해부터 전국적인 행사로 규모를 키웠다. 산나물은 물론 산촌의 푸근한 인심까지 맛볼 수 있다. 21~22일, 내면고원체육공원, ☎033-432-2900. www.nm2900.com
■사재산마을 두릅축제=‘찐빵의 고장’ 강원 횡성 안흥이 산나물로도 유명하다는 사실을 아시는지. 해발 1,167m의 사재산에는 산자락에 깃들면 굶을 일이 없을 정도라는 전설이 전해 올 정도다. 산나물 시식 외에 안흥찐빵 만들기, 맨손으로 송어잡기, 손두부 만들기 등 다양한 부대행사도 있다. 9~11일, 안흥면 상안2리 일원, ☎033-342-8588. www.sangahnri.co.kr
■용문산 산나물 한우축제=경기 양평 용문산 산나물은 예로부터 맛이 좋기로 유명해 임금님의 수라상에까지 올랐다. 이 산나물과 양평 한우가 어우러져 미식가들이 더욱 군침을 흘리는 축제. 직접 산나물도 뜯고 그 나물을 계곡에서 씻어 즉석 비빔밥도 만들어 먹을 수 있다. 양평한우도 저렴한 가격에 판매한다. 6~15일, 용문산 관광지 일원, ☎031-773-5101. tour.yp21.net/main.asp
■영양 산채한마당=경북의 최고 오지답게 영양군은 산나물도 많이 난다. 영양 지방에서는 산나물을 ‘푸세’라고 부른다. 해발 1,219m 일월산 자락에 자생하는 산나물은 웰빙 식품으로도 인기가 높다. 산세가 험하지 않아 가족 단위의 이용객이 많은 축제다. 19~22일, 일월산·영양재래시장 일원, ☎054-680-6062. tour.yyg.go.kr
-기타 축제
△함평나비대축제=33㏊의 유채밭과 수만마리의 나비들이 어우러진 친환경 축제. 4월29일~5월10일, 전남 함평엑스포공원, ☎061-322-0011.
△담양대나무축제=지난날 대나무를 심고 죽엽주를 나눠 마시던 전통을 재현한 축제. 3~8일, 전남 담양 죽녹원·관방제림 일원, ☎061-380-3151.
△전주한지문화축제=우리 한지의 은은한 멋을 느낄 수 있는 축제. 5~8일, 전북 전주한옥마을 일원, ☎063-271-2503.
△춘향제=춘향을 기리는 세계적인 사랑축제. 6~10일, 전북 남원 광한루 일원, ☎063-620-4861.
△영주 선비문화축제=선비문화 체험을 통해 역사와 전통을 배우는 축제. 13~16일, 경북 영주 선비촌·한국선비문화수련원 일원, ☎054-639-6064.
△대구약령시 한방문화축제=한의학과 한약재의 모든 것을 망라한 축제. 3~7일, 대구 중구 남성로 일원, ☎053-253-4729.
△지용제=한국 현대시의 선구자 정지용 선생을 기리는 문학제. 13~15일, 충북 옥천 지용생가·정지용문학관 일원, ☎043-730-3408.
△수원도시농업·유채꽃축제=가족 단위로 나들이하기 좋은 수도권의 꽃 축제. 5일~6월6일, 경기 수원 도시농촌테마파크, ☎031-408-9977.
△연천전곡리구석기축제=다양한 구석기 문화를 둘러볼 수 있는 체험 중심 축제. 4~8일, 경기 연천군 전곡읍 일원, ☎031-839-2561.
△용대리 황태축제=제대로 말린 황태의 참맛을 느낄 수 있는 곳. 5~8일, 강원 인제군 북면 용대3리 일원, ☎033-462-4808.
△성주생명문화축제=제철을 만난 성주참외를 즐길 수 있는 축제. 27~29일, 경북 성주군 성주읍 성밖숲 일원, ☎054-930-6066.
△여주명품 금사참외축제=수도권에서 나들이하기 좋은 참외 축제. 27~29일, 경기 여주군 금사면 일원, ☎031-887-38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