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지방자치단체들이 친환경농업에 대한 육성책을 마련, 친환경농산물 생산량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면서 이를 전문으로 취급하는 유통시설 확대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지가 각 지자체의 친환경농업 육성책을 취재한 결과 대부분의 광역자치단체는 물론 기초단체들도 지역농업 경쟁력 제고 차원에서 친환경농산물 생산을 적극 장려하고 있다.
지난해 전국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의 57%를 차지해 친환경농업의 메카를 자부하는 전남도는 올해부터 ‘저농약’인증 농가를 ‘무농약’과 ‘유기농’으로 인증 등급을 올릴 수 있도록 유도하는 등 친환경농업에 집중하고 있다.
반면에 전문가들은 친환경농산물이 늘어난 만큼 이를 전문으로 유통할 수 있는 시설이 확보되지 않는다면 농가들이 친환경농업에 관심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고 경고한다. 친환경농업은 관행농업에 비해 노동력이 많이 들고 값비싼 자재를 사용해야 하는데도 단위면적당 수확량은 되레 감소한 만큼 이른바 ‘가격 프리미엄’을 보장 받도록 유통체계를 마련해 줘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12일 서울지역의 양배추(상품) 1포기 소매가격은 평균 2,000원인데 반해 친환경농산물인 무농약 양배추는 2,050원으로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aT(농수산물유통공사) 조사결과 밝혀졌다. 참외(10개 기준)는 친환경인증(저농약) 제품이 1만5,580원인 반면 일반참외(상품)는 이보다 비싼 1만8,645원에 팔렸으며, 같은 친환경농산물이라도 가장 까다로운 재배과정을 거친 유기농 적상추는 오히려 무농약 제품에 비해 싸게 거래된 ‘가격역전’ 현상도 발생했다.
국회 농림수산식품위원회 소속 여상규 의원(한나라당)은 지난해 aT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친환경농산물의 비중이 갈수록 높아지는 만큼 유통망도 확충돼야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