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맞춤시비가 고품질 농산물 만든다 글의 상세내용
제목 맞춤시비가 고품질 농산물 만든다
부서명 청양군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1-05-23 조회 2066
첨부  











맞춤시비가 고품질 농산물 만든다













 








  고품질 친환경농산물 생산을 위한 토양검정의 확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사진은 농촌진흥청 연구원들이 토양검정을 하고 있는 모습.


집중분석/토양검정과 토양환경정보시스템



 건강한 농산물 생산을 위해서는 사람이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후 약을 먹듯이 필지별 토양검정을 통한 적정 시비가 필요하다. 토양검정 없이 관행적인 시비가 계속되면 양분 불균형으로 작물의 생육 불량을 가져올 수 있어서다. 토양검정자료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토양검정자료의 확대 구축과 토양 관련 기관간의 협조체제 구축 등이 과제로 지적되고 있다.







 ◆토양검정=토양검정은 농업인에게 작물별 시비량을 추천하고, 토양관리를 위한 기본정보를 제공한다. 토양검정을 희망하는 농업인은 해당 농지의 흙을 채취해 시·군농업기술센터에 제출하면 된다. 농촌진흥청과 시·군농업기술센터는 의뢰된 흙으로 산도(pH)·유기물·유효인산·석회 등의 양을 분석, 농업토양정보시스템에 입력한다. 토양검정 결과는 비료 시비량 추천 등 영농에 활용된다.



 이러한 토양검정은 2009년까지 전체 논밭의 48%에 해당되는 675만8,7189필지에 대해 완료됐다. 농림수산식품부는 토양검정 분석수를 지난해 48만점에서 2015년까지는 75만점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적정 시비로 비료 절감, 농산물 안정생산기반 구축, 농업환경 보전, 토양정보시스템에 의한 전국 농경지의 실시간 토양비옥도 관리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장용선 국립농업과학원 연구관은 “토양검정은 농업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친환경농업정책의 효율적인 추진뿐만 아니라 비료의 절감효과도 20%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토양검정에 의한 시비처방은 작물에 필요한 양분의 양을 토양 특성에 맞춰 공급하기 위해 중요하다. 하상건 농진청 토양비료관리과장은 “의사가 환자를 진단해 처방하듯이 토양을 진단하고 알맞은 시비량을 농업인들에게 추천하는 체계가 정착되면 친환경 고품질 농산물을 생산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토양환경정보시스템=농진청 국립농업과학원은 1964년부터 전국 농경지에 대해 토양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기초로 최정밀 토양전자지도를 구축했다. 이를 바탕으로 토양과 기후조건에 따른 작물 재배 적지 추천, 논·밭·과수원 등의 토양진단과 토양개량방법, 작물별 시비 추천, 농업용수 절약을 위한 물 관리방법 등 토양환경정보시스템을 개발했다.



 특히 올해부터는 지난해까지 별도로 운영해 왔던 농업환경정보시스템과 토양정보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하면서 토양환경정보시스템 ‘흙토람’(soil.rda.go.kr)으로 제공하고 있다. 토양의 정보를 열람한다는 의미를 지닌 흙토람은 토양 특성에 맞는 작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토양정보를 제공하고 알맞은 비료량을 추천,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 시스템이다. 논·밭의 토양분석 성적 등 토양 검정정보를 전산화해 흙토람을 구축한 것이다.



 흙토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로는 유기물 함량 등 토양의 특성을 입체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전자지도와 작물별 시비처방 등이 있다.



이 프로그램은 농경지의 양분 함량을 작물별 시비 추천식에 대입해 시비 추천량을 알려 준다. 현재까지 시비기준이 설정된 작물은 벼·고추 등 모두 107개 작물이다. 농식품부는 토양정보시스템의 활용건수가 지난해 210만건에서 2015년에는 350만건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정광용 국립농업과학원장은 “흙토람은 농업환경정보 및 농경지의 토양정보를 제공하며, 토양검정 결과에 따라 토양의 양분을 고려한 작물별 시비량을 추천하고 있어 종합적인 농경지 토양관리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출처:농민신문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