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소 자율도태도 좋으나 구체적인 실천방법과 현실적인 소비방안이 우선 마련돼야 합니다.”
전국한우협회(회장 남호경)가 최근 마련한 ‘한우가격 안정 및 소비촉진을 위한 간담회’에서 경기·강원·충청지역 한우 농가들이 이 같은 의견을 봇물처럼 쏟아 내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박치형 한우협회 충남 천안시지부장은 “농가가 암소를 자율도태하더라도 소비가 안되고 재고로 쌓인다면 도태의 의미가 없다”며 “소비촉진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충남 예산의 이근춘씨는 “생체를 싸게 사면 고기를 싸게 유통하고, 비싸게 사면 비싸게 판매하면 되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며 “따라서 시범적으로라도 믿을 수 있는 소비 유통구조를 마련해 적정 가격에 판매하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우영기 한우자조금 대의원은 “한우값 지탱은 정육점형 식당의 성장과 성공에 힘입은 바 크나 식당에 물리는 부가가치세로 인해 운영이 어렵다”며 “또 한우 소비촉진을 위한 할인판매보다는 수입쇠고기를 사용하는 집단급식소가 한우를 사용하도록 홍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조병임 농림수산식품부 서기관은 “한우값 하락세가 이제 시작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에 대비하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며 “암소의 도태도 결국 농가가 실천해야 하는 만큼 스스로 각오를 다져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조서기관은 또 한우산업 안정을 위해서는 ▲5월까지 39%에 그친 암소 도태비율 증대 ▲사료구매자금 상환 연기 논의 ▲원산지표시제 단속 강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남호경 회장은 “정육점형 식당은 다른 음식점과의 형평성 때문에 부가세 영세율 적용이 어려운 것이 사실”이라며 “현재 300만마리에 이르는 사육마릿수를 적정 규모인 250만마리까지 조정하도록 힘을 모으자”고 말했다.
한편 농식품부와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는 이에 앞서 5월27일과 30일 한우값 안정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열고 산지 한우값에 따라 소비자값도 움직이는 가격연동제가 실시돼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으고 한국음식업중앙회 시·도지회 등 관련 단체를 직접 찾아가 식육판매점 및 대중음식점의 가격 인하를 요청키로 했다. 또 매주 금요일을 ‘한우 먹는 날’로 지정하는 등 다각적 소비촉진 계획을 펼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