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165만원인 송아지 생산안정제 기준가격이 유지돼야 한우 산업 안정을 도울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 인위적인 암소 도태 노력도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농업전문 민간연구소인 GS&J인스티튜트(원장 이정환)는 최근 ‘한우산업, 파동인가 연착륙인가’ 보고서에서 6월 한우 사육 마릿수가 290만마리에 이르고 값이 떨어져 위기를 맞고 있으나 송아지 생산안정제 유지와 인위적인 암소 도태를 자제하는 것이 한우산업의 위기 극복에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이 보고에 따르면 한우 값 하락은 사육 마릿수 증가보다는 평균 30개월령인 거세우 도축 비중이 지난 2월 95.5%에서 7월 87.6%까지 낮아지고 평균 24개월령인 비거세우 출하가 늘어 수소 도축 마릿수가 급증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게다가 17%까지 떨어졌던 암소 도축률이 송아지 값 하락으로 최근 22% 수준으로 상승했고, 올 하반기에는 25% 이상으로 전망되는 등 시장 기능에 따라 움직이고 있으므로 인위적으로 암소 도축률을 높이려는 시도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암소 사육 마릿수를 조기에 감축하기 위해 송아지 생산안정제의 기준 가격을 인하하는 등의 조치는 번식농가의 불안감을 높여 암소도축을 일시에 증가시켜 오히려 파동을 촉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더불어 번식농가는 송아지 가격이 8월 이후 165만원 이하로 하락하더라도 송아지 생산안정제에 의해 수취값이 마리당 평균 165만원 이하로는 내려가지 않는 현실을 충분히 인식하고 대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보고는 결국 한우 농가가 불안감으로 인한 과도한 암소도축을 자제한다면 비프 사이클(4~5년)에 따라 사육 마릿수와 도축 마릿수가 서서히 감소해 2014년 초반부터 한우 값이 상승하기 시작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정환 GS&J인스티튜트 원장은 “한우 번식 농가들이 송아지 값 하락에 대한 불안감 등으로 무조건 따라 도축하는 ‘추격 도축’ 등의 과잉반응을 자제할 필요가 있다. 한우 값이 하락하더라도 ‘한우 파동’을 겪지 않고 다시 상승할 수 있다는 인식을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비육 농가도 한우 값이 하락하지만 가축비가 감소하는 여건을 활용해 출하 월령 최적화 등을 통해 수익성을 향상시키는 계기로 활용해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