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김치냉장고, 김장철 배추소비에 영향 미칠까 글의 상세내용
제목 김치냉장고, 김장철 배추소비에 영향 미칠까
부서명 청양군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1-10-21 조회 620
첨부  














김치냉장고, 김장철 배추소비에 영향 미칠까
 









농가 “가격폭락때 김치 많이 담가 김장특수 사라져” 불만…“김치냉장고 있어 김장 더 담글수도” 역발상 의견도 제기



 “김치냉장고가 많이 보급될수록 김장철 특수는 줄어듭니다.”



 김장철을 앞두고 배추농가들이 김치냉장고를 성토하고 나섰다. 김치냉장고의 보급이 확산되면서 ‘김장철이 곧 배추의 최대 성수기’라는 등식이 점점 무색해지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국내에서 배추는 철을 가리지 않고 연중 생산되는 품목. 한국수확후관리협회에 따르면 배추는 노지월동(12%) → 하우스봄배추(21%) → 노지봄배추(2%) → 고랭지배추(7%) → 조기가을배추(2%)→ 가을배추(56%) 순서로 연중 시장에 공급된다. 가을배추 생산량이 가장 많은 것은 전통적으로 배추의 수요가 김장철에 집중되기 때문이다. 물론 가을배추가 저장능력도 가장 뛰어나다.



 하지만 김치냉장고는 김장철을 무색하게 할 만큼 생활패턴을 바꿔 놓고 있다는 것이 배추농가들의 설명이다. 대다수 가정에서 김치냉장고에 김치를 잘만 보관하면 6개월 이상 지나도 신선한 맛을 느낄 수 있다고 여긴 나머지 배추값이 쌀 때 필요 이상으로 김치를 담그고, 김치냉장고 업체들은 이런 점을 놓치지 않고 마케팅에 열을 올려 김장 특수가 점점 사라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 우리나라 가구의 김치냉장고 보급률은 지난 1995년 0.03%에서 2009년엔 81%까지 치솟았으며, 보유한 김치냉장고의 평균 용량도 같은 기간 동안 52ℓ에서 215ℓ로 확대된 것으로 김치냉장고 업계는 분석하고 있다.



 배추농가들 사이에선 지난 5월 배추값이 폭락했을 때 집집마다 대형 김치냉장고에 채워 넣은 김치가 너무 많아 올 김장철엔 가뜩이나 늘어난 배추 생산량과 맞물리면서 ‘배추대란’을 피할 수 없으리라는 소문도 나돌고 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배추농가와는 조금 다른 견해를 조심스럽게 밝히고 있다. 이름을 알리지 말 것을 요구한 한 유통전문가는 “김치냉장고 때문에 김장용 배추 소비가 줄어든다고 볼 수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김치냉장고가 있으므로 해서 김장을 더 많이 담글 수도 있는 것”이라며 “김치냉장고 보급 확대가 배추 등 채소 소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상관관계에 대해 정확하게 조사해 볼 필요는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출처:농민신문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