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농업은 생명, 농촌은 미래 농업인,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입니다.

참여마당

태국은 홍수, 미국은 가뭄…쌀 최대 생산지 타격 글의 상세내용
제목 태국은 홍수, 미국은 가뭄…쌀 최대 생산지 타격
부서명 청양군농업기술센터 등록일 2011-11-07 조회 896
첨부  














태국은 홍수, 미국은 가뭄…쌀 최대 생산지 타격
 









국제 쌀값 ‘요동’ 가능성



 태국 홍수피해, 미국 가뭄피해 등의 여파로 국제 쌀 가격이 상승할 우려가 큰 만큼 국제 쌀값과 곡물가격 동향을 예의주시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농협경제연구소는 최근 ‘NHERI 주간 브리프-태국의 홍수피해 및 쌀 수매정책 도입과 국제 쌀 가격’을 통해 이 같은 주장을 폈다.



 이에 따르면 세계 최대 쌀 수출국인 태국의 대규모 홍수와 미국의 가뭄 등 기상이변으로 인해 국제 쌀 공급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태국은 지난 7월 이후 지속된 대규모 홍수로 전체 농경지의 12.5%에 달하는 125만㏊가 침수됐고, 2010·11년 연간 생산량의 15%에 해당하는 300만t의 쌀(정곡)이 유실된 것으로 추산된다. 또 홍수 피해 장기화로 쌀 생산 감소가 더 커지며 쌀 수출량이 급감할 것으로 예상된다.



 태국뿐 아니라 캄보디아, 라오스, 필리핀,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의 주요 쌀 생산국도 이번 홍수로 인해 큰 피해를 입은 것으로 파악된다. 농경지 침수비율이 캄보디아가 전체의 12%, 라오스 7.5%, 필리핀 6%에 달한다.



 미국은 장립종 쌀 주요 생산지인 텍사스 등 남부지역에 심한 가뭄이 발생해 쌀 생산량이 19%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제곡물이사회(IGC)와 미 농무부(USDA)는 내년 7월 말까지 1년간 미국의 쌀 수출 규모가 14%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처럼 태국·미국 등 주요 쌀 수출국의 수출량 감소 전망으로 2009년 이후 안정세를 보이던 국제 쌀 가격이 최근 다시 상승하는 추세다. 실제로 국제 쌀 가격은 지난 5월 1t당 501달러에서 9월 616달러로 4개월 만에 23% 상승했다.



 태국 정부가 쌀 수매제도를 도입키로 한 점도 국제 쌀 가격 상승을 부추킬 전망이다.



 지난 7월 출범한 태국의 친나왓(Shinawatra) 정부는 시장가격보다 약 50% 높은 가격 수준(조곡 기준 1t당 약 483달러)으로 조곡을 매입키로 결정한 바 있다. 태국 정부가 농가로부터 시중보다 높은 가격에 수매한 쌀을 수출업자에게 판매하면, 수출업자의 매입가격이 높아져 국제 쌀값 상승을 초래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미국 농무부는 태국의 쌀 수매정책 도입으로 태국의 쌀 수출량이 2012년 20% 이상 감소하고, 쌀값 상승에 따른 국제경쟁력 약화로 베트남이 태국을 추월해 세계 1위의 쌀 수출국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쌀을 비롯한 국제 곡물수급의 불안정성이 심화될 것으로 우려된다. 홍수·가뭄 등 전 세계적인 기상이변이 자주 발행하고 피해규모도 대형화되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2007~2008년 기간중 주요 쌀 생산국의 자연재해와 원유가격 상승 등의 요인으로 세계 쌀 재고량이 감소하자, 국제 쌀값은 2008년 4월에 1t당 1,015달러까지 상승한 바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곡물자급률이 지난해 기준 26.7%로 매우 낮기 때문에 쌀의 자급을 기반으로 하되 비상시에 대비한 안정적인 식량확보 대책이 강화돼야 한다.



 1980년 극심한 냉해로 우리의 쌀 생산이 급감해 막대한 양(225만t)의 쌀을 외국에서 수입하게 되자, 당시 국제 쌀값이 폭등한 적이 있다.



 박재홍 농협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월스트리트 저널도 태국의 홍수 피해로 인해 국제 쌀값이 향후 수개월 동안 더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는 태국, 미국, 중국, 호주 등 4개국의 쌀을 최소시장접근(MMA) 방식으로 수입하는 데다, 옥수수, 밀, 콩 등 주요 곡물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국제 쌀값 및 곡물 가격 동향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태국은 세계 쌀 수출량의 약 30%를 점유하고 있고, 태국산 쌀값이 국제 가격의 기준 지표가 되고 있다.



 출처 : 농민신문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다음
이전
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41-940-4762
최종수정일 :
2025-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