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동군농업기술센터에 따르면 삼채를 직접 재배한 노동인씨(41)는 새 소득작물 도입을 고려하던 중 지난 2월 하동군농기센터로부터 삼채 시험재배를 권유받았다.
삼채 원산지인 미얀마에서 수입한 종묘를 구입한 노씨는 지난 4월 1,200여㎡(350평)의 논에 이를 심어 최근 수확했는데, 대형마트 채소납품업자인 이모씨에게 700만원에 전량 판매했다.
삼채는 현재 미얀마에서 수입한 것을 홈플러스와 이마트 등 일부 매장에서 1㎏당 3만원이 넘는 고가에 판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삼채는 식품의약품안전청 홈페이지에 학명(Allium hookeri)만 소개돼 있으며, 주요 성분은 유황화합물(sulphur compounds)로 표시돼 있다. 삼채는 고급채소로 여겨져 김치는 물론, 무침이나 탕·전·찜 등 각종 요리와 빵과 만두소, 주스 등 음료와 제약용·사료용에 이르기까지 활용 범위가 넓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김치를 담글 ? 이를 갈아 마늘·고춧가루 등 다른 재료와 혼합할 경우 유황성분으로 인해 오래도록 무르지 않고 사각사각한 맛을 유지하기 때문에 수요가 급격히 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동에서 처음으로 삼채 재배에 성공한 노씨는 “삼채는 매우면서도 달고 쓴맛이 조화를 이뤄 삼겹살 등 고기와 곁들여도 궁합이 잘 맞다”며 “이는 병해충이 거의 없고 거친 환경에서도 잘 자라기 때문에 판로만 확보된다면 새로운 소득작목으로 손색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