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채소값 불안을 초래하는 근본적인 원인이 급격한 기상변화에서 발생하는 공급량 변화와 수요에 적합한 재배면적을 확보하지 못한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농경연이 채소값의 변동성이 큰 원인을 알아내기 위해 1980~2010년 31년간의 연도별 자료를 바탕으로 재배면적을 비롯해 단수, 가격 신축성 등의 함수로 구성해 분석한 결과다.
채소값 불안정 요인을 부문별로 살펴보면 ▲생산자단체의 광역적 조직화 체계 미비 ▲저장 및 가공시설 부족 ▲농협 계약재배물량 미비 및 표준화되지 못한 산지 유통인의 거래방식 ▲활성화되지 못한 비축사업 등이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농경연은 채소값 안정을 위한 정부의 역할을 주문했다. 이를 위해 정부가 우선적으로 채소 수급 및 가격안정과 관련된 정책 및 사업을 단계적으로 개선할 것을 제안했다. 생산자단체인 농협과 밭떼기 거래를 주도하는 법인화된 산지 유통인을 통해 새로운 채소 수급 및 가격안정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것. 다음으로는 단기적인 시장실패로 채소값이 불안정할 때 정부가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위기관리능력을 키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채소류 생산자의 고령화와 노동력 부족 등으로 재배면적이 지속적으로 감소해 수급 불안이 커지고 있기 때문에 채소류 재배면적을 유지 및 확대시킬 수 있는 유인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채소값을 안정시키기 위한 방안을 연구한 농경연의 최병옥 부연구위원은 “채소값을 안정시키기 위한 사전적 방안 중 가장 중요한 요인은 생산자와 생산자단체간 조직화를 통한 계약재배의 활성화”라며 “사후적 방안으로는 단기적으로 시장에서 채소값 안정대책이 실패하였을 경우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비축을 비롯한 저장 및 가공사업이 체계적으로 정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