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에서 부터>방풍나물, 명이나물(산마늘)
봄에 살짝 데쳐 먹으면 향긋한 내음과 감칠맛이 나는 방풍나물, 삼나물, 명이나물 등은 기능성 나물로 웰빙 바람을 타고 새로운 먹을거리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어린잎을 살짝 데쳐서 초고추장에 찍어 먹거나 고기와 함께 쌈으로 먹으면 궁합이 맞다는 것.
‘방풍’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주로 나물로 먹고 국내에서 재배되는 것은 식방풍으로 ‘갯기름나물’이라고도 한다. 어린순, 연한 잎, 열매 모두를 먹을 수 있는데 잎과 줄기는 살짝 데쳐서 나물로 무치거나 볶아서 먹는다. 열매는 술을 담가 먹으면 피로회복·빈혈·두통에 효과가 있고, 뿌리는 한약재로만 이용된다.
‘삼나물’은 장미과의 눈개승마를 말하며, 봄철 어린순을 따서 밑동의 질긴 부분을 떼낸 후 데쳐서 먹으면 향긋한 맛이 그만이다. 칼슘·인·비타민 등이 풍부하며 한방에서는 해독이나 편도선염, 지혈 등의 치료에 요긴하게 사용해 왔다.
‘명이나물’은 백합과의 산마늘을 말하며, 주전부리가 없을 때 산마늘을 먹으면서 명을 이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향긋한 맛은 육고기의 특유한 비린맛을 줄여 육류와 함께 먹으면 좋다. 또한 소화와 식욕 촉진, 콜레스테롤 감소 등의 효과가 보고돼 있기도 하다. 하지만 명이나물은 독성이 있는 은방울꽃과 비슷하므로 산에서 채취해 먹을 때는 반드시 전문가의 검증을 받아야 한다.